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구, 청소년 활동 장소? '홍은청소년문화의집'에서는 공간 대여가 무료!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4-01 15:35:07
  • -
  • +
  • 인쇄
미디어실, 강의실, 1인 스터디룸, 다목적강당, 공유주방 등 예약 후 이용
▲ 미디어실

[뉴스스텝] 서대문구는 구립 홍은청소년문화의집(포방터길 110)에서 관내 9∼24세 청소년에게 각종 공간을 무료 대관한다고 1일 밝혔다.

대관 공간은 ▲미디어실(미디어ON) ▲강의실(슬기터, 라온터) ▲1인 스터디룸(공존) ▲다목적강당(마루) ▲공유주방(윤슬주방) 등이다. 단, 프로그램 운영 시간 중에는 대관 제외.

공간별로 이용 인원과 시간이 다르며 홍은청소년문화의집 홈페이지 내 온라인 대관 예약 시스템을 통해 쉽고 편리하게 신청할 수 있다.

시설에 따라 책상, 의자, 방송시설 등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문화행사 및 교육, 세미나 등을 위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참고로 정치, 종교, 상업적 목적으로는 대관이 제한된다.

각 공간의 특성을 살펴보면 ‘미디어실(미디어ON)’은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이곳에서 청소년 크리에이터 양성을 위한 다양한 교육이 열린다. 조명, 크로마키 스크린, 카메라, 맥북 등 다양한 촬영 및 제작용 장비가 갖춰져 있어 영상 촬영이나 실시간 라이브 방송이 가능하다.

‘강의실(라온터, 슬기터)’는 노트북, 스마트TV, 빔프로젝터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구비하고 있으며 목적과 인원에 따라 테이블과 좌석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소모임 개최, 각종 자격증 취득, 교과목 스터디 등 목적에 따라 대여할 수 있다.

‘1인 스터디룸(공존)’은 단독 공부 공간으로 자유롭게 온라인 수강이나 화상 토론을 할 수 있다. PC, LED스탠드, 공기순환시스템 등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다목적강당(마루)’은 댄스와 뮤지컬 연습 등 청소년 문화예술 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빔프로젝터, 노트북, 스마트TV 등을 갖추고 있으며 회의, 워크숍, 세미나 장소로도 활용 가능하다.

‘공유주방(윤슬주방)’에는 인덕션, 전자레인지, 오븐, 주방용품 등이 구비돼 있어 청소년들이 음식을 만들어 먹을 수 있다,

이 밖에 PC, 비디오게임, 포토부스, 노래방 등을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예약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이성헌 서대문구청장은 “홍은청소년문화의집이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과 즐거운 여가 활용을 위한 공간으로 지속해서 발전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홍은청소년문화의집 카카오톡 채널을 추가하면 프로그램 개설 등 각종 소식을 빠르게 받아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이곳 홈페이지를 참고하거나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을 지켜주세요” 김해시, 인식 개선 홍보 강화

[뉴스스텝] 김해시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올바른 이용문화를 확산을 위해 11월 한 달간 인식 개선 홍보를 펼친다고 13일 밝혔다. 시는 지난 12일 내외동 이마트와 주촌면 코스트코에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인식 개선 캠페인을 진행했다. 캠페인에는 김해시장애인편의증진기술지원센터와 지체장애인연협회 김해시지회 장애인 일자리 참여자들이 시민들에게 홍보물을 나눠주고 현장 단속을 했다.이와 함께 시는 읍면동 게시판에 장

2025년 파주시·전국민주연합노동조합 단체(임금)협약 체결

[뉴스스텝] 파주시는 전국민주연합노동조합 파주시지부(공무직 근로자의 교섭대표)와 지난 12일 녩년 단체·임금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협약은 지난 5월 13일 양측 교섭 위원의 상견례를 시작으로, 총 9차례의 실무교섭 끝에 최종 합의안이 도출됐다.올해 협약의 주요 내용은 2024년 호봉별 통상임금 대비 임금 3% 인상 일반공무직·보건공무직의 호봉 간격 인상 호봉 획정 시 파주시 근무경력 인정 기준의

파주시, 한국법제연구원 지역에너지 전환 정책 토론회 참석

[뉴스스텝] 파주시가 지난 11일 서울스퀘어 상연재에서 열린 ‘제3차 지역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법제포럼’에 참석해, ‘지역 에너지전환 정책의 방향 모색’을 주제로 진행된 토론회에서 지역 중심의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정책 과제를 제시했다고 밝혔다.이번 토론회는 한국법제연구원이 주관하고 지방정부·연구기관·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가운데, 국가 차원의 에너지전환 정책을 지역 단위로 실현하기 위한 법제적 방향을 논의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