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과 함께 시즌2’ 신동엽 “오징어 게임에 나온 ‘달고나’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1-10-28 17:38:57
  • -
  • +
  • 인쇄
우리 때는 ‘뽑기’라 불러” 그 시절 추억의 ‘달고나 토크’
▲ <사진 제공> 채널S ‘신과 함께 시즌2’
[뉴스스텝] 채널S ‘신과 함께 시즌2’에서 신동엽이 오징어 게임 속 달고나에 관한 어린 시절의 이야기를 푼다.

오는 29일 방송되는 채널S의 예능 프로그램 ‘신과 함께 시즌2’에서 게스트 세븐틴 에스쿱스, 호시, 민규, 승관과 4MC가 ‘달고나 토크’를 나누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채널S’의 네이버TV와 유튜브 공식 채널에 선공개됐다.

‘신과 함께 시즌2’는 더욱 업그레이드된 케미를 보여줄 4MC 신동엽, 성시경, 박선영, 이용진이 ‘푸드 마스터’로 변신해 당신의 특별한 날을 더욱 특별하게 만들어 줄 메뉴를 추천하고 함께 이야기와 맛을 나누는 맞춤형 푸드 추천 토크쇼다.

영상 속에는 ‘박선영의 MSG’ 코너의 한 장면이 공개됐다.

‘박선영의 MSG’는 10대부터 60대까지 세대별 취향을 설문 조사해 진행하는 코너로 세븐틴 멤버들과 4MC는 그 중 ‘50대가 학창 시절 하굣길에 즐겨 먹었던 간식’에 관한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

50대의 하굣길 간식 취향을 맞혀야 하는 문제가 등장하자 성시경은 머뭇거리는 신동엽을 향해 “50대잖아요. 편하게 맞히세요”고 부추겼다.

이에 신동엽은 얼굴을 붉히며 “50대 초반이에요 완전 초반, 개 초반”이라고 발끈해 모두를 박장대소하게 했다.

신동엽은 “우리 때는 ‘오징어 게임’에 나온 ‘달고나’를 ‘뽑기’라고 했다”며 어린 시절에 달고나에 얽힌 추억을 떠올렸다.

또한 성시경은 “달고나는 사실 불법이다”고 말해 시선을 집중시켰다.

그러면서 “뗄 수가 없다 핥아도 안 된다 어릴 때 집에서 해 먹으려다 엄마께 많이 혼났다”고 고백했다.

‘달고나’로부터 시작해서 회수권, 옛날 버스 풍경까지 옛 시절에 관한 토크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졌다.

이야기가 생각보다 길어지면서 모두가 당연히 ‘달고나’를 정답이라고 생각한 가운데, 진행자 박선영은 뒤늦게 정답이 아니라고 외쳐 모두를 놀라게 했다.

특히 세븐틴 승관은 “달고나가 정답이어야만 이렇게 토크를 이어 가는 거 아니에요? 사담만 너무 했잖아요”고 박선영표 진행에 어안이 벙벙해서 눈만 휘둥그레 떴다.

이어 박선영은 “정답이 앞에 나왔었다 민규 씨가 얘기했다”고 힌트를 줬다.

모두의 시선이 민규에게 향하자 그는 “왜 이렇게 째려봐요 기억이 안 나요”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그런 가운데 “색깔이 아주 다양하다”는 추가 힌트에 호시는 정답을 외쳤는데, 과연 정답을 맞혀 민규의 답을 가로챌 수 있을지 궁금증을 자극한다.

오는 29일 저녁 8시 채널S의 ‘신과 함께 시즌2’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군포시, '2025년 깨끗한 경기 만들기' 장려상 수상

[뉴스스텝] 군포시는 경기도가 주관한 ‘2025년 깨끗한 경기 만들기’ 시·군 종합평가에서 장려상을 수상해, 기관표창과 함께 상사업비 2,000만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2019년부터 경기도는 도내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깨끗한 경기 만들기’ 사업의 11개 정량지표와 우수사례 발표회를 통한 정성지표를 종합 평가해 순위를 선정하고 있다.군포시는 폐기물 발생량 감축, 불법행위 예방 홍보, 분리배출 인프라

문체부, 중앙-지방 지역도서관 균형발전과 지역문화 상생 위한 협력 논의

[뉴스스텝]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통령소속 국가도서관위원회는 11월 28일, 로얄호텔 서울(서울 중구)에서 전국 17개 광역도서관위원회를 대상으로 ‘2025년 지역협력 정책간담회’를 개최한다.이번 간담회는 제8기 국가도서관위원회가 심의·확정한 ‘제4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24년~2028년)’의 실효성 확보와 현장 안착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다. 이를 통해 중앙과 지방 간 정책 협력을 강화하고 지역 기반

대전 서구, 외국인 주민과 전통 도자기 체험

[뉴스스텝] 대전 서구는 구청 장태산실에서 관내 외국인 주민을 대상으로 ‘2025년 하반기 제2차 한국문화교실’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8일 전했다.이번 문화교실에는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영국, 투르크메니스탄 등 8개국에서 온 한국어 교육 수강 외국인 주민 10여 명이 참여했으며, 한국 전통 도자기의 멋을 직접 느껴보는 체험 활동이 진행됐다.참가자들은 ‘분청사기 박지기법’을 주제로 백색 분을 입힌 분청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