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겨서 뭐하게' 스페셜 MC 김숙, “경규 선배님과 화해하고 싶어요” 오해와 갈등의 전말은?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0-14 13:35:04
  • -
  • +
  • 인쇄
▲ (사진 출처: tvN STORY)

[뉴스스텝] 15일(수) 저녁 8시에 방송되는 tvN STORY 먹방 & 토크 버라이어티 예능, '영자와 세리의 남겨서 뭐하게(이하 '남겨서 뭐하게')'가 새 단장을 마치고 돌아와 기대를 높이는 가운데 김숙이 스페셜 MC로 출연, 예능 대부 이경규와 오해와 갈등, 화해를 암시하는 13회 예고를 공개해 궁금증을 자아낸다.

더욱 맛있고 재미있게 돌아오는 ‘남겨서 뭐하게’에서 시작되는 신규 프로젝트, ‘맛선 프로젝트’는 게스트가 고마움, 미안함 등 속마음을 전하면서 대접을 하는 맛있는 만남으로 맛과 웃음, 감동까지 잡을 것으로 눈길을 끈다.

맛선 상대인 ‘맛선자’에게 ‘맛선 장소’에서 특별한 음식을 대접하며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국가대표 맛잘알 이영자와 맛의 큰손 언니 박세리가 맛의 메신저 ‘맛신저’ 역할로 고객 만족도 200%의 최상의 서비스를 선사할 예정이다.

새롭게 선보이는 13회부터는 "음식은 남김없이, 인연과의 이야기는 남기자"라는 프로그램의 모토는 유지하면서도 '예약 손님'의 사연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맛선 프로젝트'를 통해 MC 영자와 MC 세리, 그리고 화려한 '맛선자'들의 더욱 풍성한 토크가 펼쳐진다.

첫 방송을 앞두고 공개된 ‘남겨서 뭐하게’ 13회 예고에서는 스페셜 MC로 등장한 김숙이 ‘맛선 프로젝트’의 첫 주자로 활약을 펼친다. “경규 선배님과 화해하고 싶어요”라는 김숙의 고민에, 김숙과 ‘맛신저’로 변신한 2 MC 이영자 & 박세리가 함께 예능 대부 이경규를 찾아가 맛있는 대접 한상을 전한다.

VIP급 대접 한상에 만족한 ‘맛선자’ 이경규와 함께한 유쾌하고 즐거운 식사 자리도 잠시, 김숙의 “오늘 뭐 밥상 엎는 거 보고 싶어서 이러시는 거예요?”라는 도발과 “이 어린 것이…”라며 불만을 토로하는 이경규의 팽팽한 기류가 이어져, 둘 사이에 어떤 오해가 있는지, 갈등이 해소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2 MC 이영자 & 박세리가 “되게 잘 챙겨주신 건 맞아요”, “그냥 오빠 존재만으로도 고맙지”라고 이경규에 감사함을 털어놓으며 이어진 진솔한 대화 속에서 이경규는 “죽음을 생각할 수 있구나”라고 얘기하고, 급기야 MC 이영자는 눈물까지 터뜨려 무슨 사연이 담겼을지 궁금증을 자아낸다.

신규 프로젝트, ‘맛선 프로젝트’의 첫 주자로 김숙과 이경규 출연이 예고되어 눈길을 모으고 있는 영자와 세리의 ‘남겨서 뭐하게’ 13회는 10월 15일(수) 저녁 8시 tvN STORY에서 방송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서귀포시 예래동, ‘행복솔솔 장터나눔 냉장고’ 이용자 만족도 상승

[뉴스스텝] 서귀포시 예래동은 취약계층 먹거리 나눔 사업인 ‘행복 솔솔 예래동 장터나눔 냉장고’ 사업을 추진하며 지역 내 나눔문화 확산에 앞장서고 있다.올해 2월 개소 한 예래동장터나눔 냉장고는 지역주민, 기업·단체에서 후원하는 식료품, 밑반찬 등을 상시 비치해 관내 취약계층 및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들에게 지원 해오고 있다.현재까지 장터나눔 냉장고 기부 건수는 9월 말 기준 총 140건·1,100만 원 상

고용노동부, 중대재해 감축 상황점검회의 개최

[뉴스스텝] 고용노동부는 20일 오후 산업안전보건본부에서 안전보건감독국장 주재로 「중대재해 감축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떨어짐, 부딪힘, 끼임 등의 재래형 중대재해가 지속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감축하기 위해 그간의 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독려하기 위하여 마련됐다. 이날 회의에는 48개 지방노동관서의 산재예방지도과장, 건설산재지도과장, 광역중대재해수사과장 등 산업안전 관

한정수 전북도의원, 전북자치도 현실을 반영한 자체 통계 발굴 필요

[뉴스스텝] 전북특별자치도의회 한정수 의원(익산 4)은 20일 열린 제422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정확한 통계 없이는 정책도, 행정도 신뢰받을 수 없다”며 “전북자치도의 현실과 특성을 반영한 지역특화 통계 발굴 등 데이터 관리 체계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전북자치도 통계시스템은 도정 주요 지표를 도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정책 수립 및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2007년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