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설공주에게 죽음을-Black Out' 김보라, 변요한-고준의 조력자 하설 역으로 초강력 사이다 선사!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9-25 11:05:12
  • -
  • +
  • 인쇄
▲ 사진 제공 : MBC 영상 캡처

[뉴스스텝] 김보라가 착한 오지랖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다.

MBC 금토드라마 ‘백설공주에게 죽음을-Black Out’(이하 ‘백설공주’, 기획 권성창, 연출 변영주, 극본 서주연, 제작 히든시퀀스/래몽래인)에서 무천시의 낯선 이방인 하설 역을 맡은 김보라가 11년 전 사건 해결 조력자로 맹활약 중인 것.

먼저 무천가든에서 아르바이트생으로 일하던 하설(김보라 분)은 여타 사람들처럼 동급생 둘을 살해하고 출소한 소문 속 고정우(변요한 분)를 색안경을 낀 채 바라봤다.

하지만 하설의 시선으로 보기에 고정우는 마냥 범죄자라고 하기엔 석연치 않은 구석들이 존재했던 터. 그러자 하설은 고정우에게 대놓고 “기억을 못 하는 거예요. 아님 못 하는 척하는 거예요. 아니면 고정우 씨가 그런 게 아니에요?”라고 돌직구를 날리며 답을 얻고 그에 대한 오해의 벽을 허물었다.

여기에 가깝게 지내던 마을 사람들로부터 수상한 점이 하나둘씩 포착되자 고정우와 형사 노상철(고준 분)의 편에 서서 은폐된 진실을 밝히는 일에 적극적으로 공조하고 있다.

무엇보다 하설은 직관대로 움직이며 시청자들의 감화를 불러일으켰다. 마을 사람들이 하나로 똘똘 뭉쳐 고정우와 그의 어머니를 핍박하는 것에 휩쓸리지 않으며 자신이 보고 생각하는 것에 따라 행동하는 모습이 그녀의 진정성을 더했다.

게다가 하설이 고정우를 돕는다는 걸 알게 된 이들의 압박도 거세어지고 있는 상황. 경찰서장인 현구탁(권해효 분)은 무천가든 사장 신추호(이두일 분)를 사주해 하설이 방을 빼고 무천을 떠나게 할 것을 종용했다.

뿐만 아니라 고정우와 11년 전 교통사고를 목격한 이를 찾는 걸 본 형사과장 김희도(장원영 분)는 범죄자를 돕고 있는 거라며 조심하라고 걱정을 가장한 협박을 던졌다. 이에 하설은 “조심은 아저씨가 해야 할 것 같아요. 얼굴색 보니까 간이 너무 안 좋아”라고 한 방 먹여 통쾌함을 안겼다.

이렇게 하설은 고정우와 노상철만으로는 힘들었을 싸움에서 든든한 내 편이 되어 힘을 보태주고 있다. 제 나름의 방식으로 진실 추적의 빈 곳을 톡톡히 채워나가고 있는 아군 하설의 행보에 더욱 기대감이 쏠린다.

패기의 소유자 김보라의 조력은 오는 27일(금) 밤 9시 50분에 방송되는 MBC 금토드라마 ‘백설공주에게 죽음을-Black Out’ 12회에서 계속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윤충식 의원, 선착순 AI 지원은 '차별의 경기' 초래... 선심성 예산 지양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소속 윤충식 의원(국민의힘, 포천1)은 21일 ‘경기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 동의안’ 안건 심사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 중인 학생 대상 AI 지원 사업의 불공정성과 실효성 부재를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윤 의원은 경기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추진하려는 AI 활용 역량 강화 사업이 일부 대상에게만, 그것도 '선착순

경기도의회 박옥분 의원, 하천·계곡 지킴이 여성 지원자 86명 중 실제 선발 18명...“성인지 예산 무용지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2)은 21일 열린 2026년 본예산 심사 및 제3차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건설국과 건설본부를 대상으로 도민 생활안전 예산의 불투명한 감액, 성인지 예산 구조의 고착화, 지하안전 관리체계 부재 등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박 의원은 성인지 예산 분야와 관련해 “하천·계곡 지킴이의 여성 지원자는 86명(17.2%)이나 실제 선발은 18명(16.

경기도의회 박재용 의원, “복지예산이 경기 따라 흔들리는 ‘고무줄 예산’... 사회적 약자 기본권 침해 우려”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2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안 심의에서 2026년도 복지예산 편성과 관련해 노인·장애인 복지사업의 대규모 일몰 및 감액 문제, 추경 의존 구조, 복지예산의 불안정성을 강하게 지적하며 전면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박재용 의원은 “복지국 총 예산은 증가했지만 노인·장애인 복지예산 점유율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