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디자인어워드 2024, 65개국서 응모…세계 디자인상 우뚝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7-22 17:20:37
  • -
  • +
  • 인쇄
2019년 출범시 75개 작품 접수에서 5년 만에 575개 접수, 7.6배 성장 이뤄내
▲ 서울디자인어워드 2024 접수 성과 그래프

[뉴스스텝] ‘지속가능한 일상’을 위한 '서울디자인어워드 2024' 접수가 마감됐다.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디자인 전 분야에 걸쳐 5년 이내 실현된 프로젝트와 실현 방안이 도출된 연구 사례를 공모한 결과 전세계 65개국에서 총 575개의 작품이 접수됐다.

2019년 첫 회에 25개국에서 75개 작품이 접수된 것에 비하면 5년 만에 접수 작품 기준 7.6배나 성장한 것이다.

접수작을 대상으로 7월부터 9월까지 심사가 진행된다. 8개 국가에서 참여한 디자인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의 평가를 거쳐 10월에는 우수작 10개가 발표될 예정이다. 이후 시민상을 선정하는 시민 투표가 이루어진다.

수상자는 트로피, 상패, 상금과 더불어 DDP에서 전시와 콘퍼런스에 초청되는 등 다양한 홍보의 기회를 얻는다. 시상식은 오는 10월에 진행될 대표 디자인 축제 '서울디자인 2024' 기간에 DDP에서 열릴 예정이다.

대상 1팀에게는 상금 5천만 원이, 최우수상 3팀에는 상금 1천5백만 원이 각각 지급된다. 그밖에 우수상, 시민상, 리서치상, 올해의 이슈상에는 각각 상금 5백만 원이 지급된다.

서울디자인어워드는 2019년부터 5년 동안 전세계의 '사회문제 해결'에 공헌한 지속 가능 디자인프로젝트를 발굴해왔다. 세계 유수의 디자인어워드가 상업적인 결과물을 평가하는 자리라면, 서울디자인어워드는 디자인을 통해 이상적인 사회의 지향점을 찾고자 노력해왔다.

2019년부터 매년 DDP에서는 서울디자인어워드 전시와 시상식을 통해 전 세계에 공공 디자인 트렌드를 발신하고 있다. 서울시와 서울디자인재단은 코로나19 시국에도 멈추지 않고 글로벌 디자인어워드를 운영하며 전 세계의 디자이너들에게 공공디자인 분야에서 큰 동기를 부여해왔다.

서울디자인어워드는 사회문제 해결의 본질을 ‘디자인’에서 찾기 위한 글로벌 어워드로, 유일하게 디자이너에게 직접 상을 준다. 한 국가에서 개최하는 공공디자인 분야 어워드에 65개국에서 575개의 프로젝트가 응모했다는 것은 좀처럼 보기 어려운 사례다.

해외의 세계적인 디자인어워드 중 사회영향력’ 또는 ‘지속가능성’을 심사하는 분야가 있지만 제품과 서비스 디자인 분야로 제한되거나 소수의 수상자만 선정한다. 그러나 '서울디자인어워드'는 올해만 25개팀을 시상할 예정이며 전 세계에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가치를 확산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지원자의 30%는 ‘지속가능한 일상을 위한 디자인 운동’에 참여하기 위해 응모했고, 69%는 수상자간의 네트워크를 희망하고 있다.

올해 5월부터 서울디자인어워드 주최측은 수상자들간의 소식을 업데이트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디자이너들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연 2회 온라인 간담회를 열며 5년째 어워드의 연속성과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심사위원으로 참여하게 된 남택진 교수(카이스트)는 과학기술 전문가들의 협력을 이끌며, 디자인 주도 사회 혁신 사례인 ‘이동형 음압병동’을 개발한 디자이너다. 지난 5월 심사위원 워크숍에 참여한 남택진 교수는 “서울디자인어워드는 공익 가치에 초점을 둔 유래없는 국제 어워드로 서울에서 주최되는 것이 특징인데, 서울은 최첨단 기술이 가장 빠르게 활용되는 복합 문화 도시라는 점에서 전 세계 사례를 먼저 적용해 볼 수 있는 최적의 지역”이라며, 어워드의 가치를 설명했다.

서울시와 서울디자인재단이 주최·주관하는 서울디자인어워드는 디자인의 선한 영향력과 디자인의 가치 확산을 표방하며 2019년 처음 개최됐다. 서울디자인어워드는 4년간 한국을 비롯한 22개국의 54팀(또는 개인)의 디자이너들에게 시상을 했다. 이제는 국제 디자인상을 넘어 국제적인 공유의 장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일상 속에서 예측하기 어려운 미래를 향한 도전과 시도를 지속하고 있다.

역대 수상작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시 두눈 지역에서 공간 디자인을 활용해 빈민촌 아이들을 위한 도서관과 교육 시설을 만든 ‘두눈 학습 혁신 프로젝트(Dunoon Learning and Innovation Project, 2019)’와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마을의 낡고 버려진 집들을 디자인하여 새로운 예술 공간으로 재탄생시킨 ‘카운트리스 시티즈(Countless Cities, 2020)’, 중국 허난성 덩펑(저우산) 마을에 버려진 채 방치된 오래된 동굴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으로 탈바꿈시킨 ‘꿈의 집(House of Dreams, 2021)’, 튀니지에서 이슬에 맺히는 자연 현상을 재현해 물이 부족한 지역에 경제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식수를 공급하는 ‘ 쿠물러스 암포라(Kumulus Amphora, 2023)가 있다.

서울디자인어워드 소개와 역대 수상자 등의 디자인을 홈페이지와 SNS 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서울디자인재단 이경돈 대표이사는 “서울디자인어워드가 ‘지속가능하고 차별적인 공공형 어워드로서 세계인들의 이목이 집중되는 만큼, 세계 디자인계에 선도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어워드가 되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구미시지역사회보장 대표협의체 회의 개최…민·관 협력 강화

[뉴스스텝] 구미시는 지난 6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구미시 지역사회보장 대표협의체 회의’를 열고 지역 복지정책의 추진 방향과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대표협의체 위원 25명이 참석해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주요 현안을 심의했다.이번 회의는 △신규 및 재위촉 위원에 대한 위촉장 수여 △2년간 협의체를 이끌어갈 민간위원장 선출 △복지분야 주요성과 및 향후 추진계획 보고 △제5기 지역사회보장계획 2026년 연

광주광역시민·농민 1000여명, 농업인의날 한마당

[뉴스스텝] 광주광역시는 ‘농업인의 날’(11월11일)을 맞아 9일 시청 야외음악당에서 농업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제30회 농업인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했다.‘농업에서 미래를! 농민에게 희망을!’을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는 광주시가 주최하고 농업인단체연합회가 주관했다. 강기정 시장을 비롯해 농업인·시민 1000여 명이 참석해 화합의 장을 이뤘다.행사는 풍물놀이·난타 공연과 농업 유공자 표창 수여, 농업인

울진군 ‘2025 죽변항 수산물축제’ 성황리 폐막

[뉴스스텝] 동해안의 어업전진기지 울진군 죽변항이 수산물과 공동체 그리고 문화가 어우러진 특별한 축제로 환하게 빛났다. 지난 11월 7일부터 3일간 열린‘2025 죽변항 수산물축제’현장에는 약 6만 명의 방문객이 몰려들며 항구 전체가 유례없는 활기로 가득 찼다. 올해 축제는‘가자, 죽변항! 먹자, 수산물!’이라는 슬로건 아래 신선한 제철 수산물이 현장에서 즉석으로 경매로 거래되고, 맨손 활어잡기·물회 퍼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