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새로운 문화 중심지 대구간송미술관, 《여세동보(與世同寶) – 세상 함께 보배 삼아》예매율 폭발적 증가!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9-05 16:40:22
  • -
  • +
  • 인쇄
대구간송미술관 개관기념 국보·보물전 《여세동보 – 세상 함께 보배 삼아 》1차 판매분(24.9.3.~ 9.22.관람분) 예매율 50% 돌파
▲ 대구광역시청

[뉴스스텝] 대구간송미술관(이후 미술관) 개관기념 국보·보물전 ‘여세동보(與世同寶) – 세상 함께 보배 삼아’ 1차 판매분의 예매율이 개관 3일차인 9월 5일에 50%을 돌파하며 흥행 돌풍을 예고했다.

국보·보물전 ‘여세동보(與世同寶) – 세상 함께 보배 삼아’는 간송 컬렉션을 대표하는 국보·보물 40건 97점, 간송 유품 26건 60점을 특별히 선보이는 만큼 시민들의 관심이 쏠렸고, 전시 개막일인 3일 아침부터 문전성시를 이루며 일일 관람객 2,255명을 달성하며 높은 관심도를 증명했다.

‘여세동보(與世同寶) – 세상 함께 보배 삼아’의 흥행 기세는 주말과 추석 연휴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1차 판매분에 포함된 주말과 추석 연휴 기간 입장권은 이미 매진이 되거나 매진에 가까운 관람객이 미술관을 찾을 예정이다.

따라서 전시 관람은 평일 관람을 추천한다.

보다 차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간송이 문화보국 정신으로 지켜온 국보·보물 40건 97점을 관람하는 시간을 누릴 수 있다.

특히, 오후 2시부터 오후 4시까지 미술관 내 ‘보이는 수리복원실’(미술관 1층)에서 진행되는 수리복원 전문 학예사의 지류문화유산 수리복원 공정 시연을 통해 각 공정의 목적과 의미를 공유할 수 있으며, 1일 4회 진행되는 전시전문해설사의 사전 해설을 통해 전시에 관련된 설명뿐만 아니라 수집 일화 등 유물에 얽힌 사연까지 들을 수 있어 전시 관람의 또 다른 묘미를 느낄 수 있다.

대구간송미술미술관 관계자는 “개막 첫날, 전시 오픈(10시) 전부터 관람객이 미술관 앞에 길게 줄을 서는 등 대구간송미술관에 대한 시민들의 기대감과 고미술에 대한 높은 관심을 실감할 수 있었다”며 “다만 주말 및 추석연휴는 대구를 찾는 관광객 및 가족단위 관람객으로 인해 혼잡이 예상되기에 평일에 관람하시는 것을 추천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여세동보(與世同寶) – 세상 함께 보배 삼아’는 12월 1일까지 이어지며, 2차 관람권 예매는 9월 6일 오전 10시부터 진행된다.

9월 24일부터 10월 6일까지 2주 관람분에 한해 2차 예매를 진행하며, 인터파크 티켓을 통해 단독으로 진행된다.

20명 이상 단체관람은 사전 전화 문의를 통해 예약하고, 인터파크를 통한 단체예약은 받지 않는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대구간송미술관 홈페이지 혹은 대표전화를 통해 문의할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 무주에 53m급 고가사다리차 배치…고층건축물 화재 대응 강화

[뉴스스텝]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는 무주소방서에 53m급 고가사다리차(사업비 9억 3천만 원)를 새롭게 배치하고 본격 운용에 들어간다고 31일 밝혔다.이번에 배치된 53m 고가사다리차는 무주군 최초의 고층건축물 대응 특수장비로, 최대 17층 높이(약 53m)까지 사다리를 전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층 아파트나 대형건물 화재 시 인명 구조와 화점 진입이 한층 신속하고 안전하게 가능해졌다.이 장비는 첨단

장성군, 7월 1일 기준 개별공시지가 이의신청 접수

[뉴스스텝] 장성군이 30일부터 7월 1일자 기준 개별공시지가를 결정·공시했다. 장성군 누리집에 접속해 통합검색 창에 ‘지가’를 입력하면 화면 하단에서 ‘개별공시지가 열람’을 찾을 수 있다. 소재지 등 빈칸을 채워 넣고 ‘확인’을 누르면 지가를 볼 수 있다. 인터넷 이용이 어렵다면 장성군 민원봉사과 또는 토지 소재지 행정복지센터를 직접 방문해도 된다. 토지 소유자 또는 이해 관계인이 개별공시지가에 의견이

서산시, 2025년 스마트 혁신 골든벨 개최

[뉴스스텝] 충남 서산시는 10월 3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직원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 스마트 혁신 골든벨’을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번 골든벨은 직원 간 협력과 소통을 강화하고 시 주요 정책 공유를 위한 참여형 학습의 장으로서 부서 간 칸막이 없는 협업 문화를 확산하고자 마련됐다.서바이벌 형식으로 2시간 동안 진행됐으며, 직원들은 시 역점 시책 및 주요 업무, 시정 현안 및 조직문화 혁신 등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