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가(大家)가 사랑한 성북!‘성북의 예술가들’발간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12-28 18:30:19
  • -
  • +
  • 인쇄
김환기, 이중섭, 권진규, 최순우 등
▲ 성북구가 발행한 정책매거진 특별판 1호 『성북의 예술가들』 표지

[뉴스스텝] 서울시 성북구가 성북구에서 활동한 예술인 22명에 대한 공간, 작품, 삶의 이야기를 모은 책자 『성북의 예술가들』을 발간했다.

‘미술인 그리고 공간의 이야기’라는 부제를 붙인 이 책자는 구가 정책과 데이터를 알기 쉽게 소개하는 구정 소식지 『정책매거진』의 첫 번째 특별판이다.

자치구 최초의 공립미술관인 성북구립미술관이 제작에 참여했으며 성북동, 정릉동, 삼선·동소문동, 돈암·동선동 등 성북구에 집터나 아뜰리에를 두고 활동했던 예술가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성북동의 예술가는 화가이자 수필가 그리고 미술사학자로 활동한 근원 김용준(1904~1967)을 시작으로 서양화가 수화 김환기(1913~1974), 서양화가 석은 변종하(1926~2000), 동양화가 산정 서세옥(1929~2020), 서예가 소전 손재형(1903~1981), 조각가 송영수(1930~1970), 서예가 일창 유치웅(1901~1998), 서양화가 윤중식(1913~2012), 동양화가 오원 장승업(1843~1897), 서양화가 우송 전성우(1934~2018), 건축가 여천 김중업(1922~1988), 미술사학자 혜곡 최순우(1916~1984) 12명을 다뤘다.

정릉동의 예술가는 서양화가 박고석(1917~2002), 서양화가 이중섭(1916~1956), 서양화가 한묵(1914~2016), 서양화가 정영렬(1934~1988), 조각가 최만린(1935~2020)까지 5명을 다뤘다.

삼선·동소문동, 돈암·동선동의 예술가로는 조각가 우성 김종영(1915~1982), 조각가 권진규(1922~1973), 조각가 백문기(1927~2018), 동양화가 소정 변관식(1899~1976), 서양화가 우성 변시지(1926~2013) 5명을 다뤘다.

‘성북의 예술가들, 미술인 그리고 공간의 이야기’ 책자는 성북구 누리집과 ‘성북 공공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볼 수 있다. “교과서 속에서 만날 수 있는 예술가들이 내가 사는 지역에서 활동하고 교류했다는 점도 매우 의미 있지만 이를 감각적으로 담은 책자를 소장하고 싶다”는 등 특별판 1호에 대한 주민 반응이 매우 긍정적이다. 구는 이러한 호응에 맞춰 정책매거진 특별판 2호(주제: 미공개)를 2024년 상반기에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이승로 성북구청장은 “성북구에서 활동한 예술가의 흔적을 기록으로 남기고 주민과 함께 공유하는 『성북의 예술가들』 외에도 지역의 풍부한 문화예술 자원을 다양한 방식으로 콘텐츠화하고 알리는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나주시, 인허가 사전진단 서비스로 행정 디지털 전환 가속

[뉴스스텝] 전라남도 나주시가 디지털 트윈 국토 기반의 인허가 사전진단 서비스를 적극 도입해 민원 상담 시간을 줄이고 업무 효율을 높이는 등 행정 디지털 전환의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디지털 트윈’이란 도시와 시설의 모습을 디지털 공간에 그대로 구현해 정책 시행 전에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고 위험 요소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뜻한다.14일 나주시에 따르면 이날 국토교통부 관계자

고양시 화정1동 새마을부녀회, '사랑담은 김장김치' 나눔

[뉴스스텝] 고양특례시 덕양구 화정1동 새마을부녀회는 지난 12일과 13일 이틀에 걸쳐 화정1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사랑담은 김장 김치’ 나눔 행사를 진행했다.이날 행사는 지역 내 소외된 이웃에게 따뜻한 나눔을 전하기 위해 마련됐다. 화정1동 새마을부녀회와 통장협의회를 비롯한 직능단체 회원 등 30여 명이 참석해 정성껏 김장 김치 300포기를 담갔다. 완성된 김치는 화정1동 저소득 및 경로당에 직접 전달됐다

광명시, '제13회 작은도서관 학교' 개최…소통과 배움의 장 열어

[뉴스스텝] 광명시는 14일 작은도서관 운영자와 자원봉사자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제13회 작은도서관 학교’를 성공적으로 마쳤다.‘작은도서관 학교’는 운영진의 실무 역량을 강화하고 동기를 부여해 작은도서관 운영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직무·소양 교육으로,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회에 걸쳐 진행했다.교육 과정은 작게 시작해서 크게 이끄는 작은도서관 리더십 작은도서관과 인문학: 소통인문학 쉽게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