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의 역사·문화, 첨단기술 만나, 문화창조산업의 새 시대 연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0-01 21:10:07
  • -
  • +
  • 인쇄
APEC 정상회의 사전세미나, 문화창조산업 발전 전략·협력 방안 논의
▲ APEC정상회의 사전세미나

[뉴스스텝]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준비지원단은 ‘APEC 정상회의 사전세미나’를 30일 라한셀렉트 경주 호텔에서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문화창조산업의 지속 가능 발전과 교류·협력’이라는 주제로, 지난 8월 경주에서 열린 ‘APEC 문화산업고위급대화’의 성과를 공유하고 지역의 역사·문화 자원과 첨단기술을 접목한 발전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미나는 한국APEC학회의 주관으로 진행됐으며, 김병곤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과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산업고위급대화 추진위원회를 비롯해 학계‧산업계 전문가 등 90여 명이 참석했다.

오전 부문에서는‘문화산업고위급대화 성과 공유와 정책 방향’을 주제로 문체부 문화산업고위급대화 특별팀(TF) 박용완 팀장과 추진위원회 최경규 위원이 발표에 나섰다.

박용완 팀장은 ‘APEC 문화산업고위급대화’의 주요 성과와 시사점을 소개하며 문화창조산업의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최경규 위원은 APEC 문화산업 의제의 제도화 전략과 함께 한국의 리더십 강화 방안을 제시하며 논의를 이어갔다.

오후에는 ‘인공지능(AI)·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문화창조산업 사례 공유와 지역 역사·문화 자원 연계 방안’을 주제로 발표가 이어졌다. 연사로는 김욱 덱스터스튜디오 대표이사, 박진호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전훈표 새한창업투자 파트너가 참여했다.

김욱 대표는 지역 전통문화와 첨단기술의 융합을 통한 콘텐츠 제작을 소개했고, 박진호 교수는 석굴암 등 세계문화유산을 인공지능(AI)·확장현실(XR) 기술로 재해석해 세계시장에 진출하는 전략을 제시했다. 전훈표 파트너는 케이(K)-컬처 관련 디지털 기업들의 성공 사례를 투자자 관점에서 공유했다.

마지막 종합 토론에서는 AI·디지털 기술이 문화창조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K-콘텐츠 세계화 전략, 지역 역사・문화자원의 디지털 전환 방안 등이 논의됐다.

참석자들은 문화창조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 지역 사회와의 연계 강화, 국제 협력 네트워크 구축 전략 등 다양한 정책 제언을 했다. 준비지원단은 세미나에서 도출된 의견을 중앙부서에 정책 제안을 할 예정이다.

김병곤 문화관광체육국장은 “K-컬쳐 열풍으로 한국 관련 문화콘텐츠와 상품이 세계인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경북의 역사‧문화자원과 첨단기술을 결합한 문화창조산업을 적극 육성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상원 김민철 원장, 안성·의왕 등 ‘통큰 세일’ 현장 방문…“민생 회복의 도약 계기”

[뉴스스텝]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뜨거운 호응을 얻으며 도민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2025년 하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현장을 찾아 홍보 열기를 이어가고 있다. 경상원은 지난 25일 김민철 원장이 안성맞춤시장, 의왕도깨비시장 등을 방문해 통큰 세일에 동참하고 있는 상인들을 격려하고 시장을 방문한 도민들에게 페이백 행사를 알렸다고 전했다. 안성맞춤시장은 전통시장과 청년 상인들로 구성된 ‘청년생

군포시의회, ‘시민이 느끼는 의회’ 조사

[뉴스스텝] 군포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시민과 함께하는 해피투게더 2’(대표의원 이훈미, 소속의원 이길호․박상현, 이하 해피투게더 2)가 시의원과 시의회에 대한 시민 인식을 조사하는 활동을 펼쳤다.군포시의회에 의하면 해피투게더 2는 27일 산본로데오거리 원형광장에서 올해 5번째 시민과의 만남을 진행했다.이날 해피투게더 2는 ‘군포시의원들을 만나는 방법’, ‘군포시의회를 검색하는 매체’, ‘군포시의회를 생각하

편리해진 통큰 세일 페이백 ‘인기’…시흥시 페이백 3일 만에 조기 종료

[뉴스스텝] 지난 22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30일까지 9일간 진행되는 ‘2025년 하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행사가 도민들의 많은 관심으로 일부 지자체에서는 예산이 조기 소진됐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시흥시 ‘통큰 세일’ 페이백 예산이 행사 3일째인 지난 24일 모두 소진됐다고 전했다. ‘통큰 세일’은 경기도 전통시장, 골목상권 등 420여 곳에서 동시에 개최되는 소비 촉진 행사로, 사용 금액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