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복지재단, 12일 좋은 돌봄 문화 조성을 위한 인권 워크숍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9-13 17:15:09
  • -
  • +
  • 인쇄
서울형 좋은 돌봄 인증시설의 인권 기반 좋은 돌봄 실천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 9월 12일 서울시복지재단에서 열린 2023년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시설 인권 워크숍에 참여한 종사자들이 인권 선언식을 하고 있다.

[뉴스스텝] 서울시복지재단은 서울형 좋은 돌봄 인증시설의 품질향상을 위해 최근 2년간 진행한 인권자문 대상 시설 종사자들과 함께 자문 결과를 공유하고 인권 기반 좋은 돌봄 실천방안을 모색하기 위한'인권 워크숍'을 12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서울형 좋은 돌봄 인증제는 장기요양기관의 공공성 확보와 품질향상을 위해 서울시에서 공인하는 제도로 서울시 소재 주야간보호시설,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번 인권 워크숍은 '좋은 돌봄 문화조성을 위한 어르신과 종사자가 함께 행복할 권리'라는 주제로 서울시복지재단 5층 대회의실에서 진행됐으며, ‘22년~’23년 인권 자문을 진행한 좋은 돌봄 인증시설 중 약 25개소가 참여해 인권 자문 주요 결과와 다양한 인권 기반 좋은 돌봄 실천사례를 공유했다.

서울형 좋은 돌봄 인증 주기는 3년이며, 인증 취득 후 재인증을 받기 전까지 재단은 품질향상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소방안전, 영양, 인권, 회계 분야의 전문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인권 분야 전문자문은 어르신 입소부터 생활, 퇴소까지 단계별 인권 실천현황과 종사자의 인권보장 등을 시설 라운딩과 관련 서류 검토를 통해 확인하고 직군별 종사자 간담회를 통해 인권 딜레마 상황 등 현장에서 맞닥뜨릴 수 있는 어려움에 대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재단은 ‘22년~’23년 총 52개소에 인권 분야 전문자문을 제공했다.

또한, 종사자 그룹과 시설장 그룹으로 나눠 현장의 어려움에 대한 주제별 소그룹 토의를 통해 종사자 스스로 인권 기반 좋은 돌봄 실천을 위한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종사자 그룹 주제는 ▲어르신의 공격 성향과 차별, 혐오에 대한 대안 모색, ▲종사자 인권 보장을 위한 노력 방안, ▲보호자와의 소통과정과 갈등해결 방안이며, 시설장 그룹 주제는 ▲인권기반 환경 구축과 조직운영 방안이다.

이후, 좋은 돌봄 인증시설 종사자들은 인권의 중요성을 다시금 상기하고 다짐하기 위해 제작된 부채에 직접 기관명을 적고 서명하는 인권 선언식을 가졌다.

김연선 서비스품질관리본부장은 “어르신과 종사자의 인권 보호와 존중을 위한 실천은 좋은 돌봄 인증의 기본이자 핵심 가치”라며, “재단은 좋은 서비스, 좋은 일자리, 좋은 기관을 만들기 위한 인권 자문, 인권 워크숍 등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2025 음성명작페스티벌, 4일간 대장정 성황리 마무리

[뉴스스텝] ‘음성명작에서 피어난 6가지 이야기’라는 주제로 지난 25일부터 28일까지 금왕읍 금빛근린공원에서 열린 2025 음성명작페스티벌이 올해의 음성명작 대상 시상을 끝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올해로 네 번째를 맞이한 음성군 통합농산물 축제인 음성명작페스티벌은 개막부터 축제가 끝나는 날까지 방문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나흘 동안 25만여명이 다녀가 전년도 대비 78.6%의 방문객 증가를 기록하며,

‘춤으로 세계를 품다’ 천안흥타령춤축제에 89만명 방문…"세계적 경쟁력 확인"

[뉴스스텝] 춤으로 세대와 국경을 초월한 ‘천안흥타령춤축제 2025’가 친환경 드론 라이트쇼를 끝으로 28일 폐막했다.올해 흥타령춤축제는 ‘All that Dance in Cheonan’이란 슬로건으로 24일부터 천안종합운동장과 천안시 일원에서 열렸다.천안시와 천안문화재단은 24일부터 닷새간 89만 4,000명의 국내외 방문객이 축제장을 찾은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61개국 4,000여 명의 무용단과 방문

전남도, 정부 전산 장애 상황 속 도민 서비스 정상화 온힘

[뉴스스텝] 전라남도는 국가정보시스템 장애로 인해 도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 불편이 예상됨에 따라 수기 처리, 신청기한 연장, 대체 창구 안내 등 방법을 통해 도민 불편 최소화에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주민등록등·초본 등 제증명은 읍면동사무소를 직접 방문해 발급받을 수 있으며, 전입신고는 읍면동 수기 접수를 통해 일괄 소급 적용된다.주민등록증 발급 및 재발급은 시스템 복구 시까지 불가함에 따라 과태료는 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