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비대면 학습 멘토링 `랜선나눔캠퍼스` 3기 멘토-멘티 모집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3-14 14:10:09
  • -
  • +
  • 인쇄
㈜KT와 비대면 학습 멘토링'랜선나눔캠퍼스' 3월 8일부터 31일까지 참여자 모집
▲ 랜선나눔캠퍼스 홍보영상 캡처

[뉴스스텝] 서울시는 ㈜KT와 함께 경기 악화로 어려움을 겪는 서울시 대학생에게 경제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중학생들의 학습결손을 메워 서울-지역 간 교육격차를 줄이기 위한'랜선나눔캠퍼스' 3기 대학생 멘토(160명)와 중학생 멘티(480명)를 3월 8일부터 3월 31일까지 한 달간 모집한다.

멘토링 활동기간은 5월부터 11월까지 6개월(24주)이고 최대 주 2회, 매회 2시간까지 수업을 할 수 있다. 활동이 마무리된 이후에는 우수 활동 멘토와 멘티들에게 서울특별시장상을 수여할 예정이다.

’22년에 추진된 랜선나눔캠퍼스 2기는 멘토 200명, 멘티 536명을 모집하고 5월부터 11월까지 6개월간 운영해서 90% 이상의 높은 만족도로 마무리를 한 바 있다.

최저시급 대비 높은 시급과 비대면 수업으로 시공간적 제약이 없어 멘토의 만족도가 높으며, 지역의 중학생의 경우 무료로 서울의 대학생에게 양질의 교육서비스를 받고 교재도 무상으로 지원받을 수 있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랜선나눔캠퍼스'는 서울 소재의 11개 대학 대학생이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의 중학생에게 온라인 수업으로 학습지도와 진로상담을 해주는 비대면 학습 멘토링 프로그램이다.

'랜선나눔캠퍼스'는 대학생 멘토 1명과 중학생 멘티 2~3명을 매칭해 소규모 온라인 그룹스터디 방식으로 진행된다. 참여 중학생들은 국·영·수 기초학습 중심으로 선호하는 과목을 학습하고 진로상담도 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멘토로 참여하는 대학생들에게 소정의 활동비를 지급해, 코로나19 장기화로 아르바이트 기회가 줄어든 대학생들의 경제활동 기회를 확대하는 효과도 거둘 계획이다.

서울시는 환경·사회·투명(ESG) 경영에 앞장서는 (주)KT와의 협업을 통해 온라인 수업 진행을 위한 플랫폼과 수업교재 등을 지원받아 멘토와 멘티의 부담을 덜고 더욱 효율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정상훈 서울시 행정국장은 “랜선나눔캠퍼스 사업이 경기악화로 아르바이트를 구하기 어려운 대학생들에게 경제적인 도움을 주면서 동시에 서울과 지역 간 교육격차를 줄여 서울과 지방이 함께 나아가는 상생협력의 발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랜선나눔캠퍼스 참여에 관한 기타 자세한 내용은 대외협력과 지역교류팀으로 문의하면 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윤충식 의원, 선착순 AI 지원은 '차별의 경기' 초래... 선심성 예산 지양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소속 윤충식 의원(국민의힘, 포천1)은 21일 ‘경기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 동의안’ 안건 심사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 중인 학생 대상 AI 지원 사업의 불공정성과 실효성 부재를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윤 의원은 경기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추진하려는 AI 활용 역량 강화 사업이 일부 대상에게만, 그것도 '선착순

경기도의회 박옥분 의원, 하천·계곡 지킴이 여성 지원자 86명 중 실제 선발 18명...“성인지 예산 무용지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2)은 21일 열린 2026년 본예산 심사 및 제3차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건설국과 건설본부를 대상으로 도민 생활안전 예산의 불투명한 감액, 성인지 예산 구조의 고착화, 지하안전 관리체계 부재 등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박 의원은 성인지 예산 분야와 관련해 “하천·계곡 지킴이의 여성 지원자는 86명(17.2%)이나 실제 선발은 18명(16.

경기도의회 박재용 의원, “복지예산이 경기 따라 흔들리는 ‘고무줄 예산’... 사회적 약자 기본권 침해 우려”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2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안 심의에서 2026년도 복지예산 편성과 관련해 노인·장애인 복지사업의 대규모 일몰 및 감액 문제, 추경 의존 구조, 복지예산의 불안정성을 강하게 지적하며 전면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박재용 의원은 “복지국 총 예산은 증가했지만 노인·장애인 복지예산 점유율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