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3개 사찰 미술품 경남도 문화유산 지정 은하사·대광명사·영구암 불상·불화 3점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9-13 09:20:19
  • -
  • +
  • 인쇄
▲ 김해 3개 사찰 미술품 경남도 문화유산 지정 은하사·대광명사·영구암 불상·불화 3점

[뉴스스텝] 김해시는 ‘김해 은하사 대웅전 목조관음보살좌상’, ‘김해 대광명사 목조보살좌상’이 경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김해 영구암 치성광여래회도 초본’이 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 고시됐다고 13일 밝혔다.

'김해 은하사 대웅전 목조관음보살좌상’은 곧은 자세에 당당한 신체 표현이 돋보이며 목조 위에 소조의 기법을 활용한 점이 주목된다.

제작자와 제작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부산 범어사 미륵전 목조여래좌상(부산광역시 유형문화유산)과 닮아 있어 17세기 초를 전후해 제작된 불상으로 추정된다.

'김해 대광명사 목조보살좌상’은 균형 잡힌 신체 비례, 측면의 두꺼운 부피감 등이 주요한 특징이다.

제작자와 제작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신체 측면의 두꺼운 부피감은 17세기 조각승 희장(熙藏, 1639~1661)의 조형적 특징이며 그의 계보를 잇는 조각승에서도 유사한 특징이 나타난다.

이러한 양식적 특징을 고려해 볼 때 17세기 후반 희장계 조각승에 의해 조성된 불상으로 추정된다.

‘김해 영구암 치성광여래회도 초본’은 도 문화유산자료인 김해 영구암 칠성탱을 보존처리하는 과정에서 발견됐으며 근대기 경남·부산의 불교미술을 대표하는 완호(玩虎, 1869~1933)의 가장 이른 시기 불화 초본으로 그 의미와 상징성이 크다.

이에 문화유산자료인 ‘김해 영구암 칠성탱’을 ‘김해 영구암 치성광여래회도’로 명칭을 변경하고 초본을 추가해 ‘김해 영구암 치성광여래회도 및 초본’으로 지정했다.

김수연 문화유산과장은 “이번에 신규로 지정된 문화유산을 비롯해 김해지역의 소중한 문화유산 보존·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김도현 안양시의원, “안양시 공무원 교육비 여전히 최하위”…대도시 평균에도 못 미쳐

[뉴스스텝] 안양시 공무원 1인당 교육비가 여전히 경기도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안양시의회 김도현 의원(민주당, 평촌·평안·귀인·범계·갈산)은 지난 12일, 제305회 임시회 총무경제위 현안질의를 통해 안양시 공무원 1인당 교육비가 여전히 경기도 31개 시군 중에서 23위,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 13개 중에서 10위에 머물고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 기준 안양시 공무원 1인당 교육비는 31만7천

장성군, 구급대원 대상 농기계 사고 대응 특별교육 실시

[뉴스스텝] 장성군이 지난 11~12일 농기계임대사업소 본소에서 장성소방서 구급대원 40여 명을 대상으로 농기계 사고 대응 특별안전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 경운기, 관리기, 승용제초기 등 농가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임대 농기계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구급대원들은 △농기계 명칭 △기본 조작법 △농작업 내용 △농기계 사고 및 위험 요소 등을 숙지했다. 특히, 사고 발생 시 농기계 작동 중단법과 대처 방법을

광산구, 제14회 대한민국 지식대상 국무총리상

[뉴스스텝] 광주 광산구는 공직자들의 역량으로 자체 개발‧구축한 ‘건축정보 AI(인공지능) 플랫폼’이 우수한 행정 혁신 사례로 인정받아 ‘제14회 대한민국 지식대상’에서 영예의 국무총리상을 받았다고 밝혔다.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대한민국 지식대상’은 정부혁신, 기관 경쟁력 향상에 성과를 낸 지식 행정, 지식경영의 우수사례에 발굴해 포상하는 지식 분야 국내 최고 권위의 상이다.광산구는 건축직 공직자들이 전문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