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서와~~ 이런 서울 잡담은 처음이지? 서울시 프리미엄 팟캐스트 ‘잡담의 미학’ 론칭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3-31 14:30:48
  • -
  • +
  • 인쇄
서울시 유튜브 채널 및 팟캐스트 플랫폼에서 31일부터 확인 가능
▲ ‘잡담의 미학’ 장면 일부

[뉴스스텝] 서울시는 31일, 새로운 형식의 오디오·비디오 팟캐스트 ‘잡담의 미학’을 정식 론칭한다. ‘잡담의 미학’은 서울을 배경으로 다양한 분야의 명사들과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누는 토크쇼로, 단순한 인터뷰 콘텐츠를 넘어 고품격 프리미엄 서울형 토크쇼로써 시민들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진행은 작가이자 유튜버인 '무빙워터'가 과학자, 예술가 창작자 등의 게스트와 현대인의 삶에 대한 담론을 나눌 예정이다.

‘잡담의 미학’은 과학, 문화, 예술, 시사 등 폭넓은 주제를 다루며, 시민들이 보다 쉽게 공감하고 몰입할 수 있도록 참여자들의 자유로운 대화와 이에 따른 깊이 있는 통찰을 통해 서울을 알린다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서울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과 이야기를 중심으로 스토리텔링을 강화하여 시민들에게 보다 친근하게 다가갈 계획이다.

또한, 서울시가 추진하는 다양한 정책을 주제와 연계하여 시민들뿐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식과 공감을 바탕으로 열린 소통을 강화하고 시민들이 더 쉽게 정책에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잡담의 미학’의 첫 편에는 공학자이자 소설가인 곽재식 작가가 출연한다. 곽 작가는 자신의 저서 관련 비하인드뿐 아니라, 시민들이 책을 더 쉽고 재미있게 접근 가능한 방법들을 소개할 예정이며, 두 번째 편에서는 뇌과학자인 장동선 박사가 출연하여 현대사회의 외로움 문제를 다룬다. 장 박사는 자신의 연구와 경험을 바탕으로 외로움의 원인과 해결책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현대인들이 겪고 있는 정신적 문제와 해법에 대해 진솔하게 이야기할 예정이다.

‘잡담의 미학’은 31일 서울시 유튜브와 팟캐스트를 통해 정식 공개되며, 올 한해 격주간 공개될 예정이다. 총 3개의 파일럿 시리즈 공개 후, 향후 다양한 전문가 및 유명 인사를 초대해 다채롭고 친근한 주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청취자들과 소통할 예정이다.

민수홍 서울시 홍보기획관은 ‘이번 기획이 서울시의 다양한 정책과 활동을 널리 알릴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러한 ‘잡담의 미학’ 팟캐스트 콘텐츠를 통해 서울시의 정책과 사회적 이슈를 시민들에게 쉽게 전달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서울시의 다양한 활동에 관심을 가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철원 지역의 로컬푸드와 식문화를 ICT기술을 활용하여 예술적으로 재해석한 ‘철원 미래 식탁’ 인기몰이

[뉴스스텝] 철원 지역의 로컬푸드와 식문화를 예술적으로 재해석한 프로젝트 '철원 미래식탁'이 '2025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철원 노동당사'에서 선보이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식음 연출을 총괄한 염혜숙 푸드 디렉터는 철원에서 활동하는 식문화 전문가로, 로컬푸드의 정체성과 감성을 미디어아트적 감각으로 재해석하며 새로운 시도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철원의 대표

'금요일 밤에' 홍지윤, 감성 폭발 '내장산' 100점 완승! 정서주와 듀엣까지 '완벽'

[뉴스스텝] 가수 홍지윤이 매력 넘치는 무대로 시청자들을 사로잡았다.홍지윤은 지난 17일 방송된 TV CHOSUN 예능 프로그램 '트롯 올스타전: 금요일 밤에'(이하 '금요일 밤에')에 출연해 '트롯 선후배의 밤' 특집을 꾸몄다. 이날 '미스트롯2' 선(善) 출신 홍지윤은 레드 드레스를 입고 등장해 압도적인 비주얼과 함께 강렬한 존재감을 발산했다.

제7회 울산울주마채소금축제 성황리 개최

[뉴스스텝] ‘제7회 울산울주마채소금축제’가 19일 울주군 청량읍 청량천변 일대에서 주민과 관광객들의 뜨거운 호응 속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청량읍발전협의회가 주관하고 청량읍의 여러 사회단체가 함께 참여한 이번 축제는 지역의 역사와 공동체 정신을 되새기는 뜻깊은 자리로 마련됐다.과거 울산지역 소금 생산의 중심이었던 마채염전을 재현해 전통 자염의 제작과정을 직접 보고 체험하며, 마채염전 사진전을 통해 옛 염전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