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영] '완벽한 결혼의 정석' 배우 성훈, "서도국, 현재의 삶 속에서 행복했으면" 아쉬움 가득 종영 소감!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12-04 12:25:31
  • -
  • +
  • 인쇄
▲ [사진 제공: MBN 주말 미니시리즈 '완벽한 결혼의 정석']

[뉴스스텝] ‘완벽한 결혼의 정석’의 배우 성훈이 가슴 벅찬 종영 소감을 전했다.

성훈은 MBN 주말 미니시리즈 ‘완벽한 결혼의 정석’에서 사랑하는 연인의 복수를 위해서라면 물불 가리지 않는 서도국으로 완벽 변신하며 ‘인생 캐릭터’를 경신했다.

작품을 마친 성훈은 “12회. 6주라는 시간이 이렇게 빨리 지나갈 거라고는 예상을 못해서 아직 실감이 나지 않는다. 많은 분들께서 ‘완벽한 결혼의 정석’을 사랑해주신 덕분에 좋은 작품으로 기억될 것 같다”고 애정 어린 소감을 건넸다.

성훈은 매회 색다른 설렘 포인트로 로맨틱의 정석을 보여주는가 하면, 사랑하는 한 여자만을 위한 브레이크 없는 직진 로맨스로 심쿵을 유발했다.

또한 한이주(정유민 분)의 복수를 위해 서라면 칼을 대신 맞는 위험까지 감수하는 등 사랑에 빠진 남자의 마음을 세밀하게 그려내며 여심을 사로잡았다.

특히 성훈은 캐릭터의 감정이 변화할 때마다 눈빛부터 시선, 목소리 톤까지 조절하는 열연으로 서도국이 지닌 다채로운 면면을 몰입감 있게 그려냈다.

게다가 드라마의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도국의 서사를 밀도 있게 이끌어가며 강렬한 임팩트를 남겼다.

마지막까지 서도국으로 최선을 다했던 성훈은 마지막으로 “이제 서도국을 떠나보내게 되어 시원섭섭하지만, 그동안 도국이한테 고생 많았다고 또 현재의 삶 속에서 행복하게 살라고 말해주고 싶다. 마지막까지 재미있게 봐주시고 주변에 입소문 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면서 “드라마에 참여한 제작진분들과 모든 스태프 분들, 배우 분들 수고 많으셨다. 올해 마지막을 ‘완벽한 결혼의 정석’으로 마무리할 수 있어 저 또한 행복하다. 함께 시청해주신 모든 분들이 도국이와 이주처럼 진정한 행복을 찾으시길 바란다. 저는 좋은 작품을 통해 좋은 모습으로 인사드리겠다”고 감사한 마음을 전했다.

한편 성훈은 티빙 오리지널 시리즈 ‘이재, 곧 죽습니다’에서 시크릿 캐스트 중 한 명이자 익사이팅 스포츠 선수 송재섭 역을 맡아 삶과 죽음 속 아찔한 전율을 더할 전망으로, 오는 15일(금) 공개를 앞두고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윤충식 의원, 선착순 AI 지원은 '차별의 경기' 초래... 선심성 예산 지양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소속 윤충식 의원(국민의힘, 포천1)은 21일 ‘경기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 동의안’ 안건 심사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 중인 학생 대상 AI 지원 사업의 불공정성과 실효성 부재를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윤 의원은 경기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추진하려는 AI 활용 역량 강화 사업이 일부 대상에게만, 그것도 '선착순

경기도의회 박옥분 의원, 하천·계곡 지킴이 여성 지원자 86명 중 실제 선발 18명...“성인지 예산 무용지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2)은 21일 열린 2026년 본예산 심사 및 제3차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건설국과 건설본부를 대상으로 도민 생활안전 예산의 불투명한 감액, 성인지 예산 구조의 고착화, 지하안전 관리체계 부재 등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박 의원은 성인지 예산 분야와 관련해 “하천·계곡 지킴이의 여성 지원자는 86명(17.2%)이나 실제 선발은 18명(16.

경기도의회 박재용 의원, “복지예산이 경기 따라 흔들리는 ‘고무줄 예산’... 사회적 약자 기본권 침해 우려”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2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안 심의에서 2026년도 복지예산 편성과 관련해 노인·장애인 복지사업의 대규모 일몰 및 감액 문제, 추경 의존 구조, 복지예산의 불안정성을 강하게 지적하며 전면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박재용 의원은 “복지국 총 예산은 증가했지만 노인·장애인 복지예산 점유율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