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유럽 최대 인공지능 연구 컨소시엄 '사이버밸리'와 협력…유럽시장 진출 시동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2-27 14:15:05
  • -
  • +
  • 인쇄
서울 AI 허브-사이버밸리-서울대AI연구원 3자 업무협약…아시아 연구기관 최초 공식협약
▲ 서울 AI 허브-사이버밸리-서울대학교 AI연구원 협약 체결식(왼쪽부터 레베카 C. 라이시 사이버밸리 디렉터, 함종민 서울 AI 허브 센터장, 장병탁 서울대학교 AI연구원장)

[뉴스스텝] 서울시가 유럽 최대 인공지능 연구 컨소시엄으로 꼽히는 ‘사이버밸리(Cyber Valley)’와 손잡고, 국내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 스케일업 지원에 속도를 낸다. 지난해 딥러닝 분야 글로벌 연구기관인 캐나다 ‘밀라(MILA) AI 연구소’와 협력사업을 구체화한 데 이어, 올해는 유럽지역의 인공지능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시작한다.

이번 협약은 사이버밸리 본사(독일 튀빙겐)에서 ‘서울 AI 허브-사이버밸리-서울대학교 AI연구원’의 3자 간 업무협약(MOU)으로 진행됐다.

사이버밸리는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등 기초학문 분야의 혁신과 저명한 과학자 육성을 위해 2016년에 설립됐다. 자연과학‧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세계적 명성이 있는 막스 플랑크 연구소와 튀빙겐․슈투트가르트 지역에 있는 대학 소속 85명의 연구 교수진을 보유하고 있다.
사이버밸리를 이끌어가는 주된 기관으로 막스 플랑크 지능형 시스템연구소․슈투트가르트 대학교‧튀빙겐 대학교 등의 학술․연구기관, 아마존‧BMW 그룹‧로버트 보쉬 등의 민간기업 등 다양한 산업 기관이 포함돼 있어 유럽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인공지능 연구 생태계 지역 중 하나이다.
이들 연계된 산업‧학계‧재단 등 전체 기관에서 사이버밸리에 투자한 금액은 현재까지 한화 약 2,218억원에 이른다.

‘서울 AI 허브’는 서울시에서 2017년부터 운영하는 인공지능(AI) 분야 기술창업 육성 전문기관으로 ▲ 산․학․연 공동연구 ▲ 인공지능(AI) 고급인재 양성 ▲ 기업 성장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 중이다. 지자체는 물론 전국을 통틀어 인공지능 분야 스타트업을 위한 최초의 전문 지원시설이다.
‘서울 AI 허브’는 컨설팅·투자유치·해외진출 지원 등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그간 360개 이상의 기업을 육성했다.
또한, ‘서울 AI 허브’가 육성한 기업의 누적 매출액은 3,560억원, 누적 투자유치액은 3,670억원을 달성했고, 소속기업이 CES에서 최고혁신상(2개)을 포함하여 16개(누적)의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서울 AI 허브와 사이버밸리, 서울대학교 AI연구원은 구체적으로 ▲상호 보유한 투자 네트워크를 통한 현지 투자연계 ▲인공지능 공동연구 프로젝트 참여기회 제공 ▲상호 커뮤니티 자원 및 공간 지원‧교류 ▲상호 기관 보육 프로그램 참여기회 제공 ▲인공지능 분야 최신 기술과 동향 공유 등에 협력한다. 
특히 서울 AI 허브가 육성하고 있는 스타트업에는 사이버밸리의 연구자원을 활용하여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 현지 네트워킹을 통해 유럽 내 다양한 투자 수요처와 연결되는 기회를 제공한다.

레베카 C. 라이시(Rebecca C. Reisch) 사이버밸리 디렉터는 “사이버밸 리가 아시아 지역의 인공지능 연구기관과 첫 번째 공식 업무협약을 체결한 것에 의의가 있다”라며, “우리의 목표는 상호 보유한 투자 네트워크의 공유․연계 및 시장진출을 통해 양국 스타트업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해우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서울시는 타 산업 분야의 기초산업이 되는 ‘인공지능’ 분야를 지원하기 위해 ‘서울 AI 허브’를 거점으로 AI 기술문제 해결 및 AI+X 융․복합 인재양성 등 경쟁력 있는 산․학․연 생태계 조성에 집중하고 있다”라며, “지난해 북미의 밀라 AI 연구소에 이어 이번 협약으로 서울과 유럽 지역의 성공적인 인공지능 네트워크를 구축해 기술 문제 해결과 글로벌 시장 진출이라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스타트업에게 실질적 지원 방안을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윤충식 의원, 선착순 AI 지원은 '차별의 경기' 초래... 선심성 예산 지양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소속 윤충식 의원(국민의힘, 포천1)은 21일 ‘경기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 동의안’ 안건 심사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 중인 학생 대상 AI 지원 사업의 불공정성과 실효성 부재를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윤 의원은 경기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추진하려는 AI 활용 역량 강화 사업이 일부 대상에게만, 그것도 '선착순

경기도의회 박옥분 의원, 하천·계곡 지킴이 여성 지원자 86명 중 실제 선발 18명...“성인지 예산 무용지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2)은 21일 열린 2026년 본예산 심사 및 제3차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건설국과 건설본부를 대상으로 도민 생활안전 예산의 불투명한 감액, 성인지 예산 구조의 고착화, 지하안전 관리체계 부재 등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박 의원은 성인지 예산 분야와 관련해 “하천·계곡 지킴이의 여성 지원자는 86명(17.2%)이나 실제 선발은 18명(16.

경기도의회 박재용 의원, “복지예산이 경기 따라 흔들리는 ‘고무줄 예산’... 사회적 약자 기본권 침해 우려”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2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안 심의에서 2026년도 복지예산 편성과 관련해 노인·장애인 복지사업의 대규모 일몰 및 감액 문제, 추경 의존 구조, 복지예산의 불안정성을 강하게 지적하며 전면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박재용 의원은 “복지국 총 예산은 증가했지만 노인·장애인 복지예산 점유율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