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가족이 바뀌고 있다' 서울시, 시민 가족형태 변화 분석 발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9-15 10:20:06
  • -
  • +
  • 인쇄
1인가구 40% 육박, 고령자가구 전체 30%… 영유아 자녀가구 8년새 40% 줄어
▲ 서울시 초혼 평균 연령(2000~2024년) 출처: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각 년도

[뉴스스텝] 2023년 코로나19가 종식된 이후 서울시민 혼인 건수는 2년 연속 증가하고, 이혼 건수는 줄었다. 그 가운데 황혼이혼은 늘어 평균 이혼 연령은 50대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1인 가구, 고령자 가구는 급증한 반면 영유아 자녀가구와 한부모가구는 줄어드는 등 서울 가족의 풍경이 달라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시는 15일 혼인·이혼 추이와 가족 가치관, 가구 구조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서울시민의 결혼과 가족 형태의 변화'를 발표했다. 이번 분석은 통계청 인구총조사, 인구동향조사 등 국가승인통계를 근거로 정리된 자료다.

2000년(78,745건) 이후 감소세를 보여온 ‘혼인 건수’는 코로나19 유행기 동안 급감(2020년 44,746건→ 2022년 35,752건)했으나 2023년 코로나 종료 이후 반등했다. 2022년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2024년(42,471건)에는 전년(36,324건) 대비 16.9% 늘며 2년 연속 회복세를 보였다.

초혼 평균 연령은 남성 34.3세, 여성 32.4세로 과거보다 높아졌으며, 국제결혼은 전체 결혼의 약 10%를 차지했다. 2024년 서울에서 신고된 국제결혼은 4,006건으로, 한국인 남편과 외국인 아내가 2,633건, 외국인 남편과 한국인 아내가 1,373건이었다. 외국인 배우자의 국적은 중국·베트남·일본 등이 다수를 차지했으나, 미국·캐나다 등 서구권 국적도 꾸준히 늘고 있다.

이혼은 전반적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이혼 건수’는 감소했지만 평균 이혼 연령은 높아져 2024년에는 남성 51.9세, 여성 49.4세로 '00년(남성 40.8세, 여성 37.4세)에 비해 10년 이상 상승했다. 60세 이상 ‘황혼이혼’은 2000년 이혼 건수 3%대에서 2024년 25% 수준까지 대폭 늘었다.

2024년 기준 서울의 전체 가구 가운데 1인가구는 약 166만 가구로 전체의 39.9%를 차지, 가구 형태(2인 가구 26.2%, 4인 가구 12.3%) 중 가장 보편적인 가구 형태로 자리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는 20대 청년층 중심으로 늘어나던 1인가구가 이제 30~40대, 60대까지 전 연령대로 확산되고 있어 ‘1인가구=청년’이라는 공식도 점차 옅어지고 있다.

또 올해 7월, 서울이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60대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가운데(내국인 기준 : 20.02%) ‘고령자가구’는 전체의 3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구’는 약 7만8천 가구로, 가구원 수는 20만 명을 넘어섰다. 국제결혼을 통해 형성된 가정이 다수를 차지하지만 귀화자·다문화 2세 등 다양한 배경의 가족 형태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비친족가구’는 2016년 6만여 가구에서 2024년 12만여 가구로 두 배 이상 증가했는데, 이를 통해 혼인이나 혈연으로 맺어지지 않은 친구·동료·생활 동반자가 함께 주거를 공유하는 사례가 확산됐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비친족가구는 20~30대 연령층에서 증가세가 뚜렷한 것으로 분석됐다.

영유아 자녀가구, 한부모가구는 감소하는 추세다. 서울의 영유아 자녀가구는 2016년 35만여 가구에서 2024년 20만여 가구로 8년 새 40% 이상 줄었다. 같은 기간 영유아 수도 44만여 명에서 24만여 명으로 줄어 저출산 흐름이 뚜렷하게 반영됐다. ‘한부모가구’도 2016년 32만여 가구에서 2024년 28만여 가구로 감소했다. 한부모 가구 가운데 ‘어머니와 미혼자녀’ 형태가 약 68%로 가장 많으며, ‘아버지와 미혼자녀’ 가구는 16% 수준이다.

서울시는 이러한 가족의 변화를 새로운 기회라고 보고 1인가구, 고령자가구 증가에 대응한 맞춤형 돌봄·주거·복지 정책을 강화하고 다문화·비친족가구를 제도적으로 포용할 정책 발굴을 통해 가족 다양성을 뒷받침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세대별로는 청년층에는 주거·일자리, 중장년층에는 일·가정 양립, 고령층에는 사회관계망 지원 등 맞춤형 정책을 이어갈 계획이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이번 분석을 통해 코로나19 이후 가족 구조와 가치관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변화하는 현실을 반영해 고립·외로움 예방, 청년 주거 안정, 양육친화 환경 조성 등 시민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이재명 대통령, 카이로대 연설서 '샤인 이니셔티브' 제안…"중동과 한반도 상생"

[뉴스스텝] 이재명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이집트 카이로 대학을 방문해 '샤인(SHINE) 이니셔티브'로 명명된 중동 구상을 발표했다.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카이로 대학에서 연설을 통해 "이집트, 나아가 중동과 대한민국이 함께 할 비전 샤인 이니셔티브를 제안하고자 한다"고 밝혔다.이 대통령은 "S는 Stability(안정)을, H는 Harmony(조화)를,

김민석 국무총리, 인천 수도권매립지 방문

[뉴스스텝] 김민석 국무총리는 11월 21일 오전, 인천광역시 서구 소재 수도권매립지를 방문하여 수도권 생활폐기물 처리현황 등을 점검했다. 수도권매립지는 ’80년대 난지도매립지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대체시설로 조성되어 ’92년 1매립장 사용을 시작해 현재 3-1매립장을 사용 중이며, 국내 최초로 위생매립의 표준을 안착시킨 곳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현장 방문은 내년 생활폐기물 직매립금지 제도 시행을

김민석 국무총리, “초기 대응이 생명 좌우...동절기 해양 안전사고 예방 점검”

[뉴스스텝] 김민석 국무총리는 11월 21일 오전, 겨울철 해양사고 예방을 위해 인천 연안여객터미널과 인천항 해상교통관제센터(VTS, Vessel Traffic Service)를 연이어 방문하며 여객 안전관리와 해상교통 관제 실태 등을 직접 점검했다. 김 총리는 먼저, 인천 연안여객터미널을 찾아 터미널 이용실태 점검을 하고 출항을 준비하는 승객들에게 안전하고 편안한 여행이 되시라며 환송 인사를 전했다. 이어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