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썸머' 최성은, 건축직 공무원 송하경 役 대변신! 다채로운 매력 담은 첫 스틸 공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9-11 11:20:31
  • -
  • +
  • 인쇄
▲ 사진 제공: KBS 2TV 새 토일미니시리즈

[뉴스스텝] ‘마지막 썸머’ 배우 최성은이 매력 넘치는 캐릭터 탄생을 예고한다.

오는 11월 1일(토) 밤 9시 20분 첫 방송 예정인 KBS 2TV 새 토일 미니시리즈 ‘마지막 썸머’(연출 민연홍 / 극본 전유리 / 제작 몬스터유니온, 슬링샷스튜디오)는 어릴 적부터 친구인 남녀가 판도라의 상자 속에 숨겨둔 첫사랑의 진실을 마주하게 되면서 펼쳐지는 리모델링 로맨스 드라마다.

최성은은 극 중 의대를 그만두고 DMZ와 맞닿아 있는 파탄면 건축직 공무원이 된 ‘송하경’ 역을 맡았다. 파탄면에서 일명 ‘송 박사’로 불리는 하경은 가로수, 전봇대, 동네 강아지까지 그녀의 손길이 거치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다.

말로는 ‘탈파탄’을 외치지만 면민들에게 무슨 일이 생기면 언제나 앞장서서 해결해 주는데. 그런 그녀가 왜 그토록 이곳을 떠나고 싶어 하는지 호기심을 자극한다.

최성은이 선보일 ‘송하경’의 서사가 궁금해지는 가운데 오늘(11일) 공개된 스틸에는 하경의 다채로운 순간들이 담겨 있어 이목을 집중시킨다.

하경은 총성이 울리는 동네에서 자전거를 타고 출근하는가 하면 파천 시 사원증을 목에 건 채 상대와 업무 관련 대화를 주고받고 있어 흥미를 유발한다. 앞으로 벌어질 하경의 바람 잘 날 없는 회사 생활은 극에 활력을 더할 예정이다.

다른 스틸에서는 분노인지 슬픔인지 알 수 없는 하경의 복잡한 눈빛이 눈길을 끈다. 2년 전 모종의 일로 멀어졌던 백도하(이재욱 분)를 마주한 하경은 복잡미묘한 감정을 느끼게 된다.

또한 어린 시절 도하네 가족과 땅콩 주택 옆집에 살았던 하경은 하루빨리 집을 팔기 위해 고군분투하지만 갑자기 등장한 도하로 인해 계획에 차질이 생기면서 흥미진진한 전개를 그려나간다고.

이처럼 최성은은 여름 손님이었던 도하를 다시 파탄면에서 재회하는 하경의 복잡한 감정선을 섬세하게 표현할 것으로 기대감을 모은다. 여기에 도하와 티격태격하며 선보일 티키타카 케미는 '송하경' 캐릭터의 매력을 한층 더 끌어올릴 전망이다.

한편 ‘마지막 썸머’는 ‘키스 식스 센스’, ‘라디오 로맨스’ 등을 통해 탄탄한 집필력을 인정받은 전유리 작가와 ‘로얄로더’, ‘미씽: 그들이 있었다’ 시리즈, ‘인사이더’ 등의 연출을 맡아 시청자들의 눈도장을 제대로 찍은 민연홍 감독이 의기투합한 작품이다.

KBS 2TV 새 토일 미니시리즈 ‘마지막 썸머’는 오는 11월 1일(토) 밤 9시 20분 첫 방송 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윤충식 의원, 선착순 AI 지원은 '차별의 경기' 초래... 선심성 예산 지양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소속 윤충식 의원(국민의힘, 포천1)은 21일 ‘경기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 동의안’ 안건 심사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 중인 학생 대상 AI 지원 사업의 불공정성과 실효성 부재를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윤 의원은 경기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추진하려는 AI 활용 역량 강화 사업이 일부 대상에게만, 그것도 '선착순

경기도의회 박옥분 의원, 하천·계곡 지킴이 여성 지원자 86명 중 실제 선발 18명...“성인지 예산 무용지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2)은 21일 열린 2026년 본예산 심사 및 제3차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건설국과 건설본부를 대상으로 도민 생활안전 예산의 불투명한 감액, 성인지 예산 구조의 고착화, 지하안전 관리체계 부재 등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박 의원은 성인지 예산 분야와 관련해 “하천·계곡 지킴이의 여성 지원자는 86명(17.2%)이나 실제 선발은 18명(16.

경기도의회 박재용 의원, “복지예산이 경기 따라 흔들리는 ‘고무줄 예산’... 사회적 약자 기본권 침해 우려”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2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안 심의에서 2026년도 복지예산 편성과 관련해 노인·장애인 복지사업의 대규모 일몰 및 감액 문제, 추경 의존 구조, 복지예산의 불안정성을 강하게 지적하며 전면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박재용 의원은 “복지국 총 예산은 증가했지만 노인·장애인 복지예산 점유율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