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시, 어촌 앵커조직과 치매환자 제로화 힘쓴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4-24 10:25:07
  • -
  • +
  • 인쇄
위치: 어달, 대진, 노봉 일원 마을 대상
▲ 동해시, 어촌 앵커조직과 치매환자 제로화 힘쓴다

[뉴스스텝] 동해시가 민간 지원조직인 어촌 앵커조직과 함께 지역사회 숨은 치매 환자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기 위한 시책 추진에 발 벗고 나섰다.

전국 치매 유병율은 노인인구 10명 중 1명 정도인 약 10%를 잠재적 치매 인구로 추정되고 있으며, 특히 노인 인구의 비율이 높고 의료인프라가 열악한 농어촌 지역에서 치매 유병률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동해시의 경우, 어촌지역인 어달, 대진, 노봉 일원의 고령화율이 시 전체 고령화율인 23% 대비 2배 가량인 47%에 달하고 있어, 치매 환자, 고독사 등의 사회문제 발생 위험성이 증가, 높은 치매유병률이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해 9월 보건소와 어촌 앵커 조직 간 의료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올해 2월 업무 회의를 개최하는 등 본격적인 시책 추진을 위한 준비에 나섰다.

이번 사업은 지난 2022년 2월 어촌 정주‧경제 환경개선을 위한 해양수산부의 포스트-어촌뉴딜 시범 공모사업에 선정되면서 이와 연계, 보건소 치매안심센터와 어촌 앵커조직이 협업하여 ‘치매 환자 사각지대 제로화 마을 조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어촌 앵커조직은 지난 2022년 12월부터 2023년 3월까지 사업 대상지 생활권 내 198가구를 전수조사해 건강 위험군 168명을 발굴하는 등사업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 왔으며, 간호사 2명을 채용, 2023년 8월부터는 마을보건실을 운영하면서 보건 교육과 상담 등의 마을 건강 지킴이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고 있다.

지난 18일에는 치매 극복 선도기업으로 지정돼 배회하는 치매 의심 환자 발견 시 유관기관 신고와 귀가 지원, 치매 극복 홍보활동 등의 역할까지 맡고 있다.

시는 발굴된 위험군 중 치매 환자와 최근 1년 이내 치매 검진을 받은 대상자를 제외, 126명의 대상자를 선정해 앵커조직과 협력을 통해 이달부터 연중 대상 가구를 방문, 치매 선별검사를 추진한다.

선별검사에서 인지 저하자로 판정되면 치매 안심 버스 지원을 통해 치매안심센터에서 의사가 진단검사를 하고, 치매로 진단이 되면 치매 치료관리비, 쉼터 교육 프로그램, 맞춤형 가정 방문 사례관리, 실종 예방 배회감지기를 지원하는 등 치매 돌봄 안전망을 탄탄히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윤경리 보건정책과장은 “치매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지역사회가 함께 극복해야 하는 사회적 문제로, 지역 내 민관 협력체계를 강화하여 치매 돌봄 사각지대가 해소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문체부 대표 누리집 복구 완료, 10월 20일부터 정상 운영

[뉴스스텝]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9월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서비스가 중단됐던 문체부 대표 누리집 시스템의 복구를 완료해 10월 20일부터 정상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문체부는 대표 누리집 서비스가 중단된 이후 국정자원과 함께 시스템의 복구와 데이터 복원을 진행하는 동시에,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9월 30일부터 임시 대표 누리집을 운영하며 국민에게 꼭 필요한 정보와 민원 서비스를 제공해 왔

남구, 2026년 본예산안 편성을 위한 용역심의위원회 개최

[뉴스스텝] 울산 남구는 2026년 본예산(안) 편성 대상 정책연구용역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사전에 검토하기 위한 ‘2025년 제2회 용역심의위원회’를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위원회는 ‘울산광역시 남구 용역 관리 조례’에 따라 위원장인 이채권 부구청장을 비롯해 국장급 간부와 학계, 전문기관 위원 등 15명이 참석한 가운데 용역비 1,000만 원 이상 학술용역 2건과 3,000만 원 이상 기술용역

고용노동부, “현장실습생이 꼭 알아야 할 산업안전수칙, ‘이러닝’을 통해 쉽게 배워요“

[뉴스스텝] 한국고용노동교육원(KELI: Korea Employment and Labor Educational Institute)은 전국 576개 직업계고의 2025년도 현장실습 대상자 약 6만 명을 대상으로 ‘권익보호 및 산업안전보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이번 교육은 이러닝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콘텐츠로 제공되어, 시·공간 제약 없이 학습할 수 있으며, 학생들은 현장실습에 앞서 실습생 권익보호와 산업안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