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분권 사관학교 ‘자치분권대학 성북캠퍼스’는 열공 중!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10-09 17:30:04
  • -
  • +
  • 인쇄
지난 달 19일 개강, 성북구민 110명 열정적 참여
▲ 자치분권 사관학교 자치분권대학 성북캠퍼스 가을학기의 열기가 뜨겁다. 성북구는 평소 자치분권 확산을 강조하는 이승로 성북구청장의 적극적인 홍보 활동과 성북구민의 높은 관심과 참여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110명의 수강생이 등록해 열정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사진은 자치분권 성북캠퍼스 홍보 영상을 통해 성북구민의 관심과 참여를 독려하고 있는 이승로 성북구청장

[뉴스스텝] 자치분권 사관학교 자치분권대학 성북캠퍼스 가을학기의 열기가 뜨겁다.

지난 달 19일 개강한 자치분권대학 성북캠퍼스 2023 가을학기는 지방정부 혁신, 주민자치 강화, 지방자치 확산을 위한 지방자치 핵심인 시민의 인식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열강이 이어지고 있다.

2023 자치분권대학 가을학기 캠퍼스를 개설한 지방정부는 총 15개로 전국 수강생은 총 2,200여 명에 달한다. 일반 시민과 주민자치위원의 수강 비율이 80%에 이르는 점을 고려하면 자치분권대학의 지방자치교육에 대한 수강생의 신뢰를 가늠해 볼 수 있다.

특히 성북구는 평소 자치분권 확산을 강조하는 이승로 성북구청장의 적극적인 홍보 활동과 성북구민의 높은 관심과 참여로 110명의 수강생이 등록해 열정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는 경기도 광명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규모다. 2020년 이후 약 1,000여 명의 수료생을 배출했다.

한편 자치분권대학은 2003년 전국적 지방자치혁신 민간 교육기관으로 시작해 이후 20년 동안 학장 체제를 수립하고 캠퍼스 운영 체제를 정립하여 전국에서 약 22,000여 명의 수강생이 함께했다. 매년 정기적으로 진행되는 특별교육과정, 상시과정 운영과 더불어 자치분권대학 학사제도, 자치사 자격 취득제도 등을 통해 지역 현장을 가장 잘 아는 지방자치 전문가를 양성해 지방자치 시대를 앞당기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

성북구는 지난 2016년 자치분권지방정부협의회 회원으로 가입해 중앙과 지방정부 간 권한 배분, 지방정부 혁신, 주민자치 강화 등 지방정부 분권 운동을 선도하고 있다.

2023 자치분권대학 가을학기 캠퍼스는 '지방시대, 지방정부 들여다보기'를 주제로 이번 정부 주요 국정목표인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 실현’에 맞춘 지방정부의 기본 개념과 지향점에 대해 중점적으로 교육하고 있다.

자치분권대학 강의 내용은 유튜브 공개 채널 ‘자치분권대학’에서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자치분권대학 누리집에서 확인하면 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속초문화관광재단, 속초 음식문화 기반 디자인 프로젝트 추진

[뉴스스텝] 속초문화관광재단은 ‘맛으로 엮어가는 도시의 멋, 음식문화도시 속초’를 비전으로, 음식문화 대표 콘텐츠 개발사업의 일환인 디자인 역량 캠프 ‘속초 맛-멋 디자인 학교(이하 디자인학교)’ 참여자를 모집한다.‘속초를 닮은 디자인 사업’은 음식문화도시 속초의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도시 브랜드를 강화하기 위한 디자인 프로젝트로, 총 5개 세부 사업으로 구성돼 추진된다. 이 중 디자인학교는 속초의

소담스퀘어 강원, 제2회 라이브커머스 경진대회 개최

[뉴스스텝] '소담스퀘어 강원'은 소상공인 디지털전환 지역 특화사업의 일환으로 도내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제2회 라이브커머스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대회는 11월 5일 소담스퀘어 3층 글로벌스튜디오에서 열리며, 도내 소상공인 12개 팀이 참가해 열띤 경연을 펼칠 예정이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상공인이 직접 쇼호스트가 되어 자사 제품을 소개하고 판매함으로써 제품 신뢰도를 높이고, 소비자와의 실

영월군 상동경로대학 어르신들, 하이힐링원에서 만들기 체험

[뉴스스텝] 상동경로대학은 11월 4일, 어르신 60명과 공군부대, 자원봉사자 10명이 참여한 가운데 ‘하이힐링원에서 만들기 체험’을 진행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원목도마 만들기”와 “치아바타 만들기”라는 특별한 체험 활동을 통해 단순히 전통적인 교육을 넘어서, 어르신들이 손수 만든 원목도마와 빵을 통해 삶의 즐거움과 의미를 되찾는 시간을 제공했다. 어르신들과 자원봉사자들이 함께 만드는 시간을 통해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