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군, ‘2024년 귀농귀촌실태조사’ 결과 공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2-18 16:40:29
  • -
  • +
  • 인쇄
▲ 곡성군, ‘2024년 귀농귀촌실태조사’ 결과 공표

[뉴스스텝] 곡성군은 지난 6월 12일부터 7월 1일까지 ‘2024년 곡성군 귀농귀촌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곡성군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최근 3년간(2021년-2023년) 곡성군으로 전입한 귀농귀촌 가구 내 가구주와 19세 이상 가구원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018년 ‘제1회 곡성군 귀농귀촌실태조사’ 실시 이후 3년 주기에 따라 3회차 조사가 실시됐다.

조사 결과 최근 3년 동안 곡성으로 귀농ž귀촌하여 살고 있는 주민은 722가구, 884명이며. 이중에서 귀촌은 477가구 575명, 귀농은 245가구 309명이며, 거주 지역별로는 곡성권 355명, 석곡권 231명, 옥과권 298명으로 나타났다.

곡성군 전입 전 거주지는 광주, 서울, 경기, 전북 순으로 나타났으며, 곡성군 선택 이유로는 ‘고향이어서’가 30.8%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가족ž친지 거주’가 29.3%로 뒤를 이었다.

귀농ž귀촌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해서는 만족하는 비율이 33.3% 불만족 비율 9.5%에 비해 3배 이상 높았다.

지역에 대해 만족하는 이유로는 ‘자연환경 및 경관이 아름다워서’가 68.6%, 불만족하는 이유는 ‘생활 편의 시설이 좋지 않아서’가 55.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귀농ž귀촌인 중 88.6%는 현재 거주지에서 타지역으로 이주할 계획이 없다고 응답했으며, 이주 계획이 있는 11.4%의 경우 ‘생활시설 문제’ 26.9%, ‘사업장 또는 직장 문제’ 21.8%, ‘경제적인 문제’ 15.3% 순의 이유로 이주하려는 이유가 나타났다.

귀농ž귀촌 정책 중 만족도가 높았던 정책은 ‘귀농ž귀촌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사업’, ‘귀농 농업 창업 및 주택구입 융자 지원사업’, ‘귀농인 신규 농업인력 육성 지원사업’ 순으로 나타났으며,

귀농ž귀촌인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 필요한 정책은 ‘귀농ž귀촌 정보제공’32% ‘일자리 등 정보제공’17.9%, ‘주택구입ž임대자금 지원’16.8% 순으로 나타났다.

군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통해 귀농ž귀촌 가구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맞춤형 정책 수립의 밑거름이 되었다.”라고 전하며 “이를 통해 곡성군의 인구 유입 경쟁력 제고에 힘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사 결과에 대한 세부 내용은 곡성군 홈페이지(열린군정→통계정보→귀농귀촌실태조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윤충식 의원, 선착순 AI 지원은 '차별의 경기' 초래... 선심성 예산 지양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소속 윤충식 의원(국민의힘, 포천1)은 21일 ‘경기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 동의안’ 안건 심사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 중인 학생 대상 AI 지원 사업의 불공정성과 실효성 부재를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윤 의원은 경기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추진하려는 AI 활용 역량 강화 사업이 일부 대상에게만, 그것도 '선착순

경기도의회 박옥분 의원, 하천·계곡 지킴이 여성 지원자 86명 중 실제 선발 18명...“성인지 예산 무용지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2)은 21일 열린 2026년 본예산 심사 및 제3차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건설국과 건설본부를 대상으로 도민 생활안전 예산의 불투명한 감액, 성인지 예산 구조의 고착화, 지하안전 관리체계 부재 등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박 의원은 성인지 예산 분야와 관련해 “하천·계곡 지킴이의 여성 지원자는 86명(17.2%)이나 실제 선발은 18명(16.

경기도의회 박재용 의원, “복지예산이 경기 따라 흔들리는 ‘고무줄 예산’... 사회적 약자 기본권 침해 우려”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2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안 심의에서 2026년도 복지예산 편성과 관련해 노인·장애인 복지사업의 대규모 일몰 및 감액 문제, 추경 의존 구조, 복지예산의 불안정성을 강하게 지적하며 전면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박재용 의원은 “복지국 총 예산은 증가했지만 노인·장애인 복지예산 점유율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