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구 서울 암사동 유적, 봄바람 타고 떠나는 선사 체험 여행!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3-25 10:05:08
  • -
  • +
  • 인쇄
올해 새롭게 조성된 탐방로에서 선사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만끽하는 봄 여행
▲ 선사 체험 키트존(자율체험공간)

[뉴스스텝] 강동구는 서울 암사동 유적 발견 100주년을 맞아 관람객들이 보다 편안하게 유적을 즐길 수 있도록 새로운 탐방로를 조성하고, 암사동선사유적박물관 특별전과 선사 체험 프로그램 등을 함께 진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최근 구는 암사동 유적지 내 울퉁불퉁한 기존의 흙길을 정비해 1,900m 길이의 탐방로를 새롭게 조성했다. 이를 통해 관람객들은 탐방로를 따라 선사시대 유물을 감상하며, 서울 시내에서 보기 드문 자연경관 속 편안한 시간을 보낼 수 있게 됐다. 특히, 봄을 맞이해 암사동 유적을 방문하면 선사시대의 정취를 더욱 깊이 느낄 수 있다.

아울러, 암사동 유적에는 다양한 체험활동이 마련되어 있어 관람객들이 선사시대를 직접 체험하며 역사적 의미도 배워보는 뜻깊은 시간을 제공하고 있다.

암사동선사유적 박물관의 ‘선사예술가’ 특별전은 후기 구석기 시대 유럽의 동굴벽화와 여인상, 동물 조각상부터 우리나라 신석기 시대 예술품까지 인류 예술사를 총망라한 전시로, 오는 6월 22일까지 운영된다. 이곳에서 관람객들은 선사시대 예술의 기원을 탐구하고, 시대별·지역별 예술품을 비교하며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다.

‘선사 체험 프로그램’은 매주 주말마다 운영된다. 4월 1~2주 차에는 ‘선사 사냥꾼 학교’와 ‘신석기 장신구 공방’이, 3~4주 차에는 ‘고고학 꿈나무 발굴단’과 ‘신석기 아뜰리에’가 진행된다. 프로그램별 일정과 참여 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서울 암사동 유적 누리집(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사전 결제를 통해 예약이 확정된다.

또한, 구는 평일에도 ‘선사체험 키트존’을 운영하며 현장 관람객들이 무인 자판기로 상품을 구매 후 자율적으로 체험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체험 키트는 선사시대의 다양한 유물들을 모티브로 했으며 옥장신구 키링, 빗살무늬토기시문 방향제, 구리검 만들기, 발레아레스 투석구 만들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선영 문화예술과장은 “올봄, 새롭게 조성된 탐방로를 따라 암사동 유적을 거닐며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관람객들이 선사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재미있고 유익하게 경험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해양안전체험관 운영 활성화 요구 “홍보·체험 확대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는 12윌 오전 10시,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회의실에서 경기평택항만공사와 기후환경에너지국(산림녹지과), 산림환경연구소를 대상으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를 진행했다.이날 감사는 경기평택항만공사의 경영평가 및 인력운영, 해양안전체험관 운영 등 공사 추진 사업 전반과 산림재해예방, 산림복지서비스 확대 등 기후환경에너지국(산림녹지과) 및 산림환경연구소 주요 업무를 중심으

경기도의회 정하용 의원, “경상원 성과평가 하락·직장내 괴롭힘·정산 부실” 강력 비판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이채영 의원(국민의힘, 비례)은 12일에 열린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코리아경기도주식회사 대상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각 기관의 부실한 사업관리에 대해서 강도 높게 지적했다.정하용 의원은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하 경상원)은 2025년(2024년 실적) 경영평가에서 전년도 ‘다’등급에서 ‘라’등급으로 하락했고, 조직운영, 재무관리, 환경, 안전 등 주요지표가 모두

경기도의회 이오수 의원, “덩굴류 확산 방치 안돼...생태계 보호 위한 통합 대응 시급”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이오수 의원(국민의힘, 수원9)은 12일 열린 산림녹지과 및 산림환경연구소 행정사무감사에서, 생태계 교란종인 칡, 가시박, 환삼덩굴 등 덩굴류 확산에 대한 시급성을 지적하며, 도 차원의 표준화된 대응 전략 마련과 실효성 중심의 정책 전환을 강력히 요구했다.이 의원은 “덩굴류는 도로변, 생활권 산림, 농경지까지 침투해 생태계 교란과 경관 훼손을 초래하고 있음에도, 현재는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