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교육청, ‘한국의 말·멋·맛 나눔 사업’ 성공적으로 마무리!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9-12 14:25:25
  • -
  • +
  • 인쇄
호주·미국·우즈베키스탄 3개국 파견, 학생 95명 전원 안전 귀국
▲ 대구시교육청, ‘한국의 말·멋·맛 나눔 사업’ 성공적으로 마무리!

[뉴스스텝] 대구시교육청이 추진한 ‘2025년 한국의 말·멋·맛 나눔 사업’이 참가자 전원의 안전한 귀국과 함께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학생 95명과 교사 20명 등 총 115명이 지난 8월 24일부터 9월 8일까지 호주 시드니, 미국 샌프란시스코·LA,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를 방문해 한국문화 교류 활동을 펼쳤다.

‘말·멋·맛 사업’은 면접과 공개 시연 평가를 거쳐 선발된 학생들이 해외 현지에서 한국문화 공연과 체험 부스를 직접 기획·운영하는 국제교류 프로그램이다.

호주 시드니에는 학생 28명과 교사 6명이 방문해 버우드여자고등학교와 홈부시고등학교에서 부채춤, K-팝 공연, 태권도 시범을 선보이고 한복 입기, 한글 캘리그래피, 전통놀이 체험과 함께 잔치국수, 유자차, 꼬마김밥 만들기를 운영했다.

미국에는 학생 30명과 교사 6명이 샌프란시스코 버클리대학교와 베이지역 한인회관, LA 코리아타운플라자를 찾아 K-팝 댄스, 국악 연주, 태권도 공연과 더불어 한글 이름쓰기, 자개 키링 만들기, 한복 착용 체험을 펼치고 인절미 카스테라, 떡갈비, 약과 등을 나눴다.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는 학생 37명과 교사 8명이 니자미국립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와 타슈켄트한국교육원에서 K-팝 댄스, 태권도, 대구 전통 날뫼북춤 공연과 함께 한글 명찰 만들기, 딱지치기, 달고나 뽑기 등 전통놀이와 감자전, 매실차, 다식 만들기 체험을 선보였다.

학생들이 준비한 공연과 체험은 각 방문 기관마다 100~150명의 현지 학생과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환호 속에 진행됐다.

K-팝 댄스와 태권도 시범에는 함께 동작을 따라하며 즐기는 모습이 이어졌고, 한복 입기와 한글 이름쓰기 체험은 큰 인기를 끌었다.

특히, 베이지역 한인회관에서 로웰고등학교 학생들과 함께한 교류 행사는 샌프란시스코 현지 언론에도 소개되며 교류의 의미를 더욱 확산시켰다.

상서고등학교 김나은 학생은 “친구들과 협력하며 현지 학생들과 교류를 통해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진정한 소통의 의미를 깨달은 뜻깊은 경험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강은희 교육감은 “이번 3개국 교류는 단순히 한국문화를 알리는 차원을 넘어 학생들이 글로벌 시민으로 성장하는 소중한 기회였다”며, “앞으로도 학생들의 국제적 역량을 키우는 교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구시교육청은 9월 13일 교육청 행복관에서 참가 학생들의 경험과 성장을 공유하는 최종 성과보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인천시,‘서구에 말라리아 경보’발령, 강화군 이어 올해 두 번째

[뉴스스텝] 인천광역시는 지난 7월 16일 강화군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9월 12일 서구에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하고 대응에 나섰다고 밝혔다.말라리아 경보는 전국 말라리아 주의보 발령 이후 첫 군집사례가 발생하거나 동일 시군구에서 매개모기 일 평균 개체수가 2주 연속 5.0 이상일 때 내려진다.이번 경보는 전국 말라리아 주의보 발령 이후 서구에서 첫 군집사례가 발생함에 따른 조치이다.군집사례는 말라리아 위

창원특례시, 봉암교 교각 중대 균열 긴급 복구 현장 점검

[뉴스스텝] 장금용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은 12일 봉암교 교각(P11) 중대 균열 긴급 복구공사 현장을 방문해 현장점검을 실시했다. 봉암교는 창원국가산업단지와 수출자유무역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교량으로 1982년도에 개통됐으며, 하루 6만여 대의 차량이 통행하고 있다. 시는 2년 주기로 정밀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 점검에서 교각(P11) 기둥에서 중대 균열이 발견돼 긴급 복구 공사를 완료했다. 이번

안동시의회 우창하 의원, 경북 특별자치도 전환 필요성 강력 촉구

[뉴스스텝] 안동시의회 우창하 의원(서후·북후·송하)이 12일 열린 제260회 안동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경북의 미래와 생존을 위한 특별자치도 전환 필요성을 강하게 촉구했다.우창하 의원은 발언에서 경상북도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문제를 지적하며, “도내 22개 시·군 중 19곳이 소멸위험지역으로 지정됐고, 안동 역시 인구감소지역에 포함됐다”라면서 현행 행정통합 논의만으로는 지역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