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옛길 따라 걷는 배움… 초등생 대상 역사·생태 체험 마무리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9-30 17:30:20
  • -
  • +
  • 인쇄
경기문화재단 경기역사문화유산원 초등학생 대상 ‘경기옛길 더하기, 생태’ 2회차 운영 성료
▲ 경기옛길 더하기, 생태 1회차 행사사진

[뉴스스텝] 경기문화재단이 주관한 초등학생 대상 현장 체험 프로그램 ‘경기옛길 더하기, 생태’가 9월 30일 평해길 제3길 정약용길(남양주)에서 열린 2회차 행사를 끝으로 마무리됐다. 이 프로그램은 경기도의 역사문화자원과 생태환경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된 교육 프로그램으로, 총 2회에 걸쳐 운영됐다. 1회차는 9월 23일 삼남길 제7길 독산성길, 2회차는 9월 30일 평해길 제3길 정약용길에서 각각 진행됐다.

1회차에서는 오산시 보적사와 독산성 일대를 중심으로 체험활동이 진행됐다. 더샘물학교 3학년 학생 28명은 숲속 생물을 직접 관찰하고, 오감으로 자연을 느끼며 생태 감수성을 키웠다. 독산성과 권율 장군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며 역사적 상상력을 키우는 시간도 마련됐다. 아이들은 마지막으로 마패 만들기 체험에 참여해 자신만의 창작물을 완성하며 배움의 즐거움을 더했다.

2회차는 실학자 정약용의 생가와 실학박물관, 인근 생태공원을 무대로 열렸다. 2회차에 참여한 샘물학교 3,4학년 41명의 학생들은 실학자 정약용의 삶과 유적을 직접 탐방하며, ‘정약용의 어린 시절은 어땠을까?’라는 물음을 따라가는 역사 해설을 들었다. 활동지는 물론, 역사 퀴즈와 마패 만들기 체험도 함께 진행돼 학습 효과를 높였다.

행사 종료 후 실시된 만족도 설문조사에서는 참가자 전원이 프로그램에 대해 ‘만족’ 또는 ‘매우 만족’이라고 응답했다. 인솔 교사들은 “교과 과정과 자연스럽게 연결된 활동”이라며 “아이들이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평가했다.

경기문화재단 관계자는 “옛길을 따라 걷고, 자연과 문화를 함께 배우는 시간이 되도록 기획했다”며 “향후에도 경기옛길을 활용한 체험형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기옛길 더하기, 생태’는 경기문화재단 경기옛길센터가 운영 중인 옛길 활용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번 행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체험 교육으로 특별히 기획됐다. 어린이들이 직접 걷고 느낀 이 체험이 오랫동안 기억되기를 바라며, 재단은 앞으로도 교육과 문화유산을 잇는 길 위의 배움터를 넓혀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상원 김민철 원장, 안성·의왕 등 ‘통큰 세일’ 현장 방문…“민생 회복의 도약 계기”

[뉴스스텝]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뜨거운 호응을 얻으며 도민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2025년 하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현장을 찾아 홍보 열기를 이어가고 있다. 경상원은 지난 25일 김민철 원장이 안성맞춤시장, 의왕도깨비시장 등을 방문해 통큰 세일에 동참하고 있는 상인들을 격려하고 시장을 방문한 도민들에게 페이백 행사를 알렸다고 전했다. 안성맞춤시장은 전통시장과 청년 상인들로 구성된 ‘청년생

군포시의회, ‘시민이 느끼는 의회’ 조사

[뉴스스텝] 군포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시민과 함께하는 해피투게더 2’(대표의원 이훈미, 소속의원 이길호․박상현, 이하 해피투게더 2)가 시의원과 시의회에 대한 시민 인식을 조사하는 활동을 펼쳤다.군포시의회에 의하면 해피투게더 2는 27일 산본로데오거리 원형광장에서 올해 5번째 시민과의 만남을 진행했다.이날 해피투게더 2는 ‘군포시의원들을 만나는 방법’, ‘군포시의회를 검색하는 매체’, ‘군포시의회를 생각하

편리해진 통큰 세일 페이백 ‘인기’…시흥시 페이백 3일 만에 조기 종료

[뉴스스텝] 지난 22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30일까지 9일간 진행되는 ‘2025년 하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행사가 도민들의 많은 관심으로 일부 지자체에서는 예산이 조기 소진됐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시흥시 ‘통큰 세일’ 페이백 예산이 행사 3일째인 지난 24일 모두 소진됐다고 전했다. ‘통큰 세일’은 경기도 전통시장, 골목상권 등 420여 곳에서 동시에 개최되는 소비 촉진 행사로, 사용 금액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