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로에게 건강한 집밥 지원" 은평구, 은빛SOL밥 사업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3-22 11:20:45
  • -
  • +
  • 인쇄
건강돌봄 필요한 1인가구에 정기적인 먹거리와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지원
▲ 서울 은평구는 중장년 1인 가구와 자립준비청년을 대상으로 건강한 식생활과 사회적 관계 지원을 위한 ‘은빛SOL밥’ 사업을 추진한다. 사진은 주민설명회를 개최 모습.

[뉴스스텝] 서울 은평구는 중장년 1인 가구와 자립준비청년을 대상으로 건강한 식생활과 사회적 관계 지원을 위한 ‘은빛SOL밥’ 사업을 추진한다.

‘은빛SOL밥’은 ‘은'평구의 ’빛'나는 ‘솔’로(SOLO) 1인가구에 지원하는 건강한 집’밥’을 의미하는 은평구 특화사업이다.

불규칙한 식습관 등 건강 돌봄이 필요한 1인가구에게 정기적인 먹거리를 지원하고, 생활권역별 공유주방을 활용한 건강요리교실을 운영한다.

은빛SOL밥 돌봄가구 대상은 소득·주거(주방시설 유무)·건강 등을 고려해 동 주민센터와 아동복지시설에서 총 400명을 선정했다.

지원금액은 1인당 월 4만 원, 총 8개월간 연 32만 원이며 지역화폐인 은평사랑상품권으로 지원된다. 내달부터 지정된 반찬가게 가맹점에서 지원한도액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가맹점은 총 26곳으로 이용자들이 찾기 쉬운 도로변 등 접근성이 좋은 곳에 있다. 국‧찌개류, 밑반찬 등 다양하면서, 1인 가구를 위해 소분으로 반찬을 판매한다. 가맹점은 지속해서 모집 중이다.

은빛SOL밥 돌봄 가구에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도 제공한다. 대상자는 은평건강관리센터에 방문해 허리둘레, 혈압, 공복혈당, 체성분검사 등 대사증후군 발견검사를 받은 후 결과에 따라 의사상담, 영양 및 운동상담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오는 5~11월에는 건강요리교실과 소통프로그램을 총 7기에 걸쳐 운영한다. 서울시 중장년 1인가구 행복한 밥상 소셜다이닝 공모 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마련한 프로그램이다.

요리 강좌는 은빛SOL밥 돌봄가구 외에도 일반 중장년 1인가구도 참여할 수 있다. 내달 중 은평구 1인가구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신청 접수하며, 제철 친환경 재료를 활용한 기수별 다양한 강좌를 제공할 계획이다.

앞서 구는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동별 주민설명회를 열어 사업내용, 가맹업체, 서울Pay+ 어플 설치, 상품권 이용 방법 등을 안내했다. 오는 29일 가맹 반찬가게와 상생협약 체결을 통해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설 계획이다.

김미경 은평구청장은 ‘1인가구에는 균형 잡힌 영양 섭취를 지원하고 반찬가게는 매출 증대를 꾀할 수 있다“며 ”모두가 건강한 공동체로 함께 성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윤충식 의원, 선착순 AI 지원은 '차별의 경기' 초래... 선심성 예산 지양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소속 윤충식 의원(국민의힘, 포천1)은 21일 ‘경기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 동의안’ 안건 심사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 중인 학생 대상 AI 지원 사업의 불공정성과 실효성 부재를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윤 의원은 경기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추진하려는 AI 활용 역량 강화 사업이 일부 대상에게만, 그것도 '선착순

경기도의회 박옥분 의원, 하천·계곡 지킴이 여성 지원자 86명 중 실제 선발 18명...“성인지 예산 무용지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2)은 21일 열린 2026년 본예산 심사 및 제3차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건설국과 건설본부를 대상으로 도민 생활안전 예산의 불투명한 감액, 성인지 예산 구조의 고착화, 지하안전 관리체계 부재 등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박 의원은 성인지 예산 분야와 관련해 “하천·계곡 지킴이의 여성 지원자는 86명(17.2%)이나 실제 선발은 18명(16.

경기도의회 박재용 의원, “복지예산이 경기 따라 흔들리는 ‘고무줄 예산’... 사회적 약자 기본권 침해 우려”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2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안 심의에서 2026년도 복지예산 편성과 관련해 노인·장애인 복지사업의 대규모 일몰 및 감액 문제, 추경 의존 구조, 복지예산의 불안정성을 강하게 지적하며 전면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박재용 의원은 “복지국 총 예산은 증가했지만 노인·장애인 복지예산 점유율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