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2024년 상하수도 기반시설 확충에 국비 1,179억 확보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9-08 14:55:34
  • -
  • +
  • 인쇄
올해 1,036억(1회추경 기준) 대비 13.8% 상승… 총 143억 원 증가
▲ 제주도, 2024년 상하수도 기반시설 확충에 국비 1,179억 확보

[뉴스스텝] 2024년 정부 예산(안)이 확정된 가운데 제주특별자치도 상하수도본부는 제주지역 상하수도 기반시설 확충사업을 위한 국비 예산 총 1,179억 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2024년 상하수도 관련 국비 예산은 올해 1,036억 원보다 143억 원이 증가해 13.8% 상승했다. (’22년도 국비 788억 원)

’24년 정부 예산(안)에 반영된 제주지역 주요 상하수도 사업 내용을 살펴보면, 상수도 사업에는 466억 원이 반영됐고 하수도 사업에서는 713억 원을 확보했다.

상수도 사업은 구좌·성산 노후상수관망 정비사업 34억 원, 도서지역(비양도) 상수도시설 확충사업 12억 원, 강정정수장 현대화 사업 150억 원, 도서지역(추자·가파·마라) 해수 담수화 사업 135억 원, 제주시 동지역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 78억 원, 노후 상수관로(애월) 정비사업 48억 원, 월산정수장 현대화사업 2억 원 등이다.

하수도 사업은 하수처리장(제주·동부·서부·대정) 확충사업 309억 원, 하수관로(15개소) 정비사업 160억 원, 도시침수 대응사업(김녕·하모) 10억 원, 하수관로 임대형 민자사업(BTL) 임대료 230억 원 등이 반영됐다.

이 중 구좌·성산 노후상수관망 정비사업, 도서지역(비양도) 상수도시설 확충사업, 대정하수처리장 증설사업 등 5개 신규사업에 총 67억원을 확보했다.

상하수도본부는 2024년 국비 확보 총력 대응을 위해 지난해말부터 ‘국비확충 전담팀(T/F)’을 운영하고, 중앙부처와의 절충 노력을 이어왔다.

특히 제주지역 주요 현안인 ‘제주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이 적기에 추진되기 위해서는 내년 국비 예산 410억 원이 필요하나 163억 원만 반영됨에 따라 국회 절충을 통해 국비 예산 추가 확보에 매진할 계획이다.

강재섭 제주도 상하수도본부장은 “제주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 등 추가 반영이 필요한 사업들은 국회 심의 과정에서 최대한 증액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며 “국회 상임위 및 예결위 위원들을 만나 사업의 시급성 등을 피력하는 등 예산 추가 확보에 끝까지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횡성군, 농식품부‘농촌공간정비사업(농촌특화지구형)’공모 최종 선정

[뉴스스텝] 횡성군이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을 위해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한 ‘2025년 농촌공간정비사업(농촌특화지구형)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100억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다.농촌공간정비사업(농촌특화지구형)은 농촌공간 재구조화, 재생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시군이 농촌공간계획을 토대로 조성하는 농촌특화지구를 지정‧육성하는 사업으로 상호 기능보완이 가능한 2개 이상의 농촌특화지구를 연계 지원하여 공간 재

울산시,‘신태화교’낡은 길 벗고 새 길로 새 단장

[뉴스스텝] 울산시는 시민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도로 이용을 위해 ‘신태화교 교면포장공사’를 오는 9월 25일부터 26일까지 양일간 시행한다고 밝혔다.이번 사업은 신태화교 구조물의 공용수명 연장과 차량의 안전한 도로주행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추진된다.공사 구간은 신태화교 연장 440m로 4개 전차로의 교량 노면과 접속도로를 재포장하고 구태화교 교량 노면 부분 보수도 시행한다.공사는 교통이 혼잡한 낮 시간대를

안동시, 영가헌에서 만나는 민화의 아름다움

[뉴스스텝] 안동시는 오는 9월 24일부터 웅부공원 내 전통 한옥 ‘영가헌’에서 민화 전시회를 개최한다. 고려시대 관아 건물을 복원한 영가헌은 2002년 완공된 이후 특별한 행사 시에 한시적으로 개방돼 왔다. 지난해 서각 전시회를 시작으로 올해는 주요 시설 정비와 방범 시설 확충을 마쳐 한층 안전하고 쾌적한 문화공간으로 거듭났다.이번 전시에는 십장생도, 연화도, 황계도 등 다양한 주제를 담은 민화 작품 3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