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기후변화 대응해 콩 파종방법 ‘산파에서 줄파로’ 개선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12-28 19:45:18
  • -
  • +
  • 인쇄
콩 파종기 25대 보급결과 종자 소요량 38%·비료 사용량 65% 낮춰
▲ 기후변화 대응해 콩 파종방법 ‘산파에서 줄파로’ 개선

[뉴스스텝]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동부농업기술센터는 올해 사업비 1억 8,000만 원을 투입해 트랙터부착용 파종기 25대를 보급해 콩 파종 방법을 산파에서 줄 파종으로 개선했다고 밝혔다.

트랙터부착용 파종기 보급사업 결과, 동부지역 파종방법 개선 포장은 20%로 조사됐고 종자소요량 38%, 비료 사용량 65%가 절감된 것으로 확인됐다.

관내 콩 포장 150군데 달관조사 결과 30군데인 20%가 콩 파종기를 이용해 줄 파종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줄 파종 결과 파종깊이가 일정하고 종자소요량이 관행 10a당 6kg에서 3.7kg로 38%, 파종 시 살포하는 콩복합 비료 사용량은 관행 10a당 60kg에서 21kg로 65% 절감됐다.

또한 통풍 및 통광이 좋아 작물 생육이 좋고 개체 간의 간격이 일정해 농약살포 등 관리작업 용이하며 웃자람 현상이 적어 도복(쓰러짐)현상도 적었고 필요 시 적심방법도 투입할 수 있다.

올해 콩은무늬밤나방 피해로 수량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동부농업기술센터는 내년에도 트랙터 부착용 콩 파종기를 6개소에 보급해 콩 재배 농가를 지원할 계획이다.

재식거리별로 수량성, 농가 선호도 등을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콩 파종기별 문제점을 점검, 개선방안을 도출해 금후 콩 파종 시에 농업인에게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제주 콩은 재배면적 4,879ha, 생산량 3,607톤(2021년 기준)으로 차지한다.

주로 6~7월 초에 산파(종자를 흩어서 뿌림)를 하는데 발아가 불균일해 관리가 어렵고 이상기후 시 대응이 어려운 작물고 손꼽힌다.

산파는 씨앗이 균일하게 뿌려지지 않고 파종 깊이가 달라 발아가 불균일하고 일정 재식거리를 확보할 수 없기에 밀식되는 경우 개체 당 협 수를 감소시키거나 도복을 유발해 감수되기 쉬운데 기상이 나쁜 경우 피해는 더욱 크다. 또한 개체간격이 불균형하여 통풍이 불량해 병해충에 취약하다.

지난해는 파종 후 가을장마가 발생하여 웃자람 현상이 발생하고 꼬투리가 충실하지 못해 생산량이 크게 떨어지기도 했다.

김정우 농촌지도사는 “이상기후가 빈번해지며 예년과 다른 날씨를 보이는 만큼 콩 재배방법도 달라져야 한다”며 “기존의 산파 방식을 고수하기보다는 줄 파종 방법으로 개선해 안정생산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안동시, 산불피해 산림복구 기본계획 착수

[뉴스스텝] 안동시가 역대 최대 규모로 기록된 지난 3월 대형산불의 피해복구를 위해 본격적인 기본계획 수립에 나섰다.시는 17일 시청 소통실에서 '2025 안동산불 산림복구 기본계획' 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피해 현황과 복구 방향을 공유했다. 보고회에는 권기창 안동시장을 비롯해 산림 전문가, 임업단체, 주민 대표, 경상북도와 산림청 관계자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지난 3월 발생한 산불은

세종시장애인체육회 기업연계 선수 전국대회 메달 획득

[뉴스스텝] 세종시장애인체육회 기업연계 배선후(SK바이오텍 기업연계) 선수가 지난 15일 제18회 스페셜올림픽코리아 전국하계대회의 롤러스케이트 종목에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이번 대회는 경기도 고양시 원마운트경기장에서 열렸으며, 롤러스케이트 종목에는 전국에서 선수 57명, 지도자 26명 등 총 14개 팀이 참가해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배선후 선수(SK바이오텍 기업연계)는 롤러스케이트 500m

강릉, 천연물바이오 국가산업단지 본격 시동

[뉴스스텝] 강릉시가 지난 9월 15일 강원특별자치도, 한국토지주택공사(LH), 강원개발공사와 함께 ‘강릉 천연물바이오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기본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서면으로 진행됐으며, 향후 성공적인 산단 조성을 위한 밑그림을 확정하는 중요한 절차로 평가된다. 협약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사업 시행과 인허가를 총괄하고, 강원특별자치도와 강릉시는 행정 지원을 담당한다. 강원개발공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