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춘선 서울시의원,'세종~포천 고속도로 한강 횡단 교량 명칭 '고덕대교' 결정 촉구 결의안' 본회의 통과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5-04 13:10:14
  • -
  • +
  • 인쇄
박춘선 의원이 대표 발의하고 63명의 선배·동료의원이 동참한 결의안이 제318회 임시회 본회의 통과
▲ 한국도로공사 지역주민 서명 전달한 박춘선 시의원

[뉴스스텝] 서울특별시의회 박춘선 의원 (강동3, 국민의힘)이 대표 발의하고 63명의 선배·동료의원이 동참한 '세종 ~포천 고속도로 한강 횡단 교량 명칭 '고덕대교' 결정 촉구 결의안'이 5월 3일 제318회 임시회 제2차본회의를 통과했다.

본 결의안에서는 ‘세종~포천 고속도로 한강 횡단 교량’의 명칭을 지역 안배라는 측면에서 ‘고구려대교’로 추진하고 있는 한국도로공사의 무책임한 행위를 규탄하고 반드시 ‘고덕대교’로 명명되어야 하는 근거를 여섯가지로 제시했다.

하나. ‘고구려대교’는 지역의 역사적 맥락을 고려치 않은 명칭으로 강동은 백제문화권에 속한다.

둘. ‘고덕대교’는 ‘세종~포천 고속도로’의 상징 교량으로 세종대왕을 모티브로 하여 ‘高德’의 명칭으로 설계 디자인됐다.

셋. 사업시행자인 한국도로공사와 설계업체, 그리고 시공업체인 현대건설에서는 사업 초기부터 ‘고덕대교’라는 명칭을 사용해 이미 각인된 명칭이다.

넷. 강동구는 ‘고덕강일택지개발사업’에서 광역교통분담금으로 531억6천만원을 납부하고, 공사 시행에 따른 생활 불편을 감내해 왔다.

다섯. 교량 시작점이 고덕이며, 인접한 IC명칭을 ‘고덕IC’로 하는 절차를 추진 중으로 도로 명칭의 연관성을 고려해야 한다.

여섯. 또 다른 교량 명칭 주장인 ‘구리대교’나 ‘구리고덕대교’ 추진시 1.5km내 인접위치한 ‘구리암사대교’와 혼란을 초래한다.

본 결의문을 대표 발의한 박 의원은 “그간 ‘고덕대교’ 명칭 제정을 위해 지역구 의원으로서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라며 “본회의를 통과한 결의문이 ‘고덕대교’ 명칭 결정의 밑거름이 되기를 희망한다”라는 바람을 밝혔다.

특히 지난 4월 19일 한국도로공사에 교량명칭 결정의 염원을 담은 지역주민 서명을 전달했던 박 의원은 “지금까지 많은 분들의 관심을 이끌어내고, 강동의 의견을 전달할 수 있었던 데에는 지역주민들의 하나된 간절한 마음과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라며 지역주민들에 대한 고마움과 감사의 뜻도 함께 전했다.

이날 통과한 결의안은 교량명칭 심의·결정권자인 한국도로공사'도로공사 시설물 명칭 심의위원회' 및 국토교통부 '지명심의위원회'에 전달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나주시, 인허가 사전진단 서비스로 행정 디지털 전환 가속

[뉴스스텝] 전라남도 나주시가 디지털 트윈 국토 기반의 인허가 사전진단 서비스를 적극 도입해 민원 상담 시간을 줄이고 업무 효율을 높이는 등 행정 디지털 전환의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디지털 트윈’이란 도시와 시설의 모습을 디지털 공간에 그대로 구현해 정책 시행 전에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고 위험 요소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뜻한다.14일 나주시에 따르면 이날 국토교통부 관계자

고양시 화정1동 새마을부녀회, '사랑담은 김장김치' 나눔

[뉴스스텝] 고양특례시 덕양구 화정1동 새마을부녀회는 지난 12일과 13일 이틀에 걸쳐 화정1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사랑담은 김장 김치’ 나눔 행사를 진행했다.이날 행사는 지역 내 소외된 이웃에게 따뜻한 나눔을 전하기 위해 마련됐다. 화정1동 새마을부녀회와 통장협의회를 비롯한 직능단체 회원 등 30여 명이 참석해 정성껏 김장 김치 300포기를 담갔다. 완성된 김치는 화정1동 저소득 및 경로당에 직접 전달됐다

광명시, '제13회 작은도서관 학교' 개최…소통과 배움의 장 열어

[뉴스스텝] 광명시는 14일 작은도서관 운영자와 자원봉사자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제13회 작은도서관 학교’를 성공적으로 마쳤다.‘작은도서관 학교’는 운영진의 실무 역량을 강화하고 동기를 부여해 작은도서관 운영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직무·소양 교육으로,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회에 걸쳐 진행했다.교육 과정은 작게 시작해서 크게 이끄는 작은도서관 리더십 작은도서관과 인문학: 소통인문학 쉽게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