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군, 2024 대한민국 소비자대상 ‘소비자친화행정’ 부문 수상 쾌거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7-02 12:15:23
  • -
  • +
  • 인쇄
믿을 수 있는 먹거리 생산·판매·수출 공로 인정
▲ 고흥군, 2024 대한민국 소비자대상 ‘소비자친화행정’ 부문 수상 쾌거

[뉴스스텝] 고흥군이 지난 25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된 '2024 대한민국 소비자 대상'에서 ‘소비자친화행정’ 부문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대한민국 소비자 대상은 대한민국 소비자 대상위원회와 컨슈머포스트가 주최하고 한국소비자협회와 주한대사 문화친선협회가 주관하는 행사로 지난 2012년부터 소비자권익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기업 및 브랜드를 발굴해 매년 시상해 왔다.

고흥군은 대한민국 소비자들이 믿을 수 있는 먹거리를 생산에서부터 판매·수출까지 행정에서 앞장서서 추진해 온 결과‘소비자친화행정’부문을 수상할 수 있었다.

특히, 이번 수상은 농수산물 판로 개척을 위해 불철주야 발로 뛰어온 공로를 인정받았기에 민선 8기 반환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값지고 크다고 할 수 있다.

고흥군에서는 515 농가가 1,901헥타르의 면적에서 237,904톤의 쌀, 유자, 토마토 등 다양한 친환경 인증 농산물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이런 품질 좋은 고흥의 믿을 수 있는 친환경 먹거리를 소비자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도록 군 직영 온라인 쇼핑몰인 ‘고흥몰’을 운영 중이다.

고흥몰은 단순한 온라인 쇼핑몰을 넘어서 고흥군 농수산물 유통의 중심에서 여러 유통플랫폼과 납품 협약 및 마케팅 협약을 체결하는 등 혁신적인 유통 대응 체계를 구축해 가고 있다.

공영민 군수는 “고흥군의 농어민들이 판로 걱정 없이 생산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행정이 앞장서서 국내외 판로 개척에 힘쓰고 있다”며 “우수하고 믿을 수 있는 고흥의 먹거리를 전국 소비자의 식탁에 오를 수 있도록 행정에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군 관계자는 “소비자에게 믿을 수 있는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군에서 앞장서서 힘쓴 덕분에 이처럼 뜻깊은 상을 받을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고흥 농산물을 믿고 구매할 수 있도록 친환경농업에서부터 판매까지 각 시장에 맞는 전략을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그리고, 국내 유통뿐만 아니라 고흥의 우수한 농수산물의 판로 개척을 위해 지난 2022년부터 체코, 프랑스, 중국, 일본, 몽골 등 7개국 17개 유통사와 8,530만 달러의 수출 협약을 통해 고흥군 농수산물의 신규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제316회 함안군의회 제2차 정례회 개회

[뉴스스텝] 함안군의회는 지난 25일 제316회 제2차 정례회를 개회하고 21일간의 회기운영에 들어갔다.이번 제2차 정례회 주요 일정은 11월 26일 주요 사업장 현장방문, 11월 27일부터 12월 2일까지 각 위원회에서 조례안 13건(의원발의 2, 함안군수 제출 11)과 일반안건 13건, 2026년도 정기분 공유재산 관리계획안,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 예산안 등을 심의한 후 12월 3일 제2차 본회

제263회 아산시의회 제2차 정례회 제1차 의회운영위원회 개회

[뉴스스텝] 아산시의회 의회운영위원회는 11월 25일 제263회 제2차 정례회 제1차 회의를 열고, 아산시 결산검사위원 선임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포함한 위원회 소관 안건 3건을 심사했다.이날 회의에서는 아산시 결산검사위원 선임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명노봉 의원 대표발의) 아산시의회의원 공무국외출장 결과보고의 건 2025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 추가경정예산안

제316회 함안군의회 제2차 정례회 문석주 의원 5분 자유발언

[뉴스스텝] 25일 함안군의회 제316회 제2차 정례회 제1차 본회의에서 문석주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우리 군 평생교육의 현실을 진단하고, 군민의 학습권 보장과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평생교육 체계 개선을 촉구했다.문석주 의원은 “평생교육은 선택이 아닌 국민의 기본 권리이자, 급변하는 시대에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정책”이라고 강조하며, 현재 함안군은 평생교육원·종합사회복지관·여성센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