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연안 자생식물, 머리카락 건강 지켜주는 신소재로 가능성 확인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0-27 10:25:31
  • -
  • +
  • 인쇄
섬·연안 자생식물 ‘가는갯능쟁이’, 탈모 억제 효능 입증
▲ 가는갯능쟁이

[뉴스스텝] 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관장 박진영)과 전남바이오진흥원 (원장 윤호열)은 목포 고하도에서 채집한 섬·연안 자생식물 ‘가는갯능쟁이(Atriplex gmelinii C. A. Mey. ex Bong.)에서 모발 건강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가는갯능쟁이는 바닷가의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염생식물로, 최근에는 대기 중 탄소를 저장하는 블루카본 자원으로 주목받아 기후변화 대응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식물인 가는갯능쟁이 추출물이 모발 세포 성장을 촉진하고 탈모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했다.

실험 결과, 가는갯능쟁이 추출물(50~200 μg/mL)은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최대 118.2%까지 증가시키고, 탈모 유발 호르몬(DHT)에 의해 손상된 세포 생존율을 최대 97.5%까지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용 탈모 치료제인 미녹시딜과 유사한 수준으로 확인됐다. 이번 성과는 “가는갯능쟁이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건강 개선용 조성물” 이라는 제목으로 특허(제10-2854466호)로 2025년 8월 29일 최종 등록됐다.

이 성과는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이 직접 조사·발굴·확보한 자원을 기반으로 전남바이오진흥원과 공동으로 개발한 결과이다. 단순한 기능성 성분 확인을 넘어, 섬·연안 자원이 지닌 독자적 가치를 입증한 사례로 평가된다.

또한, 이번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성을 확인했으며, 현재 여러 기업이 기술이전에 관심을 보이며 협의가 진행 중이다. 앞으로 두 기관은 대량 재배 조건 확립 등 후속 공동연구를 확대해 산업화 단계까지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김보람 천연소재연구부 전임연구원은 “섬과 연안에서 자라는 식물은 그 환경 속에서 특별한 생리적 적응 능력을 발휘하며 기능성 소재로의 잠재력을 지닌다”라면서, “이번 성과는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이 조사·발굴한 자원을 바탕으로 전남바이오진흥원과 협력해 얻은 대표적인 사례다. 앞으로도 섬·연안 지역 자원을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산업적 가치로 연결해 국가 생물주권 확립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무화과·고구마 맛 알린 로코노미, 영암이 선도한다

[뉴스스텝] 성심당의 무화과케익, 쿠팡의 무화과 로켓배송, 얌샘김밥의 김밥 등의 공통점은, 모두 전남 영암의 특별한 맛에서 출발한다는 점이다.영암군이 지역의 맛과 기업의 협업으로 영암 농가와 민간기업의 상생을 도모하는 ‘로코노미(Loconomy)’를 선도하고 있다.로코노미는 지역(Local)과 경제(Economy)의 영어를 합성해 만든 용어로, 지역 정체성을 기초로 기업이 상품·공간을 개발해 수요자에게 공

고흥군, 출향 농협 임직원 ‘고향사랑기부’ 동참으로 온기나눔 실천

[뉴스스텝] 고흥군은 지난 4일 군수 집무실에서 출향 농협 임직원들이 1,000만 원의 고향사랑기부금을 기탁하며 고흥발전을 응원했다고 밝혔다.이번 기탁식에는 농협금융지주, 농협경제지주, 농협중앙회 등에서 근무 중인 출향 임직원 10여 명이 참석했으며, 이들은 3년째 고향을 위해 꾸준한 기부를 이어오며 고흥의 교육·복지·문화 발전에 힘을 보태고 있다.공영민 군수는 “멀리서도 변함없이 고향을 응원해 주셔서 감

계양3동 주민자치회, ‘2025년 주민자치회 워크숍’ 개최

[뉴스스텝] 인천시 계양구 계양3동 주민자치회(회장 강석주)는 지난 1일 경기도 여주 일원에서 ‘2025년 주민자치회 워크숍’을 개최했다.이번 견학은 주민자치회 위원들의 역량 강화와 화합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여주의 대표 사찰인 신륵사를 방문해 문화유산을 탐방하고, 여주 오곡나루축제 현장을 찾아 지역 농산물과 전통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특히 오곡나루축제에서는 여주의 특산품을 활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