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우와 선녀' 영안 열린 추영우, 조이현 햇살 응원 속 양궁대회 성공할까?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7-21 12:36:02
  • -
  • +
  • 인쇄
▲ 사진 제공 = tvN

[뉴스스텝] ‘견우와 선녀’ 조이현, 추영우에게 거센 폭풍이 몰아친다.

tvN 월화드라마 ‘견우와 선녀’(연출 김용완, 극본 양지훈, 기획 CJ ENM, 제작 스튜디오드래곤·덱스터픽쳐스·이오콘텐츠그룹) 측은 9화 방송을 앞둔 21일, 위기 속에서 서로를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던 박성아(조이현 분)와 배견우(추영우 분)의 변화를 짐작케 하는 스틸을 공개했다.

지난 방송에서 박성아, 배견우가 억매법으로 서로의 인간부적이 됐다. 하루 동안 악귀 봉수(추영우 분)를 몸에 가두는데 성공했지만, 예상치 못한 변수가 기다리고 있었다.

자신의 몸주신으로 오지 않는 봉수를 위협하기 위해 염화(추자현 분)가 나쁜 기운을 배견우에게 흘려보내기로 한 것. 염화의 화합술에 배견우는 영안(靈眼)까지 열렸다.

‘인간부적’ 박성아와 손을 맞잡아도 배견우는 귀신이 더욱 선명하게 보이기 시작했다. 중요한 양궁대회를 앞두고 열린 배견우의 영안은 안타까움을 더해 궁금증을 증폭시켰다.

그런 가운데 양궁대회에서 포착된 배견우, 박성아의 이상징후가 호기심을 자극한다. 경기를 앞두고 눈맞춤을 나누는 배견우와 박성아의 모습이 설레면서도 애틋하다.

하지만 박성아의 햇살 응원에도 어딘가 슬픔이 묻어나는 배견우의 눈빛, 열린 영안에 괴로워하는 모습은 그에게 벌어질 일들을 궁금케 한다. 심상치 않은 기운을 느낀 박성아의 굳은 얼굴에선 큰 위기가 닥쳤음을 엿볼 수 있다.

이날 박성아는 배견우에게 향하는 나쁜 기운을 방어하다 살까지 맞는다고. 과연 박성아, 배견우는 양궁대회를 무사히 마칠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후유증에 시달리는 박성아의 모습도 눈길을 끈다. 특히 박성아를 부축하는 다정한 손길과 대비되는 날카로운 눈빛은 그가 배견우인지, 악귀 봉수인지 헷갈리게 한다.

아픈 박성아에게 죽을 먹여주는 배견우. 맞잡은 손에 더해진 걱정 가득한 얼굴이 애틋한 설렘을 더한다.

경고대로 귀신의 소리를 듣는 영이(靈耳)가 트인 데 이어 귀신을 보는 영안까지 열린 배견우. 과연 두 사람이 예상 밖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지 궁금해진다.

‘견우와 선녀’ 제작진은 “오늘(21일) 방송되는 9화에서는 박성아, 배견우에게 상상도 못한 변화가 일어난다. 영안 열린 배견우의 선택과 벌전 받는 박성아의 위기, 봉수의 변화가 흥미롭게 펼쳐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tvN 월화드라마 ‘견우와 선녀’ 9화는 오늘(21일) 저녁 8시 50분 방송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베트남 입맛에 착! 김천포도, K-Market에서 달콤한 상륙”

[뉴스스텝] 김천시는 11월 18일 베트남 하노이 K-Market 본사에서 김천 신선농산물의 해외시장 개척과 글로벌 수출 확대를 위한 전략적 협력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K-Market과 수출협약을 체결하고, 동시에 김천 포도 판촉 행사를 성황리에 진행했다고 밝혔다. 수출 협약식에는 배낙호 김천시장, 고상구 K-Market 회장, 이승우 김천시의회 부의장, 김응숙 시의원, 최진호 새김천농협조합장, 김태훈 경

경상원, ‘전통시장·골목상권 매니저 교육’ 졸업식 개최…현장 맞춤형 인력 양성

[뉴스스텝]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원장 김민철)은 ‘2025 전통시장 및 골목상권 매니저 역량강화 교육 졸업식’을 20일 성남상권활성화재단 다목적강당에서 개최했다고 전했다. ‘매니저 역량강화 교육’은 도내 전통시장·골목상권을 이끌 매니저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으로, ‘2025년 매니저 육성·지원사업’ 일환으로 선발된 매니저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날 졸업식에는 경상원 김민철 원장을 비롯해 경기

부산시의회 이복조 의원,“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활용 촉진”을 위한 조례 개정

[뉴스스텝] 부산광역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이복조 의원은 11월 20일 제332회 정례회에서 부산시의 건설폐기물 감축과 자원순환 활성화를 위해 '부산광역시 순환골재 등의 활용 촉진에 관한 조례'일부개정조례안을 발의했다.이번 개정안은 순환골재와 순환골재 재활용제품의 의무사용 비율 확대,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 우수 개인·기관에 대한 포상 근거 등을 핵심 내용으로 담고 있다.현행 순환골재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