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남구, 군분로 토요 야시장 ‘매출 증대’ 큰 기여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0-17 12:15:31
  • -
  • +
  • 인쇄
먹거리 부스 참여 상인 대상 설문조사 결과
▲ 군분로 글로벌 토요 야시장 개장식

[뉴스스텝] 광주 남구 군분로 토요 야시장이 축제를 진행하는 기간 동안 골목 상권 매출 증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군분로 일대 상당수 상인은 내년에도 토요 야시장 운영에 적극 참여하겠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남구는 17일 “군분로 토요 야시장에 참여한 무등시장 및 군분로 일대 상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토요 야시장이 전통시장과 주변 상권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군분로 토요 야시장이 막을 내린 지난 9월 27일 이후를 시점으로 추석 연휴 기간을 포함해 10월 15일까지 진행됐다.

조사 대상은 군분로 토요 야시장에서 향토음식 먹거리 부스를 운영한 상인 64명이었으며, 응답자는 50명(참여율 78.1%)이었다.

가장 주목할 부분은 토요 야시장 운영에 따른 상인들의 매출 변화 및 체감도였다.

먼저 야시장이 열린 날과 그렇지 않은 날의 동일 시간대 매출 변화를 묻는 항목에서 상인 34명(68%)은 매출 증대가 이뤄졌다고 답했다.

매출이 50% 이상 증가한 상인은 10명이었고, 24명은 10~50%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야시장이 문을 연 하루 동안 400만원 가량의 최대 매출을 올린 상인도 있었으며, 매출 증대를 이룬 34명의 일 평균 매출액은 133만원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상인 14명은 야시장 전‧후 매출 변화가 10% 미만 증가 또는 마이너스 10% 이내로 줄어든 것으로 응답했으며, 나머지 상인 2명은 마이너스 10~50%까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응답자 대부분은 내년에도 토요 야시장에 참가하겠다는 의향을 내비쳤다.

상인 34명은 ‘적극 참여하겠다’라고 응답했으며, 14명은 부스 운영에 필요한 전기와 탁자‧의자 등 장비를 구청에서 추가로 확대 지원하면 야시장에 함께하겠다는 의견을 보냈다.

이밖에 야시장 참여 이유를 묻는 항목(복수 선택)에서는 ‘매출 증대 기대감’이 44.9%로 가장 많았고, ‘지역사회 참여‧협력을 위해’라는 응답도 34.8%에 달했다.

남구 관계자는 “군분로 토요 야시장이 연이은 흥행을 이어갈 수 있었던 것은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구청과 상인들, 지역민 모두가 함께 힘을 모아줬기 때문이다”면서 “앞으로도 골목 상권과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기획재정부,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개최

[뉴스스텝]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11월 4일 08:20 정부서울청사에서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했다.구윤철 부총리는 모두발언을 통해 한미 간 관세협상이 타결되어, 우리 경제에 드리웠던 불확실성이 많이 해소됐다고 언급했다. 어려운 시기였음에도 수출이 증가세를 지속하는 등 우리 기업들이 불굴의 저력으로 선방해주면서 정부 협상에 힘을 보탰음을 강조하며 감사의 말씀을 전했다. 또한, 구 부

해양수산부, 생산자-소비자가 함께 이익 누리는 수산물 유통 '새 틀' 짠다

[뉴스스텝] 해양수산부는 11월 4일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을 발표했다.그간 수산물은 어획 후 위판장, 도매시장 등 복잡한 유통단계를 거쳐 높은 유통비용이 발생하고, 신선도 유지도 어려워 근본적인 구조 개선이 요구되어 왔다. 해양수산부는 최근 기후 및 소비환경 변화 속에서 현 제도만으로는 구조 개선에 한계가 있다는 현장 의견을 수렴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유통혁신

산업부, 코리아 소사이어티와 한미 간 협력 증진 방안 모색

[뉴스스텝] 산업통상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11월 4일 서울에서 코리아 소사이어티 토마스 번(Thomas Byrne) 회장과 만나 한미 경제협력 증진 방안에 대한 견해를 공유했다. 코리아 소사이어티(The Korea Society)는 한국과 미국 간의 상호 이해 증진과 우호 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1957년 설립된 미국의 비영리단체로, 정치, 경제, 문화,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정책 포럼, 세미나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