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내주는 해결사' 오민석, 완벽해 보이는 겉모습 아래 숨겨진 어두운 속내! 노율성 캐릭터의 두 얼굴 담긴 첫 스틸 주목!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1-12 14:20:18
  • -
  • +
  • 인쇄
▲ [사진 제공: SLL, 하우픽쳐스, 드라마하우스]

[뉴스스텝] 오민석이 악질 배우자의 정석을 보여준다.

오는 31일(수) 첫 방송될 JTBC 새 수목드라마 ‘끝내주는 해결사’(극본 정희선/ 연출 박진석/ 제작 하우픽쳐스, 드라마하우스, SLL)는 ‘쥐도 새도 모르게 이혼시켜 드립니다’ 대한민국 최고의 이혼 해결사 사라킴(이지아 분)과 똘기 변호사 동기준(강기영 분)의 겁대가리 없는 정의구현 응징 솔루션을 담은 드라마다.

오민석은 극 중 김사라의 전 남편이자 차율로펌의 대표 변호사 노율성 역을 맡았다. 노율성은 젠틀해 보이는 겉모습과 달리 속내는 시꺼먼 욕심으로 가득한 인물.

누군가를 속이고 버리는데 아무런 죄책감이 없고 갖고 싶은 것은 반드시 얻어야 하는 탐욕의 화신이다. 때문에 노율성에게 결혼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갖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에 불과하다.

이런 노율성의 최종 목표는 차율로펌을 넘어 일명 차율 타운을 개발하는 것. 쓸모가 없어진 아내 김사라를 헌신짝처럼 내버리고 꿈을 이루는 데 가장 큰 도움이 될 사람을 찾아 새로운 결혼 플랜을 세운다.

과연 노율성이 결혼을 도구 삼아 뜻하는 바를 모두 이룰 수 있을지 궁금증이 쏠린다.

공개된 사진에서는 노율성 캐릭터의 두 얼굴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몸에 맞는 쓰리피스 슈트와 깔끔한 헤어 스타일로 젠틀한 분위기를 풍기면서도 눈빛에는 짙은 욕망이 꿈틀거린다.

아무도 없는 사무실 안, 가면을 벗어던진 노율성의 서늘한 표정이 긴장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중적인 면모를 가진 노율성에 대해 오민석은 MBTI 유형 중 INTP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소수의 사람들과 관계를 유지하는 면이나 충동적인 부분, 그리고 ‘왜?’라는 질문을 많이 하는 걸 보아 INTP일 것 같은데 어느 때 보면 굉장히 계획적인 면도 있다. INTP 혹은 INTJ라고 생각한다”고 이유를 전했다.

특히 오민석은 “제가 INTP라서 노율성도 저와 같은 INTP”라며 “연기를 하면서 저랑 비슷한 부분을 발견할 때도 있었던 것 같다. 물론 나쁜 짓 하는 건 빼고”라는 유쾌한 설명을 덧붙여 캐릭터와 완벽한 싱크로율을 예고했다. 이에 오민석이 표현할 노율성 캐릭터와의 만남이 더욱 기대되고 있다.

오민석의 새로운 연기 변신이 펼쳐질 JTBC 새 수목드라마 ‘끝내주는 해결사’는 오는 31일(수) 저녁 8시 50분에 첫 방송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윤충식 의원, 선착순 AI 지원은 '차별의 경기' 초래... 선심성 예산 지양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소속 윤충식 의원(국민의힘, 포천1)은 21일 ‘경기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 동의안’ 안건 심사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 중인 학생 대상 AI 지원 사업의 불공정성과 실효성 부재를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윤 의원은 경기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추진하려는 AI 활용 역량 강화 사업이 일부 대상에게만, 그것도 '선착순

경기도의회 박옥분 의원, 하천·계곡 지킴이 여성 지원자 86명 중 실제 선발 18명...“성인지 예산 무용지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2)은 21일 열린 2026년 본예산 심사 및 제3차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건설국과 건설본부를 대상으로 도민 생활안전 예산의 불투명한 감액, 성인지 예산 구조의 고착화, 지하안전 관리체계 부재 등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박 의원은 성인지 예산 분야와 관련해 “하천·계곡 지킴이의 여성 지원자는 86명(17.2%)이나 실제 선발은 18명(16.

경기도의회 박재용 의원, “복지예산이 경기 따라 흔들리는 ‘고무줄 예산’... 사회적 약자 기본권 침해 우려”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2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안 심의에서 2026년도 복지예산 편성과 관련해 노인·장애인 복지사업의 대규모 일몰 및 감액 문제, 추경 의존 구조, 복지예산의 불안정성을 강하게 지적하며 전면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박재용 의원은 “복지국 총 예산은 증가했지만 노인·장애인 복지예산 점유율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