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산림위원회에서 한국 선진 산림정책 전파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7-23 16:21:05
  • -
  • +
  • 인쇄
전세계 120여 개국에 한국의 산림녹화 사례 및 통합산불관리 대책 공유
▲ 제 27회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산림위원회(산림청 남송희 수석대표 본회의 발언)

[뉴스스텝] 산림청은 (현지시간) 22일부터 26일까지 5일 동안 이탈리아 로마에서 개최되는 ‘제27차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산림위원회’에 정부 대표단으로 참석해 120여 개 회원국과 함께 산림분야 의제를 논의한다고 밝혔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산림위원회(COFO)는 2년에 한 번 개최되는 산림분야의 가장 큰 행사 중 하나로써 국제 산림정책방향을 공유하고 전 세계 대륙별 산림 관련 정보 및 통계를 발표하는 정기 회의다.

이번 제27차 산림위원회의 주제는 ‘혁신을 통한 산림해결책 가속화(Accelerating Forests Solutions through Innovation)’로 주요의제는 △2024 세계 산림현황 △농업과 임업 간의 연계 △바이오 경제에 대한 산림의 기여 증진 △통합 산불관리 △유엔 생태계복원 10개년 계획 △ 제16차 세계산림총회 개최국 등을 논의한다.

산림청은 이번 본회의에 앞서 지난 19일 유엔식량농업기구(FAO), 국제산림연구기관연합(IUFRO), 캐나다, 오스트리아, 호주 등 국제기구 및 주요 회원국들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의 지속가능한 목재경험과 도전’이라는 주제로 △한국의 산림녹화 △국민들의 부정적 벌채인식 제고를 위한 홍보 △지속가능한 목재친화 도시정책 △합법목재교역제도 등 한국의 우수한 목재정책 등을 소개했다.

본회의 첫날인 22일(현지시간)에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2년마다 발표하는 ‘세계산림현황(SOFO) 2024 보고서’ 발간을 환영하며 한국의 혁신적인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산불 예방부터 산불 진화 후 산림복원에 이르기까지 단계별 산불 대응체계를 설명하고 유엔식량농업기구와 함께 추진하고 있는 ‘통합산림위험관리(AFFIRM)’ 사업을 통해 국제 산불관리 분야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렸다.

산림청은 이번 산림위원회 개최기간 동안 ‘산림바이오산업 활성화방안’ 등 주요정책을 회원국들과 공유하고 한국의 대표적 국제산림협력사업인 산림경관복원메커니즘(FLRM) 사업을 통해 유엔생태계복원 10개년 계획 달성에 기여하고 있음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다.

남송희 산림청 국제산림협력관은 “유엔기구와 같은 국제회의에서 한국의 선진 산림정책 및 추진성과를 공유해 국제적 상생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라며, “전세계 120여 개 회원국들과 국제산림협력을 강화해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2025 나주영산강축제’, 전통과 현대의 어울림 3일차 현장

[뉴스스텝] ‘2025 나주영산강축제’ 개막 3일 차에 접어든 가운데 전통과 현대가 조화롭게 어우러진 무대들로 행사를 성황리에 이어가며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기는 가을 축제의 진면목을 선보였다.10일 나주시(시장 윤병태)에 따르면 평일임에도 불구하고 축제장에는 입소문을 타고 찾아온 방문객들로 붐볐고 다양한 문화공연과 케이팝 콘서트 등 세대를 아우르는 프로그램으로 뜨거운 호응을 얻으며 축제 열기를 이어갔다

캠핑하고 10만원 상품권 받고… 정읍시 적극행정, 관광객·지역경제 ‘윈윈’

[뉴스스텝] 정읍시가 국민여가캠핑장에 도입한 ‘우선예약 환급제도’가 시행 초기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적극행정의 성공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정읍 국민여가캠핑장은 그간 매월 25일 정기예약일만 되면 글램핑·카라반 등 인기 시설을 선점하려는 이용객들이 한꺼번에 몰리며 서버가 마비되는 등 고질적인 문제를 겪어왔다. 시는 이러한 이용객의 불편을 해소하고,

홍천교육지원청, 철원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노동당사 방문

[뉴스스텝] 홍천교육지원청은 10월 10일 철원군 노동당사에서 열린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공연과 역사문화 체험 프로그램에 교육전문직원 및 행정과 팀장 등 12명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한국전쟁과 분단의 상징적 공간인 노동당사의 역사적 가치를 직접 체험하고, 평화와 통일의 중요성을 되새기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현장 기반 역사교육의 실질적 효과를 경험하는 자리가 됐다. 참가자들은 오전에 철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