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 ‘진주대첩 역사공원’ 내 공원지원시설 명칭 공모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8-23 12:00:52
  • -
  • +
  • 인쇄
의병·호국정신 주제로 알기 쉽고 부르기 쉬운 명칭 공모, 9월 9일까지 접수
▲ 진주대첩 역사공원 조성 현장(24.7월)

[뉴스스텝] 진주시는 2007년 기본계획 수립 후 17년 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갈 ‘진주대첩 역사공원’내 공원지원시설에 대해 이달 26일부터 내달 9일까지 명칭 공모전을 실시한다.

이달 말 준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진주대첩 역사공원은 총사업비 940억 원을 들여 대지면적 1만 9870㎡에 연면적 7081㎡ 규모로 지하 1층과 지상층으로 조성됐으며, 지하 1층은 149면의 주차장, 지상은 공원지원시설과 역사공원으로 구성됐다.

공원지원시설은 전체 공원면적의 5%로 진주 관광종합안내소, 진주성 매표소, 공원 관리 운영을 위한 사무실, 카페·하모 굿즈샵 등으로 사용된다.

지붕은 PC스탠드를 이용하여 평소에는 시민의 편안한 휴식 공간으로, 공연이 있을 시는 400명에서 600명이 앉아 공연을 볼 수 있는 관람석으로 사용되도록 꾸며진다.

진주시는 진주대첩 역사공원 조성 사업이 장기간에 걸쳐 어렵게 추진된 만큼 장소의 중요성과 의미에 걸맞은 공원지원시설의 이름을 공모를 통해 결정하기로 했다.

‘진주대첩 역사공원 내 공원지원시설 명칭 공모전’의 주제는 1592년(임진년) 10월 진주대첩 1차 전투 시 백성이 의병이 되어 관군과 합심하여 진주성을 지킨 의병·호국정신이다.

의병·호국정신은 평등 ․ 나눔 ․ 인본정신을 근간으로 하는 진주정신으로 계승되어 걸인․기생독립단 만세운동(1919년), 소년운동(1920년), 형평운동(1923년), 진주 K-기업가정신(제2의 진주기적)으로 발현됨에 따라 나라를 지키고자 분연히 일어섰던 백성들의 모습을 형상화한 건축작품인 공원지원시설의 주제와 맞아떨어진다.

이번 명칭 공모전에는 누구나 참가할 수 있으며, 진주시청 홈페이지에서 ‘명칭 공모 신청서 및 개인 정보이용동의서’를 다운받아 작성한 후 이메일로 제출하면 된다.

제출기한은 9월 9일 오후 6시까지이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진주시 홈페이지 또는 공공시설추진단으로 문의하면 된다.

공모 작품은 실무부서 검토를 거쳐서 전문가 위원회와 시민소통위원회 심사를 통해 최종 당선작으로 선정할 계획이며, 결과 발표는 개별통보 또는 시 홈페이지 새소식란에 게시할 예정이다.

진주시 관계자는 “과거의 문화유산을 계승하여 현재와 공존하면서 다음 세대를 준비하는 공간인 진주대첩 역사공원의 공원지원시설 명칭 공모에 시민들의 기발하면서 톡톡 튀는 아이디어를 기다린다”며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삼척 감로사, 삼척시 다섯 번째 전통사찰로 지정

[뉴스스텝] 삼척시 정상동 보타산 자락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소속 삼척 감로사가 문화체육관광부 고시(2025. 9. 18.)에 따라 전통사찰로 지정됐다.삼척 감로사는 1960년 담호당 봉석 스님이 창건한 사찰로, 향토지와 구전에 따르면 옛 관음사 터에 세워진 것으로 전해진다.감로사는 지난 6월 25일 문화체육관광부 『전통사찰 지정자문위원회』 심의에서 조건부 지정을 받았고, 해당 조건을 이행한 후

삼척시, 추석연휴 환경오염 24시간 특별감시 추진

[뉴스스텝] 삼척시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환경오염 예방을 위해 공장 지역 및 인근 하천 등을 대상으로 ‘환경오염 행위 특별감시 활동’을 추진한다.시는 9월 29일부터 10월 2일까지 환경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을 대상으로 사전 계도와 자율점검을 유도하는 한편, 환경오염 우려 사업장을 중심으로 특별점검을 실시하고, 대기·폐수 배출시설의 허가(신고) 여부 방지시설 정상 가동 여부 환경기술인 자격 및 정상 근무 여부

경북도,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2025 국제경주역사문화포럼’ 개막

[뉴스스텝] 경상북도는 2025년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경주예술의전당에서 ‘2025 국제경주역사문화포럼’을 개최한다.세계역사문화도시 경주의 천년 인문 정신과 세계 인문학을 연결하는 이번 포럼은 ‘천년의 길 위에서 별을 바라보다’를 주제로, 인류가 함께 모색해야 할 지속 가능한 미래에 대해 인문학적으로 접근하는 국제포럼으로, ‘APEC 2025 KOREA’ 3대 의제인 ‘연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