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MBC 가요대제전 WANNABE' 올해의 마지막 밤을 뜨겁게 불태울 2차 라인업 추가 오픈!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2-17 20:40:04
  • -
  • +
  • 인쇄
▲ 사진=MBC

[뉴스스텝] ‘2024 MBC 가요대제전 WANNABE’가 풍성함으로 가득 채운 전체 라인업을 공개했다.

오는 12월 31일(화) 방송될 ‘2024 MBC 가요대제전 WANNABE’는 ‘워너비’를 주제로 세대를 불문한 최정상급 워너비 아티스트들이 한자리에 모여 2024년의 마지막 밤을 그 어느 때보다 화려하게 장식한다.

앞서 임윤아, 샤이니 민호, TWS(투어스) 도훈이 MC를 확정 지은 것은 물론 aespa, ATEEZ, BOYNEXTDOOR, DAY6, ENHYPEN, ITZY, IVE, NCT 127, NCT DREAM, NCT WISH, NewJeans, PLAVE, RIIZE, Stray Kids, TOMORROW X TOGETHER, TWS(투어스), ZEROBASEONE, (여자)아이들, 영탁, 이찬원, 태민 등 1차 라인업을 공개하며 많은 이들의 기대감을 한 몸에 받았다.

이어 2차 라인업에는 CLASS:y, CRAVITY, FANTASY BOYS, izna, KISS OF LIFE, NEXZ, NMIXX, STAYC, 이영지, 존박, 프로미스나인(fromis_9)등이 추가로 이름을 올리며 그 열기를 한층 더 끌어올리고 있다.(ABC, 가나다 순)

여기에 오직 ‘2024 MBC 가요대제전 WANNABE’에서만 만나볼 수 있는 스페셜 스테이지도 점차 베일을 벗고 있다.

ITZY 유나와 aespa 카리나, NMIXX 설윤이 뭉쳐 가요계 대표 비주얼 천재이자 실력 천재 조합으로 컬래버레이션 무대를 예고하는 것.

4세대 대표 걸 그룹의 각 멤버들이 만나 어떤 신선한 케미스트리로 모두의 워너비를 저격하는 스테이지를 선사할지 설렘 지수를 급상승시킨다.

이처럼 다채로운 아티스트 라인업부터 역대급 스페셜 무대까지 시청자들의 본방 사수 욕구를 무한 자극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또 어떤 놀라운 조합으로 꿈의 무대를 성사시킬지 궁금증이 더해지고 있다.

벅차오르는 한 해의 마무리와 또 새로운 시작을 함께할 ‘2024 MBC 가요대제전 WANNABE’는 오는 12월 31일(화)에 생방송으로 만나볼 수 있으며 케이팝맵과 아이돌챔프 앱을 통해서도 글로벌 스트리밍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윤충식 의원, 선착순 AI 지원은 '차별의 경기' 초래... 선심성 예산 지양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소속 윤충식 의원(국민의힘, 포천1)은 21일 ‘경기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 동의안’ 안건 심사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 중인 학생 대상 AI 지원 사업의 불공정성과 실효성 부재를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윤 의원은 경기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추진하려는 AI 활용 역량 강화 사업이 일부 대상에게만, 그것도 '선착순

경기도의회 박옥분 의원, 하천·계곡 지킴이 여성 지원자 86명 중 실제 선발 18명...“성인지 예산 무용지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2)은 21일 열린 2026년 본예산 심사 및 제3차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건설국과 건설본부를 대상으로 도민 생활안전 예산의 불투명한 감액, 성인지 예산 구조의 고착화, 지하안전 관리체계 부재 등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박 의원은 성인지 예산 분야와 관련해 “하천·계곡 지킴이의 여성 지원자는 86명(17.2%)이나 실제 선발은 18명(16.

경기도의회 박재용 의원, “복지예산이 경기 따라 흔들리는 ‘고무줄 예산’... 사회적 약자 기본권 침해 우려”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2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안 심의에서 2026년도 복지예산 편성과 관련해 노인·장애인 복지사업의 대규모 일몰 및 감액 문제, 추경 의존 구조, 복지예산의 불안정성을 강하게 지적하며 전면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박재용 의원은 “복지국 총 예산은 증가했지만 노인·장애인 복지예산 점유율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