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트 아이돌’ 후니용이 용이, 신곡 ‘빛이 나는 그대’로 화려한 솔로 데뷔! 2AM 이창민 작사·작곡 지원사격!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07-25 18:55:07
  • -
  • +
  • 인쇄
▲ [사진 제공: 빛이나는 엔터테인먼트]

[뉴스스텝] 트로트 듀오 후니용이의 용이가 데뷔 11년 만에 첫 솔로 앨범으로 리스너들을 찾았다.

빛이나는 엔터테인먼트 측에 따르면 용이는 지난 23일 정오 각종 음원사이트를 통해 신곡 ‘빛이 나는 그대(Feat. 강대웅 of 삼총사 & 노유하)’를 발매했다.

신곡 ‘빛이 나는 그대(Feat. 강대웅 of 삼총사 & 노유하)’는 용이가 후니용이로 데뷔 후 처음으로 발매하는 솔로 데뷔곡으로, 8090 복고 디스코 풍의 트렌디한 K팝 댄스곡이다.

세련된 멜로디와 신나는 복고 디스코 리듬이 돋보이는 신곡 ‘빛이 나는 그대’는 ‘엉차춤(엉덩이를 주 차 뿌까 춤)’과 ‘이거 몇 개 춤’ 등 웃음을 자아내는 포인트 안무로 무대 위 또 다른 볼거리를 선사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신곡은 ‘만능 엔터테이너’ 2AM의 멤버 이창민이 작사, 작곡에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발매일로부터 약 1년 전 완성된 곡을 모니터링한 용이는 멜로디와 가사, 제목까지 너무 마음에 들어 소속사 이름도 지난해 3월 레드캥거루에서 지금의 빛이나는 엔터테인먼트로 변경했다는 후문이다.

이처럼 첫 만남부터 특별했던 이번 신곡은 오랜 시간 선후배의 인연을 함께 한 삼총사의 강대웅과 같은 소속사이자 발레 전공자인 신인 배우 노유하가 지원사격해 완성도를 높였으며, 뮤직비디오에도 강다니엘, 세븐틴, AB6IX, 프로미스나인 등 유명 아이돌들의 뮤직비디오를 연출한 써니 감독이 맡아 곡의 다이내믹한 요소를 높였다.

용이는 이번 앨범을 위해 창법까지 바꾸는 피나는 노력을 쏟아부으며 자신만의 매력이 담긴 솔로 데뷔 앨범을 완성했다.

용이는 K팝 아이돌이 갖추고 있는 비주얼, 의상, 사운드, 댄스 퍼포먼스, 화려한 뮤직비디오까지 모든 것을 구현한 이번 ‘빛이나는 그대’ 프로젝트를 통해 K팝 아이돌에 도전한 최초의 트로트 가수로 가요계 한 페이지를 의미 있게 장식했다.

용이가 속한 후니용이는 실력파 트로트 듀오로 많은 사랑을 이끌고 있으며, 유산슬의 ‘사랑의 재개발’ 뮤직비디오 감독, ‘트바로티’ 김호중 화보 사진작가, WOODz 화보 디자이너, 작사, 작곡가 등으로 활발하게 활동하며 ‘부캐 부자’로 우뚝 섰다.

한편 후니용이는 오늘(25일) 밤 SBS FiL, SBS M ‘더트롯쇼’에 출연해 ‘가슴은 알죠’ 무대를 꾸밀 예정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통영시, 고위직 대상 4대폭력 예방 및 성인지 교육 실시

[뉴스스텝] 통영시는 지난 7일 시청 강당에서 시장 및 5급 이상 고위직 공무원 60여명을 대상으로 '4대 폭력(성희롱·성매매·성폭력·가정폭력) 예방 및 성인지 통합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성평등 인식 확산 및 건전한 조직문화 정착을 위해 한국범죄학연구소 염건령 소장이 ‘공직자를 위한 성인지 감수성 함양과 4대 폭력 예방’을 주제로 강의를 진행했다. 염건령 소장은 정부기관 및 공직유관

전라남도의회 차영수 도의원, “농어촌 지역아동센터 처우...예산 차등 지원으로 격차 줄여야”

[뉴스스텝] 전라남도가 인건비와 운영비를 지원하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처우 문제가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집중 제기됐다.전라남도의회 차영수(더불어민주당, 강진) 의원은 지난 7일 여성가족정책관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처우가 전국 최저 수준”이라며 “전남의 농어촌 여건을 고려한 가중치(차등) 예산을 반영해 도시·농촌 격차를 실질적으로 줄일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차영수 의원은 “지역아동센

평택시, '아동․청소년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로 미래세대 건강 습관 형성 지원

[뉴스스텝] 평택시는 아동·청소년의 올바른 건강관리 습관 형성과 건강위험요인 예방을 위해 ‘아동·청소년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지난 4월 2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약 6개월간 운영했다.이번 사업은 용이초, 덕동초, 현일초, 지산초 등 4개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정보통신 기술(ICT) 기반의 비대면 건강관리 플랫폼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건강을 점검하고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