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광복 80주년 계기 120년만에 고향땅으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8-12 21:05:02
  • -
  • +
  • 인쇄
김태흠 지사, 태안이 낳은 독립투사 문양목 지사 유해봉환 귀향 환영식 참석
▲ 독립지사 우운 문양목 선생 유해 봉환 환영식

[뉴스스텝] 충남도는 12일 태안군종합실내체육관에서 (사)우운문양목선생기념사업회 주관으로 ‘독립지사 우운 문양목 선생 유해 봉환 환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환영식은 김태흠 지사를 비롯해 가세로 태안군수, 이완섭 서산시장, 서승일 대전지방보훈청장, 태안군민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표창장 수여 △경과보고 △축사 △환영 공연 등 순으로 진행됐다.

1869년 6월 태안에서 태어난 문양목 지사는 일찍이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했고, 1905년 2월 미국으로 건너가 평생을 독립운동에 바쳤다.

1906년 대동보국회를 결성해 독립운동가를 결집시켰고, 대동공보를 통한 언론활동으로 친일세력에 따끔한 일침을 가하기도 했다.

1911년 2월에는 대한인국민회 총회장으로서 군인양성운동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으나, 조국의 독립을 직접 보지 못한 채 1940년 12월 사망했다.

1995년에는 이러한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독립장(3등급)의 서훈을 받았다.

이번 유해 봉환을 주도한 (사)우운문양목선생기념사업회는 2005년 6월 문양목 선생의 뜻을 기리고, 선생의 애국애족 정신과 민족정기를 선양하기 위해 결성됐다.

사업회는 2010년 12월 선생의 생가지를 충남 지방 문화재로 지정하는데 기여했으며, 2023년 11월부터 2024년 1월까지 봉환을 위한 ‘군민 성금 모음 운동’을 추진, 120년 만에 선생을 고향땅에 모시게 됐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민족의식 계몽과 군인 양성에 힘쓰시며 다방면에 걸친 활동을 통해 불꽃처럼 헌신하신 분의 유해를 고향 땅으로 다시 모실 수 있게 돼 영광”이라며 “도는 순국선열의 희생을 반드시 기억하고, 국가유공자와 유가족에 최고의 예우를 실천해 나가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수많은 애국선열들께서 한마음 한뜻으로 강조하신 ‘자강불식(自强不息)’의 자세로 우리도 더 강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쉬지 않고 달려나가야 할 것”이라며 “문양목 지사께선 끝내 광복을 보지 못하고 눈감으셨지만, 고국 산하에서 후손들을 자랑스럽게 여기실 수 있도록 힘쎈충남이 대한민국 새로운 번영의 역사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진천교육지원청, 2025. 아이와 함께 자라는 슬기로운 행동중재 특수교육대상학생 학부모 연수 개최

[뉴스스텝] 충청북도 진천교육지원청은 2025년 10월 17일 진천교육지원청 온누리홀에서‘아이와 함께 자라는 슬기로운 행동중재’를 주제로 학부모 연수를 개최했다.이번 연수는 특수교육대상학생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자녀의 행동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 수 있는 실질적인 양육 전략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지역 학부모들의 높은 관심 속에 진행됐다. 연수는 자녀의 행동 발달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 관

신상진 성남시장, ‘제1회 신흥로데오 비어로드 야맥축제’ 개막식 참석

[뉴스스텝] 신상진 성남시장은 17일 저녁 신흥로데오거리 종합시장 먹자골목에서 열린 ‘제1회 신흥로데오 비어로드 야맥축제’ 개막식에 참석해 관계자들을 격려하고 시민들과 소통했다.이날 개막식에는 신 시장을 비롯해 도의원, 시의원, 상인회장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신 시장은 축사에서 “20대 시절 추억이 깃든 이곳은 1980년대 성남의 대표 번화가였다”며 “침체기를 겪었지만 이번 축제를 계기로 신흥로데오

전주시 열린시민강좌, 최재천 교수와의 만남 준비

[뉴스스텝] 사회생물학자이자 세계적인 석학인 최재천 이화여대 명예교수가 전주시민들과 만난다. 전주시는 오는 11월 11일 오후 7시, 덕진예술회관에서 최재천 이화여대 명예교수를 초청해 ‘제220회 열린시민강좌’를 개최한다. 이날 최재천 교수는 ‘다양성과 공존, 손잡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은 없다’를 주제로 인간과 자연에 관한 통찰 및 더불어 살아가는 삶에 대한 지혜를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또한 강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