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기억 지우개’ 양혜지 친부 안내상, 진세연 습격! 진짜 정체는?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9-20 12:05:10
  • -
  • +
  • 인쇄
▲ [사진='나쁜 기억 지우개' 제공]

[뉴스스텝] MBN 금토 미니시리즈 ‘나쁜 기억 지우개’ 진세연의 일촉즉발의 위기 상황이 담긴 스틸이 공개되어 그 결말에 이목을 집중시킨다.

MBN 금토미니시리즈 ‘나쁜 기억 지우개’(연출 윤지훈, 김나영/극본 정은영/제작 스튜디오지담, 초록뱀미디어, 김종학프로덕션)는 기억지우개로 인생이 바뀐 남자와 그의 첫사랑이 되어버린 여자의 아슬아슬 첫사랑 조작 로맨스. 나쁜 기억 지우개 수술이라는 기발한 소재와 김재중, 진세연 등 주연배우들의 몸을 사리지 않는 코믹 연기가 입소문을 타면서 국내외 뜨거운 반응을 이어가고 있다.

앞서 방송된 14회에서는 이군(김재중 분)과 주연(진세연 분)이 드디어 서로의 마음을 깨닫고 처음으로 데이트를 보냈으나, 이군이 '나쁜 기억을 지우는 수술'의 존재를 깨닫고 분노하는 모습이 그려졌다. 특히 이신(이종원 분)의 협박범과 새얀의 친부(안내상 분)가 동일인임이 밝혀지며 긴장감을 선사했다.

이와 함께 위기에 처한 주연의 스틸이 공개되어 이목을 집중시킨다. 스틸 속 주연은 눈앞에 나타난 새얀의 친부(안내상 분)을 확인하고 눈에 띄게 경직된 채 겁에 질린 모습.

어째서 주연이 겁에 질린 것인지, 주연을 찾아온 이유는 무엇인지 두 사람의 관계에 호기심이 증폭되는 가운데, 이어지는 스틸 속 주연은 기절한 채 바닥에 누워 있어 보는 이들의 심장을 덜컥 내려앉게 한다.

이윽고 둔기를 치켜드는 새얀부의 뒷모습이 이어지며 주연에게 찾아온 일촉즉발 위기의 순간. 이에 이군과 주연이 해피엔딩을 맞이할 수 있을지, 마지막까지 단 2회를 남겨두고 있는 ‘나쁜 기억 지우개’의 본 방송에 관심이 집중된다.

이에 ‘나쁜 기억 지우개’ 제작진은 “이번 주 마지막 대 반전과 함께 얽히고설킨 네 사람의 충격적인 과거와 진실이 공개된다. ‘나쁜 기억 지우개’와 함께 끝까지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한편 MBN 금토미니시리즈 ‘나쁜 기억 지우개’는 오늘(20일) 저녁 9시 40분에 15회가 방송된다. 또한 OTT 넷플릭스, 티빙, 웨이브는 물론 일본 U-NEXT, 미주, 유럽, 오세아니아, 중동, 인도에서는 라쿠텐 비키(Rakuten Viki)에서 독점 공개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윤충식 의원, 선착순 AI 지원은 '차별의 경기' 초래... 선심성 예산 지양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소속 윤충식 의원(국민의힘, 포천1)은 21일 ‘경기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 동의안’ 안건 심사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 중인 학생 대상 AI 지원 사업의 불공정성과 실효성 부재를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윤 의원은 경기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추진하려는 AI 활용 역량 강화 사업이 일부 대상에게만, 그것도 '선착순

경기도의회 박옥분 의원, 하천·계곡 지킴이 여성 지원자 86명 중 실제 선발 18명...“성인지 예산 무용지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2)은 21일 열린 2026년 본예산 심사 및 제3차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건설국과 건설본부를 대상으로 도민 생활안전 예산의 불투명한 감액, 성인지 예산 구조의 고착화, 지하안전 관리체계 부재 등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박 의원은 성인지 예산 분야와 관련해 “하천·계곡 지킴이의 여성 지원자는 86명(17.2%)이나 실제 선발은 18명(16.

경기도의회 박재용 의원, “복지예산이 경기 따라 흔들리는 ‘고무줄 예산’... 사회적 약자 기본권 침해 우려”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2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안 심의에서 2026년도 복지예산 편성과 관련해 노인·장애인 복지사업의 대규모 일몰 및 감액 문제, 추경 의존 구조, 복지예산의 불안정성을 강하게 지적하며 전면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박재용 의원은 “복지국 총 예산은 증가했지만 노인·장애인 복지예산 점유율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