'뿅뿅 지구오락실2' 이은지-미미-이영지-안유진의 좌충우돌 두 번째 모험!하이라이트 영상 공개! 역대급 활약 미리보기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5-04 08:25:11
  • -
  • +
  • 인쇄
▲ 뿅뿅 지구오락실2

[뉴스스텝] ‘뿅뿅 지구오락실2’가 온오프라인을 웃음으로 도배시킨다.

오는 5월 12일(금) 저녁 8시 50분 첫 방송되는 tvN ‘뿅뿅 지구오락실2(연출 나영석, 박현용)’가 더욱 강력해진 이은지, 미미, 이영지, 안유진과 떠나는 좌충우돌 두 번째 모험을 예고해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뿅뿅 지구오락실2’는 지구로 재 탈출한 토롱이를 잡기 위해 다시 한번 뭉친 경력직 지구 용사 4인방이 겨울왕국 핀란드와 신들의 섬 발리에서 펼치는 예측 불허 대모험이다.

공개된 하이라이트 영상에는 시청자들의 웃음을 책임질 이은지, 미미, 이영지, 안유진의 활약은 물론 핀란드, 발리, 한국에 출몰한 토롱이를 뒤쫓는 추격전이 담겨 흥미를 돋운다.

특히 ‘괄괄이’ 이영지는 춤을 추다 바닥에 드러눕고 가수 태양을 따라하는 등 업그레이드 된 괄괄함으로 폭소를 일으킨다. 또 이영지가 조용해진 순간도 포착된다.

안유진이 “언니는 2002년의 자랑이야”, 이은지가 “너 문화 대통령이야”라는 등 칭찬을 하자 칭찬 알레르기가 있는 이영지가 침묵해 버린 것.

동생들의 필수템, ‘인간 Y2K’ 맏언니 이은지는 제작진의 기강은 잡지만 정작 동생들에게는 한 마디도 못해 시선을 끈다.

이어 한 시간 반 동안 훈민정음 게임을 하는 중 영어를 쓰고 만 이영지 때문에 “카메라 꺼!”라고 울화가 터지는 장면은 박장대소를 부르고 있다.

‘예능 치트키’ 미미는 한층 더 어려워진 ‘미미어’로 컴백, 전담 통역가 이은지도 통역 불가한 수준으로 난이도가 상승돼 예측 불가한 즐거움을 안긴다.

또한 계속해서 기상천외한 오답 폭격을 일삼아 보는 이들의 웃음 취향까지 명중시킬 활약을 예감케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안유진은 새어 나와 버리는 우악스러움과 점차 상실되는 아이돌 자아로 꿀잼을 선사하고 있다.

이영지의 도발에 굴하지 않고 맞받아치는가 하면 ‘공개수배 사건 25시’ BGM에 맞춰 춤을 추는 재치를 발휘하기도 해 ‘맑은 눈의 광인’의 면모가 엿보인다.

더불어 ‘뿅뿅 지구오락실2’ 포스터에는 이은지, 미미, 이영지, 안유진이 탐험가로 변신했다.

눈 쌓인 핀란드와 따뜻한 발리를 종횡무진하며 임무를 수행할 4명의 모습에서는 비장함과 카리스마가 느껴져 기대가 쏠리고 있다.

tvN ‘뿅뿅 지구오락실2’는 5월 12일(금) 저녁 8시 50분 첫 방송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해양안전체험관 운영 활성화 요구 “홍보·체험 확대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는 12윌 오전 10시,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회의실에서 경기평택항만공사와 기후환경에너지국(산림녹지과), 산림환경연구소를 대상으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를 진행했다.이날 감사는 경기평택항만공사의 경영평가 및 인력운영, 해양안전체험관 운영 등 공사 추진 사업 전반과 산림재해예방, 산림복지서비스 확대 등 기후환경에너지국(산림녹지과) 및 산림환경연구소 주요 업무를 중심으

경기도의회 정하용 의원, “경상원 성과평가 하락·직장내 괴롭힘·정산 부실” 강력 비판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이채영 의원(국민의힘, 비례)은 12일에 열린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코리아경기도주식회사 대상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각 기관의 부실한 사업관리에 대해서 강도 높게 지적했다.정하용 의원은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하 경상원)은 2025년(2024년 실적) 경영평가에서 전년도 ‘다’등급에서 ‘라’등급으로 하락했고, 조직운영, 재무관리, 환경, 안전 등 주요지표가 모두

경기도의회 이오수 의원, “덩굴류 확산 방치 안돼...생태계 보호 위한 통합 대응 시급”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이오수 의원(국민의힘, 수원9)은 12일 열린 산림녹지과 및 산림환경연구소 행정사무감사에서, 생태계 교란종인 칡, 가시박, 환삼덩굴 등 덩굴류 확산에 대한 시급성을 지적하며, 도 차원의 표준화된 대응 전략 마련과 실효성 중심의 정책 전환을 강력히 요구했다.이 의원은 “덩굴류는 도로변, 생활권 산림, 농경지까지 침투해 생태계 교란과 경관 훼손을 초래하고 있음에도, 현재는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