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군, 제70회 백제문화제 다양한 장소에서 관광객 맞이 준비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8-05 10:30:41
  • -
  • +
  • 인쇄
대한민국 대표 역사문화축제 ‘백제문화제’ 일흔 살 맞아
▲ 백제문화제 포스터

[뉴스스텝] 부여군은 제70회 백제문화제 행사 장소를 주 행사장 '백제문화단지'를 중심으로 백마강'구드래'와 부여 시가지 '정림사지'까지 부여군 일원 3곳으로 다각화한다.

주 행사장 '백제문화단지'는 100만 평 규모로, 국내 최초로 삼국시대 백제 왕궁을 재현한 곳이다.

백제 왕궁인 사비궁, 백제 대표적 사찰인 능사, 계층별 주거문화를 보여주는 생활문화 마을, 위례성, 고분 공원 등이 조성되어 있다.

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운 백제 왕궁에서 펼쳐지는 제70회 백제문화제! 품격 있는 역사문화축제를 관광객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구드래'는 백마강에 있는 나루터 일원으로 백제 시대 백마강을 통한 문화와 교역의 중심지 역할을 한 곳이다.

축제 기간 구드래에는 ‘백제 옛 다리’가 재현되어, 백제문화단지와 부여 시가지를 잇고 백마강에 LED 돛단배를 설치하여 야간경관을 연출하는 ‘구드래 국제 무역항’을 조성, 이색적인 볼거리를 제공한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정림사지'는 백제의 전성기 때의 불교문화를 상징하며, 백제의 뛰어난 건축술과 예술성을 엿볼 수 있는 곳이다.

정림사지가 위치한 부여 시가지에서는‘백제문화 판타지 퍼레이드’와 ‘웰컴 투 백제’ 등 다양한 이벤트가, '정림사지'에서는 지역 예술 향연, 전통 민속 공연, 롯데월드 퍼레이드 뮤지컬 쇼, 불전 행사 등 풍성한 프로그램으로 관람객을 맞이할 예정이다.

군은 행사장을 다각화함에 따라 각각의 행사장을 잇는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하여, 관람객들이 각각의 행사장을 편리하게 이동하며 축제를 맘껏 즐길 수 있게 할 계획이다.

부여군 관계자는 “백제 왕궁을 재현한 백제문화단지에서 1,400년 전 백제로의 시간 여행을 선사하고, 부여군 일원을 축제의 장으로 만들어 방문객들의 체류시간을 늘려 지역 상권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1955년 부여군에서 처음 개최된 제1회 백제대제를 시작으로 올해로 제70회를 맞이하는 백제문화제는 백제의 찬란한 문화를 알리고 백제의 유구한 역사를 기리며, 백제문화를 현대에 계승하는 대한민국 대표 역사문화축제로, 제70회 백제문화제는 '아름다운 백제, 빛나는 사비'라는 주제로 9월 28일부터 10월 6일까지 9일간 부여군 일원에서 개최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동해시, 11월 한 달간 금연구역 집중 점검 실시

[뉴스스텝] 동해시는 시민의 건강을 지키고 깨끗하고 쾌적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11월 한 달간 관내 금연구역을 대상으로 집중 점검 및 단속을 실시한다. 이번 점검은 국민건강증진법과 동해시 금연구역 지정 조례에 따라 지정된 4,000여 개소의 금연구역 중 시민 이용이 많은 학교, 공원, 공공시설, 버스정류소 등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주요 점검 사항은 △금연구역 내 흡연행위 적발 △흡연실 시설 기준

고령군, 농촌신활력플러스사업 성과공유회 개최

[뉴스스텝] 고령군은 11월 12일, 고령군민체육관에서 ‘고령군 농촌신활력플러스사업 성과공유회’를 개최하여 5년간의 열정과 노력의 결실을 군민들과 공유했다.이날 행사에는 김충복 고령군 부군수를 비롯해 고령군 의회 유희순 부의장과 군의원, 그리고 사업의 주도적 참여자인 액션그룹, 지역활동가, 타 지역 신활력플러스 추진단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하여 성과공유회에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농촌신활력플러스사업은

인천관광공사 인천관광기업지원센터, 2026년 신규 입주기업 6개사 모집

[뉴스스텝] 인천광역시와 인천관광공사는 관광산업의 혁신과 성장을 견인할 2026년 인천관광기업지원센터 신규 입주기업을 11일부터 26일까지 공개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는 공고일 기준 관광 분야 창업 7년 이하의 기업(법인 또는 개인사업자)을 대상으로 하며, 지역 관광자원을 기반으로 창의적인 관광 비즈니스 모델을 보유한 기업을 중점적으로 선발할 계획이다. 입주기업으로 선정되면 △입주공간(임대료 및 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