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교육청시민협치진흥원, ‘아버지 교실’ 운영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5-08 13:15:12
  • -
  • +
  • 인쇄
학습지도·인성교육·성교육·생활예방교육 등 4개 프로그램
▲ [포스터] '2025년 아버지교실- 퇴근 후 일곱 시, 아빠 수업이 시작된다'/광주시교육청제공

[뉴스스텝] 광주광역시교육청시민협치진흥원은 유·초·중학생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오는 6월부터 9월까지 ‘2025 아버지 교실 – 퇴근 후 일곱시, 아빠 수업이 시작된다’를 운영한다.

‘2025 아버지 교실’은 학령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이 자녀들과 공감대를 형성하고, 소통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프로그램은 인성교육·학습지도·성교육·생활예방교육 등 4개 분야로 진행된다.

자녀성장단계를 구분해 ▲6월 초등학교 아버지 교실 ▲7월 유치원 아버지 교실 ▲9월 중학교 아버지 교실 순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광주교육시민협치진흥원은 더 많은 아버지들이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저녁 7시부터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가장 먼저 진행되는 ‘초등학교 아버지 교실’은 ▲아빠의 자기돌봄-건강한 부모가 건강한 자녀를 만든다 ▲초등학생 자녀 교육과 진로 지도 길라잡이 ▲우리아이 성교육을 주도하는 이토록 다정한 아버지 등 초등학교 자녀의 성장을 이해하는 내용으로 구성됐다.

‘유치원 아버지 교실’은 ▲세상 행복한 성평등 교육-나를 나답게 하는 힘, 성인지감수성UP ▲자녀의 성장을 돕는 사랑-진심을 전하는 대화, 적절한 훈계 ▲아빠의 미디어 리터러시-자녀를 위한 안전한 디지털 환경 만들기 등 유치원 자녀 양육을 위한 유익한 정보로 마련됐다.

‘중학교 아버지 교실’은 ▲아버지를 위한 파워풀 코칭 리더십-자녀와의 소통을 위한 부모코칭 입문 ▲중학생 자녀 교육과 진로지도 길라잡이 ▲디지털 세상에서 아버지의 역할-자녀와의 소통을 위한 미디어 교육 등 사춘기 자녀를 이해하고 소통법을 배울 수 있는 내용이다.

각 프로그램은 학교급별 선착순 25명을 모집해 운영된다.

참가 신청은 ‘초등학교 아버지 교실’은 오는 9일 오전 10시부터 23일 오후 5시까지 광주광역시교육청학부모지원센터 누리집을 통해 할 수 있다. 유치원과 중학교 아버지 교실은 추후 신청기간을 공지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광주교육시민협치진흥원 학부모참여과로 문의하면 된다.

이정선 교육감은 "급변하는 사회적 흐름 속에서 자녀들과 공감하고, 소통하는 아버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이번 교육프로그램이 자녀의 올바른 성장을 돕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양양군, 고독사 위험가구 사회관계망 형성 ‘고독사 예방 프로그램’ 추진

[뉴스스텝] 양양군은 사회적 단절로 인한 고독사 위험을 줄이고, 지역사회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고독사 예방 프로그램'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은둔형 1인 가구가 지역사회와 자연스럽게 어울리며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찾아가는 집 밖 활동지지 프로그램 운영양양군은 양양군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연계하여 ‘찾아가는 집 밖 활동지지 프로그램’을 운

청양군 군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중대시민재해 역량 강화 교육

[뉴스스텝] 청양군은 4일 청양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전 직원을 대상으로 군민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중대시민재해 직원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했다.군에 따르면 이번 교육은 공직자의 안전의식 제고와 중대시민재해 예방 체계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군은 사람과안전 기술지도 법인 한창현 대표를 전문 강사로 초빙해 중대시민재해 적용대상 안전보건확보 의무 및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중대시민재해 사례 및 대응·

성주군, 2025년 기로연 성황리 개최

[뉴스스텝] 성주군은 31일 성주문화예술회관에서 성주향교가 주관하는 '2025년 기로연'행사를 개최했다. 기로연은 조선시대 기로소에 등록된 70세 이상의 원로 문신을 예우하기 위하여 나라에서 베풀던 잔치에서 유래되어, 현재는 향교 문화를 전승하고 어르신들의 건강과 장수를 기원하는 뜻을 담은 행사로 재현되고 있다. 이날 1부 행사는 식전공연을 시작으로 상읍례, 효행상 시상, 축사, 헌주례 순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