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시, 야생동물 계속 전시하려면 사전 신고 하세요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10-25 15:10:04
  • -
  • +
  • 인쇄
12월 14일부터 동물원 외 시설 야생동물 전시 금지, 사전전시 신고시 4년간 유예 가능
▲ 강릉시청

[뉴스스텝] 강릉시는 12월 14일부터 야생동물 카페 등 동물원 외 시설에서는 살아있는 야생동물의 전시가 금지됨에 따라 행정처분의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사전 전시 신고를 할 것을 당부했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개정('22.12.13.)에 따라 ① 야생동물이 아닌 종(가축, 반려동물), ② 야생동물 중 타법 관리하는 종(박제품), ③ 야생동물 중 '야생생물법 시행규칙'으로 정하는 종 및 시설, 영업허가를 받은 경우에만 전시가 가능하게 된다.

다만 기존 전시자의 경우 이 법 시행 전인 12월 13일까지 전시시설 소재지, 보유동물 종 및 개체수 등 현황을 사전 전시 신고하면 신고한 보유 동물에 한정하여 2027년 12월 13일까지 전시금지를 유예할 수 있다.

신고 대상은 야생동물 10종 미만 또는 50개체 미만의 보유시설로, 유예기간 4년간 신고한 야생동물의 전시는 가능하나 무분별한 먹이주기, 만지기 등 부적절한 체험행위는 금지되고 유예기간 종료 후에는 더 이상 전시를 할 수 없게 된다.

강릉시 관계자는 "동물원 외 시설에서 살아있는 야생동물의 전시를 하고 있는 사업주는 2023년 12월 13일 이전까지 업체명, 소재지, 대표자 이름, 보유동물 종 및 개체수 등을 강릉시 환경과에 신고하여 영업정지 등 행정처분의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기장군, 폐농약 집중 수거로 환경오염 예방 나서

[뉴스스텝] 기장군은 환경오염 방지와 주민의 안전 확보를 위해 오는 17일까지 읍·면 행정복지센터에서 폐농약 수거에 들어간다고 3일 밝혔다. 그동안 농약 빈 용기는 환경공단 등을 통해 재활용품으로 수거됐으나, 사용 후 남은 폐농약은 별도 처리할 방법이 없어 농가에 방치되거나 불법으로 배출되어 환경오염과 안전사고의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에 군은 각 읍·면 행정복지센터에 폐농약 전용 수거함을 설치 완료

청년들의 소통과 성장을 잇는 '경산시 청년센터'운영 개시

[뉴스스텝] 경산시는 청년들의 도전과 협력을 바탕으로 경산시 청년정책을 총괄·지원하기 위한 미래 성장 플랫폼인 '경산시 청년센터'가 3일부터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다.경산시 청년센터는 경산시 중앙로2길 8(구 펌프업스튜디오)에 위치하며, 2025년 11월부터 2027년 12월까지 (사)경상북도 청년 CEO 협회가 위탁 운영한다.청년센터 내부는 청년 활동과 교류를 위한 공간으로 구성됐으며, 1

국민건강보험공단 거창함양합천지사 ‘하늘반창고 육아용품’ 26세트 기탁

[뉴스스텝] 거창군은 지난 3일 국민건강보험공단 거창함양합천지사(지사장 김분수)로부터 ‘하늘반창고 육아용품’ 26세트(260만 원 상당)를 기탁받았다. 이번에 기탁받은 물품(이유식 용기, 아기 베개, 물티슈, 타월 등)은 관내 저소득층 영유아 26가구에 지원할 예정이다.‘건강보험공단 사회공헌 하늘반창고 육아용품 지원사업’은 영유아 돌봄에 필요한 맞춤형 육아용품을 지원해 저출산 문제 해소와 취약계층의 양육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