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시계획정보 보물창고 '서울도시계획포털' 이용률 높여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12-18 13:20:21
  • -
  • +
  • 인쇄
디지털 약자를 위한 ‘디지털 안내사’ 도입, 지도 서비스 개선 등 2024년 시행
▲ 서울도시계획포털(메인 화면)

[뉴스스텝] 서울 도시계획 정보창고인 ‘서울도시계획포털’ 이 디지털 약자를 위한 디자인 개편, 시민 온라인 의견 제출 창구 개설 등을 통해 연간 80만 명(일 평균 2,300여명) 이상이 이용했다.

시민이 자주 사용하는 콘텐츠(열람공고, 결정고시, 2040서울도시기본계획 등)는 포털 전면에 배치하고 디지털 약자를 위해 포털 이용 방법을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게시했다.

도시계획에 대한 의견과 불편한 법령·제도 등 ‘규제개선 아이디어’를 방문 없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도록 시민과의 온라인 소통창구도 운영 중이다.

‘서울도시계획포털’에서는 지구단위계획, 열람공고, 2040서울도시기본계획, 용도지역지구, 신속통합기획 등 다양한 서울시(25개 자치구 포함) 도시계획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사업 메뉴별 이용 빈도는 지구단위계획(21%)이 가장 높았으며, 열람공고(18%), 2040서울도시기본계획(16%)이 그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는 서울생활권계획(15%), 용도지역지구(14%), 신속통합(12%) 순이었다.

전년 대비 이용률도 1.2배 증가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서울도시계획포털’ 개편을 통해 이용자의 접근성과 가독성을 높였고, 온라인 소통창구 및 알림서비스 운영 등을 통해 이용자 편익 증진을 도모한 점을 주요한 이유로 꼽았다.

시는 디지털 약자가 더욱더 편리하게 포털을 이용할 수 있도록 내년 중으로 디지털 안내사 도입, 포털 세부화면 개선, 지도서비스 속도 개선 등 기능 개선을 강화할 방침이다.

한편 서울시는 시민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우리 동네 도시계획 정보(도시계획 열람공고·결정고시 사항)를 매주 무료로 모바일(카카오톡) 또는 메일로 제공하는 ‘도시계획정보 알림서비스’도 운영하고 있다.

‘도시계획정보 알림서비스’는 누구나 ‘서울도시계획포털’ 메인화면 우측 ‘알림서비스 신청’을 클릭하여 본인이 관심 있는 지역(3개 자치구)을 선택하고 인증(휴대전화번호)과 동의(개인정보수집동의 등) 후 신청하면 된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디지털 약자를 위한 ‘서울도시계획포털’ 개편 사항이 성공적으로 안착하여 시민의 불편함을 덜어줘 이용률 증가에 기여했다”며, “내년에는 디지털 약자가 불편함 없이 포털을 이용할 수 있도록 더욱더 편리한 지원 기능을 확대, 개편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성주교육지원청, 수능 당일 관계기관 합동 생활지도 실시

[뉴스스텝] 경상북도 성주교육지원청은 수능 당일인 11월13일 17시 이후 교육지원청 관계자, 성주경찰서, 관내 중․고등학교 생활지도 업무 담당 교사와 합동으로 성주읍 일원에서 수능 이후 청소년 선도 및 보호를 위한 합동 생활지도를 실시했다. 이번 합동 생활지도는 수능 종료 후 학생들의 일탈 행위를 예방하고 안전한 생활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는 PC방, 동전노래방 등 다중이

고령군 새콤달콤 맛있는 “명품 고령딸기” 첫 수확

[뉴스스텝] 오랜 역사와 명성을 자랑하는 경북 최대의 딸기 주산지 고령군에서 올해 첫 딸기 수확이 시작되며 본격적인 출하 채비에 들어갔다. 고령군 대가야읍 헌문리에서 딸기를 재배하는 농업인 이덕봉 씨는 11월 13일 아침, 대표 품종인 '설향' 딸기를 수확해 첫 출하의 기쁨을 맛봤다. 이덕봉 씨는 “최근 이상기후로 매년 농사짓기 어려워지고 있지만, 첫 수확한 딸기를 보니 그간의 고생이 잊히고

무안군의회, 의원연구단체 정책연구용역 중간보고회 개최

[뉴스스텝] 무안군의회는 11월 13일 군의회 세미나실에서 ‘에너지 기본소득’과 ‘치유농업 활성화’ 연구 등 2개 의원연구단체의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이번 보고회는 지난 8월 착수보고회 이후 약 3개월간 진행된 연구 결과를 검토하고 최종 연구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소속 의원, 관계 공무원, 용역사 연구원 등 3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먼저 에너지 대전환시대 준비 연구회(대표의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