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관광산업 교류의 장, `2023 서울국제트래블마트(SITM)` 참가기업 모집 시작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3-21 13:05:31
  • -
  • +
  • 인쇄
6월 20일~6월 24일 5일간 '2023 서울국제트래블마트(SITM)' DDP에서 개최
▲ 2023 서울국제트래블마트 포스터

[뉴스스텝] 서울관광재단은 세계 관광시장 회복세에 발맞춰 국내외 관광업계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2023 서울국제트래블마트(SITM)’ 참가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서울국제트래블마트(SITM)’는 6월 20일~6월 24일 5일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와 온라인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9회차인 ‘서울국제트래블마트(SITM)’는 바이어-셀러 간 B2B 트래블마트를 중심으로 홍보부스, 서울관광 설명회, 바이어 팸투어, 네트워킹의 밤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B2B 트래블마트는 현장 상담과 화상 상담이 각각 진행된다. 현장 상담은 6월 21일~22일 양일간 DDP 아트홀2에서, 화상 상담은 6월 23일~24일까지 온라인에서 운영된다.

홍보부스, 서울관광 설명회, 네트워킹의 밤은 6월 21일~22일에 걸쳐 DDP 로비와 아트홀1에서 진행된다.

B2B 트래블마트 참가를 희망하는 국내 참가기업들은 3월 20일부터 공식 누리집에서 신청할 수 있다.

이번 B2B 트래블마트는 해외 바이어 220개 사(오프라인 120, 온라인 100), 국내 셀러 390개사 규모로 진행된다.

3월 20일부터 국내외 참가자를 동시 모집하며, 사전 신청자에 한해 5월부터 사전상담 주선(PSA)을 진행한다.

조기 등록한 국내 참가자 중 100개 사를 선정하여 ▴국외 바이어와의 네트워킹의 밤 참석 기회 ▴오프라인 상담 기간 중 오찬 ▴공식 누리집 추천 셀러 홍보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지난 ‘2022 서울국제트래블마트[SITM]’에서는 2,386건의 비즈니스 상담과 약 324억 원의 계약 협의액을 달성하는 성과를 냈다.

참가자 종합만족 비율도 82.8%로 나타나, 국내외 관광업계 네트워킹 재건 기회를 마련한 것에 대해 업계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황미정 서울관광재단 산업협력팀장은 “본격적인 코로나19 엔데믹을 맞아 올해 서울국제트래블마트[SITM]가 국내외 관광업계 네트워크 활성화의 장이 되길 바란다”라며 “관심 있는 많은 기업의 참가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윤충식 의원, 선착순 AI 지원은 '차별의 경기' 초래... 선심성 예산 지양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소속 윤충식 의원(국민의힘, 포천1)은 21일 ‘경기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 동의안’ 안건 심사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 중인 학생 대상 AI 지원 사업의 불공정성과 실효성 부재를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윤 의원은 경기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추진하려는 AI 활용 역량 강화 사업이 일부 대상에게만, 그것도 '선착순

경기도의회 박옥분 의원, 하천·계곡 지킴이 여성 지원자 86명 중 실제 선발 18명...“성인지 예산 무용지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2)은 21일 열린 2026년 본예산 심사 및 제3차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건설국과 건설본부를 대상으로 도민 생활안전 예산의 불투명한 감액, 성인지 예산 구조의 고착화, 지하안전 관리체계 부재 등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박 의원은 성인지 예산 분야와 관련해 “하천·계곡 지킴이의 여성 지원자는 86명(17.2%)이나 실제 선발은 18명(16.

경기도의회 박재용 의원, “복지예산이 경기 따라 흔들리는 ‘고무줄 예산’... 사회적 약자 기본권 침해 우려”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2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안 심의에서 2026년도 복지예산 편성과 관련해 노인·장애인 복지사업의 대규모 일몰 및 감액 문제, 추경 의존 구조, 복지예산의 불안정성을 강하게 지적하며 전면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박재용 의원은 “복지국 총 예산은 증가했지만 노인·장애인 복지예산 점유율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