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년 전 한반도 벼 재래종 특성 정보 담은 책자 나와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08-18 16:05:09
  • -
  • +
  • 인쇄
‘조선도품종일람’번역본 출간… 재래종 벼 활용 품종 개발에 도움
▲ 농촌진흥청

[뉴스스텝] 농촌진흥청은 우리나라 벼 재래종의 이름과 다양한 특성이 담겨 있는 ‘조선도품종일람’의 번역본을 출판했다.

‘조선도품종일람’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산하 농업연구기관인 권업모범장이 1911년과 1912년 2년에 걸쳐 한반도 13개도 314개 시‧군에서 재배했던 벼 재래종의 한글 이름을 조사해 시‧군별로 논메벼, 논찰벼, 밭메벼, 밭찰벼로 구분하고 주요 특성 정보 등을 정리해 출간한 책이다.

이 책에는 논메벼 2,437자원, 논찰벼 1,081자원, 밭메벼 208자원, 밭찰벼 104자원 등 한반도 벼 재래종 3,830자원의 한자, 일본어 이름과 벼 익는 시기, 까락 유무, 까락 색, 벼알 색, 벼알 크기, 착립 밀도, 가뭄 견딜성, 재배면적 비율 등 정보가 담겨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생물 주권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우리 유전자원의 다양성을 확보하고자 지난해 6월부터 ‘조선도품종일람’의 한글 번역을 시작했다. 이후 수십 년 현장경험이 있는 벼 육종 전문가들의 감수와 보완을 거쳐 올해 번역본을 출판했다.

110년 전 출간한 이 책자에는 지금은 사라진 벼 재래종을 비롯해 다양한 특성이 있는 벼 재래종이 담겨 있어 기후변화, 식량 위기 대응에 필요한 다양한 유전자원 정보를 확보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번에 발간된 책자는 원본에 충실한 번역으로 제작됐으며, 현장에서 활용하면서 개정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계획이다.

또한, 식량자원 관련 기관과 대학, 농업인 및 토종자원 단체에 배포할 예정이며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에서 전문을 파일(PDF)로도 볼 수 있다.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 재래종 벼 유전자원은 올해 기준 1,449자원이며, 그 중 ‘조선도품종일람’에 수록된 각씨나, 강릉도 등과 같이 자원명과 기타 정보가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40자원 정도다.

전국토종벼농부들 이근이 대표는 "110년 만에 번역된 한반도 벼 재래종의 이름과 정보는 우리 벼 재배에 큰 도움이 되는 자료다.”라며, "책자에 담긴 내용을 잘 살려 농촌 지역사회의 역사, 문화와 연계하면 농촌지역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색다른 이야깃거리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 이주희 센터장은 "이 책자는 벼 재래종을 포함한 토종 벼를 생산하고 다양하게 활용하는 민간단체, 벼 품종 개발에 매진하고 있는 육종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자료로 가치가 높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부여군, 추석·백제문화제 대비 친절·안전 운행 결의대회 개최

[뉴스스텝] 부여군은 추석 명절과 제71회 백제문화제를 앞둔 지난 30일, 친절하고 안전한 교통서비스 제공을 위한 친절·안전 운행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결의대회는 많은 관광객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를 맞아 부여를 찾는 관광객과 군민에게 더욱 안전하고 친절한 교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이날 행사에는 부여여객 소속 전 운전기사와 관리 직원들이 참여해 안전 운행을 서약하며, “내가 바로 부

부여군 차량 무상점검과 함께, 안전한 백제문화제

[뉴스스텝] 부여군은 제71회 백제문화제 기간인 오는 10월 12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부여읍행정복지센터 앞에서 자동차 무상점검 서비스를 운영한다고 밝혔다.이번 서비스는 충남자동차전문정비사업조합 부여지회(지회장 김용관) 소속 자동차 정비사 약 40명이 자발적인 봉사활동으로 참여하며, 차량 배기가스 측정과 타이어 공기압 점검 등 기본 점검부터 워셔액 보충, 엔진오일·와이퍼 교환 등 소모품 교환 서비

배움에 대한 갈증 해소해 드립니다, 군산시‘오식도평생학습센터’, 주민들에 호평

[뉴스스텝] 작년에 개관한 군산산단복합문화센터에서 운영되는 오식도평생학습센터가 지역 주민들을 위한 ‘배움의 오아시스’로 각광받고 있다. 그간 군산 도심과 떨어진 오식도 산업단지는 교육·문화 인프라 접근성이 제한적이었으나 오식도평생학습센터 운영 이후 지역 주민들이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배움의 기회를 제공받으면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2024년 시범 운영으로 시작한 오식도평생학습센터는 올해 강좌 수를 대폭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