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 ‘과학계의 오스카’ 브레이크스루상 수상자 배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8-21 08:15:25
  • -
  • +
  • 인쇄
문동호 물리학과 교수, 한국 기초과학 국제 위상 높여
▲ 문동호 물리학과 교수

[뉴스스텝] 전남대학교가 세계적 권위의 브레이크스루상 수상자를 다시 배출하며 한국 기초과학의 국제적 위상을 한층 끌어올렸다. 2015년 중성미자 연구 이후 두 번째 성과로, 전남대 물리학과는 국내 기초과학을 선도하는 연구 중심 대학으로서의 위상을 재확인했다는 평가다.

20일 전남대에 따르면 물리학과 문동호 교수와 우주소립자연구소 김현철 박사가 ‘과학계의 오스카상’으로 불리는 2025년 브레이크스루상 기초물리학 부문 공동 수상자로 선정됐다.

브레이크스루상은 매년 기초물리학, 생명과학, 수학 분야에서 인류 발전에 기여한 과학자들에게 수여되는 세계 최고 권위의 상 중 하나다. 상금은 총 300만 달러(약 34억 8천만 원)이다.

올해 기초물리학 부문 수상자는 CERN(유럽입자물리연구소) 대형 강입자 충돌기(LHC)에서 ATLAS, CMS, ALICE, LHCb 실험을 주도한 전 세계 70여 개국 1만 3,508명의 연구진이다. 이들은 힉스 보손의 정밀 측정, 72종 이상의 새로운 강입자 발견, 물질–반물질 비대칭성 연구, 빅뱅 직후 초기 우주 상태인 ‘쿼크-글루온 플라즈마’의 특성 규명 등 현대 입자물리학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킨 공로를 인정받았다.

문동호 교수는 CMS 실험 협력연구진의 일원으로 힉스 보손 및 초대칭 입자, 암흑물질 탐색, 초기 우주 상태 규명 등 새로운 물리학 연구에 참여해 이번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성과에는 약 150명의 한국인 연구자도 포함됐다. 상금 전액은 수상자들의 합의로 CERN & Society Foundation에 기부돼, 전 세계 박사과정 학생들의 CERN 연구 참여 확대와 과학 역량 강화에 사용될 예정이다.

전남대 물리학과는 이번 수상으로 2015년 주경광·김재률·임인택 교수가 중성미자 연구로 브레이크스루상을 받은 데 이어 다시금 세계적 수상자를 배출하게 됐다.

전남대 관계자는 “이번 수상흔 전남대 물리학 연구의 국제적 수준을 입증하는 동시에 국내 기초과학의 위상을 한층 더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브레이크스루상은 2012년 마크 저커버그 메타(구 페이스북) CEO, 세르게이 브린 구글 공동창업자, 마윈 알리바바그룹 전 회장, 유리 밀너 러시아 벤처사업가 등이 기초과학 발전을 위한 사회적 보답의 의미로 제정됐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대구시의회 박종필 의원,'대구아리랑 보전 및 진흥 조례안'대표 발의

[뉴스스텝] 대구시의회 박종필 의원(비례대표)이 9월 5일, 제319회 임시회에서 대표 발의한 '대구아리랑 보전 및 진흥에 관한 조례안'이 문화복지위원회 심사를 통과해 본회의 의결을 앞두고 있다.‘대구아리랑’은 대구 지역의 생활상과 정서를 담고 있는 향토 민요로, 팔공산, 금호강 등의 묘사나 지역 사투리 등 대구의 지역적 특색을 담은 가사가 특징이다.박 의원은 “대구 지역 고유의 향토 민요인

강북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학생 대상 체험 프로그램 운영

[뉴스스텝] 울산 강북교육지원청은 6일 울산교육연구정보원과 울산과학관에서 강북영재교육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성과 지도력(리더십) 함양 프로그램을 운영했다.이번 프로그램에는 초등 135명, 중등 91명 총 226명이 참여했으며, ‘배움의 지도(리더), 나눔의 지도(리더)'를 주제로 7개 체험 활동과 특강이 진행됐다.학생들은 인공지능 로봇, 자율주행, 디지털 그리기(드로잉)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에 직

대구시의회 육정미 의원,'대구광역시 지하안전위원회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대표 발의

[뉴스스텝] 대구시의회 육정미 의원(비례대표)이 9월 5일, 제319회 임시회에서 대표 발의한 「대구광역시 지하안전위원회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이 기획행정위원회 안건 심사를 통과해 9월 12일, 제3차 본회의 의결을 앞두고 있다.육 의원은 “최근 지역 내 잇따라 발생한 지반 침하 사고는 도심지 지하 개발의 급증과 노후 지하 시설물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시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중대한 현안으로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