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립미술관, 제주미술사 조명하는 2개 기획전 동시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0-30 17:40:39
  • -
  • +
  • 인쇄
기획전시실 1 《시대의 가교(架橋): 제주미술의 선구자들》
▲ 시대의 가교 전시 포스터

[뉴스스텝] 제주 도립미술관(관장 이종후)이 제주미술 70년 역사를 조명하는 두 개의 기획전을 동시에 연다.

제주미술협회 창립 70주년과 제주미술대전 50주년을 맞아 선구자 17인의 작품 60점과 역대 수상작 33점을 공개한다. 제주화단의 뿌리부터 현재까지, 제주미술의 정체성과 계보를 한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자리다.

미술관은 11월 4일부터 30일까지 기획전시실 1, 2에서 《시대의 가교(架橋): 제주미술의 선구자들》과 《제주도전(濟州道展) 50년: 반세기의 도전(挑戰)》을 동시 개최한다.

기획전시실 1의 《시대의 가교: 제주미술의 선구자들》전은 1900~1960년대 출생 작고작가 17인을 조명한다.

이들은 제주미술협회 주요 직책을 역임하며 제주화단의 기틀을 다졌다. 끊임없는 창작활동으로 제주만의 독특한 자연과 정서를 예술적으로 승화시키며 제주미술의 정체성 확립과 발전에 기여했다.

전시는 총 5개 섹션으로 구성된다. 제1섹션 ‘제주미술의 여명’에서는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일본 유학을 다녀온 1세대 작가 김인지(1907~1967), 박태준(1926~2001), 장희옥(1918~1988), 조영호(1927~1989)의 작품을 통해 제주화단의 시작을 살펴본다.

제2섹션 ‘제주미술의 요람’에서는 제주대학교 미술교육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서양화, 한국화, 조각 장르의 분화를 이끈 변시지(1926~2013), 문기선(1933~2018), 양창보(1937~2007), 부현일(1939~2022)을 소개한다. 이들은 제주미술의 질적·양적 성장에 큰 역할을 했다.

제3섹션 ‘제주미술의 서정’에서는 구상계열 사실주의 기법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내면세계와 표현방식을 탐구한 김택화(1940~2006), 강영호(1943~2021), 김병화(1948~1994)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새로운 제주 미학을 모색한 작가들이다.

제4섹션 ‘제주미술의 심상’에서는 작가 삶에서 기반한 정서와 기억, 신념을 투영하며 인간과 자연의 존재론적 의미를 새롭게 인식한 한명섭(1939~2004), 박유승(1947~2016), 김영철(1948~2015)의 독자적 화풍이 펼쳐진다.

제5섹션 ‘제주미술의 확장’에서는 제주의 상징적 소재를 새롭게 조명하거나 조형적 실험으로 개성과 화풍을 펼쳐낸 강광(1940~2022), 백광익(1952~2024), 홍성석(1960~2014)의 작품을 소개한다. 제주 화단을 더욱 풍요롭게 일군 작가들이다.

기획전시실 2의 《제주도전 50년: 반세기의 도전》전은 1975년 제주신문사가 창립한 제주미술대전의 역사를 조명한다. 제주미술대전은 주관기관 변화 속에서도 출품 부문을 확대하고 운영 방식을 개선하며 지역 예술인들의 꿈과 열망에 부응해 왔다.

전시는 고재만, 김병화 등 역대 수상자 33명의 작품 33점과 함께 총 4개 섹션으로 구성된다.

제1섹션 ‘도전(道展)의 탄생’에서는 제주신문사가 주관했던 제1회(1975)~제14회(1988)를 살펴본다. 초기 미술대전의 자생력 확보에 기여한 제주도 중·고등학생 공모전도 함께 소개한다.

제2섹션 ‘확장하는 도전(道展)’에서는 제주예총이 주관했던 제15회(1989)~제41회(2015) 수상작들을 통해 오랜 세월 지역 예술인 등용문이 돼준 제주미술대전의 역할을 조명한다.

제3섹션 ‘모색과 도전(挑戰)’에서는 제42회(2016)부터 현재까지 제주미술대전 활성화를 위한 제주미술협회의 다양한 시도를 살펴볼 수 있다.

제4섹션 ‘빛나는 그대에게’에서는 아카이브 자료들을 통해 역대 제주미술대전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시민갤러리에서는 역대 대상작품 슬라이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이종후 제주도립미술관장은 “제주미술사를 조명하기 위해 마련된 두 기획전과 현재 진행 중인 제주미술제와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며 “오랜 세월 축적돼 온 제주미술의 역량과 다양한 경향성을 두루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장리석기념관에서는 월남화가 장리석(1916~2019)의 제주 생활을 조명하는 상설전 《남국일기(南國日記)》가 11월 30일까지 연장 운영된다. 12월에는 제주도립미술관 전관에서 일본 아오모리현립미술관과 공동 개최하는 국제특별기획전 《바람과 숲의 대화》(2025. 12. 15. ~ 2026. 3. 15.)가 예정돼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행정안전부, 재난문자, 정보는 늘리고 중복발송 줄인다

[뉴스스텝] 행정안전부는 재난문자가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길이를 확대하고, 중복·과다 송출을 방지하기 위해 운영방식을 단계적으로 개선한다. 157자로 더 구체적이고 이해하기 쉽게 지금까지 재난문자는 90자 이내로 제한되어 간단한 수준의 안내만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길이를 최대 157자까지 확대해 보다 구체적이고 상황에 맞는 재난정보를 국민께 전달한다. 157자 확대는 10월 31일부터

새만금청, 국내 최대 외국인 투자유치 행사 참가

[뉴스스텝] 새만금개발청은 10월 30일부터 31일까지 이틀간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서울에서 개최하는 ‘인베스트 코리아 서밋(Invest KOREA Summit 2025)’에 참가한다. 인베스트 코리아 서밋은 국내 최대 외국인 투자유치 행사로, 새만금개발청은 ‘REal 대한민국, RE100 새만금’을 주제로 한 홍보부스를 설치하여 글로벌 투자자와 기업을 대상으로 새만금의 핵심 인프라, 인센티브

국토교통부, '공시가격 검증지원센터' 전국 확대 본격 논의 … 9개 시·도와 시범사업 업무협약 체결

[뉴스스텝] 국토교통부는 전국 9개 시ㆍ도와 ‘공시가격 검증지원센터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10월 30일 오후 국토연구원에서 체결한다. 이번 업무협약은 '부동산 공시제도 개선방안(’23.10)'의 후속조치 중 하나인 ‘시ㆍ도 공시가격 검증지원센터’를 제도화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그간 국토교통부는 정책연구용역 등을 통해 시ㆍ도 공시가격 검증지원센터 운영매뉴얼(안)을 마련(’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