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수소도시 확산, 민간의 아이디어로 이끈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2-02 17:25:13
  • -
  • +
  • 인쇄
3일 수소도시 융합포럼(113개 기업 및 기관) 창립총회 개최
▲ 국토교통부

[뉴스스텝] 국토교통부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원장 박승기)은 수소도시 확산을 위해 산․학․연․관이 함께 참여하는 '수소도시 융합포럼'창립 총회를 2월 3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수소도시 융합포럼은 수소도시의 본격적인 확산에 대비하여 기술과 자본을 갖춘 민간의 수소도시 참여를 유도하고, 수소도시 관련 지식 및 정보의 공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발족이 논의되어 왔으며,지난해 10월 13일 '수소도시 콘퍼런스'를 통해 수소도시 융합포럼 구축을 위한 설명회를 개최한 후 참여 기관을 모집하여, 지자체, 기업, 연구기관, 학계 등 113개 기관 및 기업이 참여하기로 했다.

특히, 현대중공업, 현대모비스, 현대로템, 포스코건설, 두산퓨얼셀, 한전KPS, 한전KDN, 코오롱글로벌, 대우건설, STX에너지솔루션, 한국 타이어 등 국내 유수의 민간 기업 참여가 높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또한, 울산, 안산, 전주, 완주, 삼척, 평택, 남양주, 당진, 보령, 광양, 포항 등 수소도시사업을 진행 중이거나 새롭게 추진하는 지자체가 참여하여 수소 시범도시(울산, 전주·완주, 안산)를 진행한 노하우를 타 지자체들과 공유할 계획이며, 연구기관과 공기업 등도 참여해 아이디어를모을 예정이다.

사전에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창립 총회는 기조강연을 맡은 포항공대 윤창원 교수가‘탄소중립을 이끄는 수소도시의 발전 방향’을 주제로 발표하고, 수소도시 융합포럼 운영계획을 공유할 예정이다.

수소도시 융합포럼은 운영위원회, 수소도시협의회, 분과위원회로 구성되고, 분과위원회는 '기술개발', '산학협력', '법제도 정비', '국내․외 보급 확산'의 네가지 분야로 운영한다.

수소도시 융합포럼은 수소도시 노하우 공유, 수소도시 정책 관련 아이디어 제안, 해외동향 공유 등 수소도시 확산을 위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기존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형식으로 수소도시 거버넌스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이날 창립총회에 참석하는 국토교통부 길병우 도시정책관은 “수소도시융합포럼을 통해 민간의 새로운 아이디어가 많이 제안되기를 기대하며, 수소도시 정책의 성공을 위해서는 정부, 민간이 자신의 영역의 틀을 벗어나 머리를 맞대는 노력이 중요한 때”라며 추진 주체 간의 네트워크와화합을 강조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합천군, 가을철 축제 안전관리 총력 대응

[뉴스스텝] 합천군은 10월 10일 오전 10시 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2025년 제4회 안전관리 실무위원회'를 개최하여 가을철 대표 축제인 제4회 황매산억새축제와 제3회 합천황토한우축제에 대한 안전관리계획을 심의했다.이번 안전관리 실무위원회는 부군수를 위원장으로 축제 관련 부서장과 경찰, 소방, 전기·가스 분야 실무위원이 참석하여 축제 안전관리계획에 대해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질의 응답하는 시

광교청소년청년센터, 환상의 나라 '광광(光光)랜드' 행사 개최

[뉴스스텝] 수원시청소년청년재단(이사장 최종진) 광교청소년청년센터는 오는 10월 25일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청소년·청년 및 지역주민을 위한 가을맞이 축제 ‘환상의 나라 '광광(光光)랜드'’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축제는 체험부스 및 전시(13:00~16:00) 문화예술공연(16:00~17:00)으로 구성되며, 온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특히 총 1

‘2025 나주영산강축제’, 전통과 현대의 어울림 3일차 현장

[뉴스스텝] ‘2025 나주영산강축제’ 개막 3일 차에 접어든 가운데 전통과 현대가 조화롭게 어우러진 무대들로 행사를 성황리에 이어가며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기는 가을 축제의 진면목을 선보였다.10일 나주시(시장 윤병태)에 따르면 평일임에도 불구하고 축제장에는 입소문을 타고 찾아온 방문객들로 붐볐고 다양한 문화공연과 케이팝 콘서트 등 세대를 아우르는 프로그램으로 뜨거운 호응을 얻으며 축제 열기를 이어갔다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