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여성가족연구원 “제주 청년의 희망 일자리 성별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2-05 14:20:06
  • -
  • +
  • 인쇄
Jewfri Brief 발간
▲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뉴스스텝]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은 성별을 고려한 청년 일자리 지원을 위하여 “제주 청년의 희망 일자리 성별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 Jewfri Brief(연구책임자 선민정 연구위원)를 발간했다.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구축한 2022년 제주도민 일자리인식 실태조사 로데이터를 19~39세 청년 대상으로 재분석했다.

분석 결과, 제주 청년(19 부터 39세)이 일자리를 희망하는 경우는 56.5%이고, 일자리를 희망하지 않는 경우는 43.5%였다.

일자리를 희망하지 않는 제주 청년(19 부터 39세)은 일자리를 희망하지 않는 이유로 ‘유학, 진학, 군대 등의 이유로’가 40.6%로 가장 높았고, 두 번째로는 ‘결혼, 가사 및 육아, 자녀교육, 가족 돌봄 때문에’가 30.1%, 세 번째로는 ‘원하는 임금수준이나 근로조건이 맞는 일자리가 없으므로’가 13.9%로 높았다.

특히 일자리를 희망하지 않는 이유로 제주 30 부터 39세 청년여성은 ‘결혼, 가사 및 육아, 자녀교육, 가족 돌봄 때문에’가 74.8%로 매우 높았으며, 제주 19 부터 29세 청년남성은 ‘유학, 진학, 군대 등의 이유로’가 69.6%로 가장 높았고, ‘원하는 임금수준이나 근로조건이 맞는 일자리가 없으므로’가 20.0%로 두 번째로 높았다.

또한 19~39세 청년여성의 취업 희망 업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이 20.4%,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이 16.3%, 교육 서비스업이 15.6% 순으로 높았다.

19 부터 39세 청년남성의 취업 희망 업종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이 25.6%로 가장 높았고, 숙박 및 음식점업이 16.2%로 두 번째로 높았다.

제주 청년(19 부터 39세)의 취업 시 희망 월평균 임금은 평균 280.22만원이며, 19 부터 39세 청년여성은 263.87만원, 19 부터 39세 청년남성은 301.66만원을 희망하고 있었다.

2022년 기준 제주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여성이 215만원이고, 남성이 294만원으로 청년의 희망 월평균 임금보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훨씬 더 낮았다.

제주 청년(19 부터 39세)의 일자리 선택 시 고려사항은 ‘나의 적성과 전공, 흥미, 능력에 맞는 업무’가 56.5%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임금’이 22.7%, ‘고용의 안정성’이 8.7%, ‘근로시간 및 업무량’이 6.6% 순으로 높았다.

다만 청년여성은 청년남성에 비하여 고용 안정성보다 근로시간 및 업무량을 더 고려하고 있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청년 직업교육훈련 및 일자리 지원 시 성별 및 연령별 차이 고려와 청년의 일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을 제안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상원 김민철 원장, 안성·의왕 등 ‘통큰 세일’ 현장 방문…“민생 회복의 도약 계기”

[뉴스스텝]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뜨거운 호응을 얻으며 도민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2025년 하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현장을 찾아 홍보 열기를 이어가고 있다. 경상원은 지난 25일 김민철 원장이 안성맞춤시장, 의왕도깨비시장 등을 방문해 통큰 세일에 동참하고 있는 상인들을 격려하고 시장을 방문한 도민들에게 페이백 행사를 알렸다고 전했다. 안성맞춤시장은 전통시장과 청년 상인들로 구성된 ‘청년생

군포시의회, ‘시민이 느끼는 의회’ 조사

[뉴스스텝] 군포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시민과 함께하는 해피투게더 2’(대표의원 이훈미, 소속의원 이길호․박상현, 이하 해피투게더 2)가 시의원과 시의회에 대한 시민 인식을 조사하는 활동을 펼쳤다.군포시의회에 의하면 해피투게더 2는 27일 산본로데오거리 원형광장에서 올해 5번째 시민과의 만남을 진행했다.이날 해피투게더 2는 ‘군포시의원들을 만나는 방법’, ‘군포시의회를 검색하는 매체’, ‘군포시의회를 생각하

편리해진 통큰 세일 페이백 ‘인기’…시흥시 페이백 3일 만에 조기 종료

[뉴스스텝] 지난 22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30일까지 9일간 진행되는 ‘2025년 하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행사가 도민들의 많은 관심으로 일부 지자체에서는 예산이 조기 소진됐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시흥시 ‘통큰 세일’ 페이백 예산이 행사 3일째인 지난 24일 모두 소진됐다고 전했다. ‘통큰 세일’은 경기도 전통시장, 골목상권 등 420여 곳에서 동시에 개최되는 소비 촉진 행사로, 사용 금액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