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순천 담락재와 현판 등 2건 유형문화유산 지정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4-28 09:40:25
  • -
  • +
  • 인쇄
고려중기 불교·조선시대 교육문화 역사적·학술적 가치 높아
▲ 전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사진-강진 월남사 김강정 필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약사 권 제16.

[뉴스스텝] 전라남도는 역사·문화유산의 체계적 보호와 계승을 위해 ‘강진 월남사 김강정 필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약사 권 제16’, ‘순천 담락재와 현판’을 전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지정된 문화유산은 고려 중기 불교 경전의 필사본과 조선후기 향촌사회의 교육과 문화 교류 중심지로 기능했던 공간이다.

전남지역 종교적·사회문화적 전통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중요한 자료다.

강진 월남사 김강정 필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약사 권 제16은 당나라의 고승 의정(義淨)이 한자로 번역한 총 18권의 불교 경전으로, 이번에 지정된 유산은 이 중 16권을 사경(寫經)한 것이다.

이 불경은 고려시대 초조대장경을 저본으로 삼아, 12~13세기 보현사에서 부호장(副戶長) 김강정이라는 인물이 정성스럽게 필사한 것으로 보인다.

사경본의 보존 상태가 매우 우수할 뿐 아니라, 제작 시기가 이른 편에 속해 고려 중기 불교문화와 사경 예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순천 담락재와 현판은 조선 후기인 1841년 옥천조씨 문중의 조진익과 조진룡 형제가 건립해 후손과 향리 자제의 교육과 문인 교류, 공동체 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됐다.

담락재는 효도와 우애, 학문적 교류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지역사회 중심지 역할을 해온 문화 공간으로, 조선후기 교육문화의 중요한 사례로 손꼽힌다.

건물은 정면 4칸, 측면 1칸 구조로 툇간을 두른 전형적 재사 건축 형식을 따르고 있다.

내부에는 편액, 주련, 기문, 시판 등 총 51종의 현판류가 전해지고 있다.

특히 42종 45제(題)의 시판은 담락재가 단순한 제사의 공간을 넘어 지역 내 문화와 교육의 장으로 기능했음을 보여주는 귀중한 기록유산이다.

김지호 전남도 문화자원과장은 “이번 지정으로 전남의 역사와 전통문화, 선조의 삶과 정신이 깃든 소중한 자산을 지키고 알릴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전남 문화유산의 보존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2025 음성명작페스티벌, 4일간 대장정 성황리 마무리

[뉴스스텝] ‘음성명작에서 피어난 6가지 이야기’라는 주제로 지난 25일부터 28일까지 금왕읍 금빛근린공원에서 열린 2025 음성명작페스티벌이 올해의 음성명작 대상 시상을 끝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올해로 네 번째를 맞이한 음성군 통합농산물 축제인 음성명작페스티벌은 개막부터 축제가 끝나는 날까지 방문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나흘 동안 25만여명이 다녀가 전년도 대비 78.6%의 방문객 증가를 기록하며,

‘춤으로 세계를 품다’ 천안흥타령춤축제에 89만명 방문…"세계적 경쟁력 확인"

[뉴스스텝] 춤으로 세대와 국경을 초월한 ‘천안흥타령춤축제 2025’가 친환경 드론 라이트쇼를 끝으로 28일 폐막했다.올해 흥타령춤축제는 ‘All that Dance in Cheonan’이란 슬로건으로 24일부터 천안종합운동장과 천안시 일원에서 열렸다.천안시와 천안문화재단은 24일부터 닷새간 89만 4,000명의 국내외 방문객이 축제장을 찾은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61개국 4,000여 명의 무용단과 방문

전남도, 정부 전산 장애 상황 속 도민 서비스 정상화 온힘

[뉴스스텝] 전라남도는 국가정보시스템 장애로 인해 도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 불편이 예상됨에 따라 수기 처리, 신청기한 연장, 대체 창구 안내 등 방법을 통해 도민 불편 최소화에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주민등록등·초본 등 제증명은 읍면동사무소를 직접 방문해 발급받을 수 있으며, 전입신고는 읍면동 수기 접수를 통해 일괄 소급 적용된다.주민등록증 발급 및 재발급은 시스템 복구 시까지 불가함에 따라 과태료는 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