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보험' 이동욱X이주빈, ‘두근두근’ 걸음 맞춘 나란한 출근길! 마음의 거리 좁힌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4-07 14:30:25
  • -
  • +
  • 인쇄
▲ 사진 제공 = tvN

[뉴스스텝] ‘이혼보험’ 이동욱, 이주빈이 설레는 변화를 맞는다.

tvN 월화드라마 ‘이혼보험’(연출 이원석·최보경, 극본 이태윤, 기획 CJ ENM·스튜디오지니, 제작 몽작소·스튜디오몬도) 측은 3화 방송을 앞둔 7일, 노기준(이동욱 분)과 강한들(이주빈 분) 사이 미묘하게 달라진 분위기를 포착했다.

여기에 이혼보험 정식 출시를 위한 중요한 관문 앞에 있는 TF팀의 모습이 궁금증을 더욱 증폭시킨다.

지난 방송에서 TF팀은 본격 이혼보험 개발에 착수했다. 노기준과 강한들은 이혼보험의 명분을 찾기 위한 여정에서 진솔한 이야기를 나누며 한결 가까워졌다.

노기준의 공감 어린 위로가 설렘을 더한 가운데, 각고의 노력 끝에 이혼보험 조건부 승인을 얻어낸 TF팀의 정식 출시를 향한 또 다른 모험이 예고돼 기대를 더했다.

그런 가운데 공개된 사진은 거리를 두고 나란히 걷는 노기준, 강한들의 모습으로 설렘을 자아낸다. 두 사람은 특별한 결혼식에 초대받아 예상치 못한 데이트(?)를 즐긴다고. 차에서 내리려는 강한들에게 손을 건네는 노기준.

그의 로맨틱한 에스코트에 망설이는 강한들의 모습이 흥미롭다. 우당탕 첫 만남부터 별똥별 데이트까지 예측 불가의 인연을 이어 온 두 사람에게 또 한 번 설레는 변화가 찾아올지 기대를 모은다.

이혼보험 가입 심사 당일 TF팀의 모습도 포착됐다. 플러스손해보험 사옥 입구에 가득 들어선 신혼부부의 행렬을 바라보고 있는 노기준, 강한들, 안전만(이광수 분), 조아영(추소정 분). 예비 가입자들을 바라보는 이들의 표정엔 비장함과 걱정이 뒤섞여 있어 호기심을 자극한다.

TF팀은 이혼율 0퍼센트를 달성하기 위해 특별한 심사 방법을 도입한다고. 이혼보험 정식 출시를 위해 결혼 박람회장 홍보까지 감행했던 이들의 새로운 묘책은 무엇일지 궁금해진다.

‘이혼보험’ 제작진은 “오늘(7일) 방송되는 3화에서는 이혼보험 정식 출시를 위한 TF팀의 신박하고도 기발한 활약이 계속된다.

이혼보험 개발 과정은 사람들의 ‘나다운’ 인생을 보장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TF팀에게도 행복의 의미를 되새기는 과정이 될 것”이라며 “노기준과 강한들은 일과 데이트 사이 미묘한 설렘이 흐르는 시간을 보내며 한층 마음의 거리를 좁힌다”라고 전했다.

한편, tvN 월화드라마 ‘이혼보험’ 3화는 오늘(7일) 저녁 8시 50분 방송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윤충식 의원, 선착순 AI 지원은 '차별의 경기' 초래... 선심성 예산 지양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소속 윤충식 의원(국민의힘, 포천1)은 21일 ‘경기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 동의안’ 안건 심사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 중인 학생 대상 AI 지원 사업의 불공정성과 실효성 부재를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윤 의원은 경기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추진하려는 AI 활용 역량 강화 사업이 일부 대상에게만, 그것도 '선착순

경기도의회 박옥분 의원, 하천·계곡 지킴이 여성 지원자 86명 중 실제 선발 18명...“성인지 예산 무용지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2)은 21일 열린 2026년 본예산 심사 및 제3차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건설국과 건설본부를 대상으로 도민 생활안전 예산의 불투명한 감액, 성인지 예산 구조의 고착화, 지하안전 관리체계 부재 등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박 의원은 성인지 예산 분야와 관련해 “하천·계곡 지킴이의 여성 지원자는 86명(17.2%)이나 실제 선발은 18명(16.

경기도의회 박재용 의원, “복지예산이 경기 따라 흔들리는 ‘고무줄 예산’... 사회적 약자 기본권 침해 우려”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2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안 심의에서 2026년도 복지예산 편성과 관련해 노인·장애인 복지사업의 대규모 일몰 및 감액 문제, 추경 의존 구조, 복지예산의 불안정성을 강하게 지적하며 전면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박재용 의원은 “복지국 총 예산은 증가했지만 노인·장애인 복지예산 점유율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